드레스덴 폭격에 관한 인터뷰 中

네오나찌들이 전혀 실행할 필요가 없는 전쟁범죄였다고 비난하는 드레스덴 공습에 대하여, 드레스덴은 아름다운 관광도시였던 것만큼이나 군사적으로 중요한 도시였으며 따라서 적어도 논리적으로는 타당한 결정이었다는 영국 역사학자 Frederick Taylor 의 인터뷰 중 일부다. 다른 것을 떠나서 자국의 주요도시를 파괴한 공습에 대하여 이러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 이와 인터뷰를 한 슈피겔이 대단해보인다.

슈피겔 온라인 : 과장된 사상자수가 학문적 연구에 반하는 것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지요. 연합군의 공격의 희생자로서의 드레스덴의 신화는 계속되고 있다고 보는데요. 드레스덴이 정말 그렇게 결백했나요?

테일러 : 드레스덴은 의심할 바 없이 아름다운 도시입니다. 예술의 중심이자 나찌 이전의 독일 인본주의에 관한 모든 위대한 것들의 상징이죠. 또한 동시에 상당한 정도로 나찌의 주요한 산업중심이기도 했습니다. 타자기, 담배, 가구, 사탕 등을 생산하던 공장들이 1939년 이후 군사용으로 전환되었습니다. 도시의 7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가 전쟁 관련 업무에 종사하였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지역 철도 이사회는 동부전선의 전쟁 수행에 깊숙이 관여하였고 또한 강제수용소 시스템에 죄수들을 수송하는 데에도 관여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문제는 드레스덴이 합당한 폭격 목표에 해당하느냐는 것이 아니라 1945년 2월의 시점에서 그 방법과 강도가 정당한 것이었느냐에 있을 것입니다.

슈피겔 온라인 : 당신은 그것이 정당했다고 생각하십니까?

테일러 : 개인적으로 그것(폭격 : 역자 주)의 논리를 추적할 수는 있지만 매우 부정적입니다. 이는 전쟁이 민주주의 국가에서조차 어떻게 도덕적 재고가 고갈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소름끼치는 사례라 할 것입니다. 18세의 나이에 그의 고향의 폭격에서 살아남아 그 파괴에 대해 다방면에 걸쳐 글을 남긴 Goetz Bergander는 그만의 독특한 용서의 방식으로 폭격을 “도를 넘어선 것(outsize)”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확실히 그 폭격의 모든 것을 말해줍니다.

[The Logic Behind the Destruction of Dresden, Spiegel, 02/13/2009]

11 thoughts on “드레스덴 폭격에 관한 인터뷰 中

  1. polarnara

    즉 군사논리적으로는 드레스덴을 타겟으로 한 것이 옳았지만, 어쨌든 폭격의 규모는 필요 이상으로 컸다는 요지인가요? 그런데 과연 군사 폭격에서 ‘어느 정도까지가 적합한 폭격이다’ 라는 판단이 쉽게 내려질 수 있는 것인지는 궁금하네요…(…)

    Reply
    1. foog

      요컨대 테일러씨는 드레스덴이 군사적으로 주요한 전략도시였기 때문에 네오나찌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그저 아름다운 관광도시에 불과한 엉뚱한 희생양은 아니라는 것이겠지요. 그럼에도 그 폭격이 이치에 맞기는 하였으나(legitimate) 정당하였는지에(justifiable) 대해서는 강한 회의감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두 단어 사이의 미묘한 뉘앙스가 엄청난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별 차이가 없는 것인지는 받아들이는 이의 관점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네요.

      Reply
  2. tomahawk28

    몇달전 갔던 드레스덴에 네오나찌가 저런 말을 했을 줄은.. 시선을 좀더 동쪽으로 돌리면 저런 뻔뻔한 말은 못할텐데요

    Reply
    1. foog

      원래 꼴통들은 호혜평등이라는 개념이 없으니까요. 지가 하면 정의의 응징이고 남이 자기한테 하면 핍박인 셈이죠.

      Reply
  3. 천마

    드레스덴폭격은 굳이 네오나찌가 아니더라도 독일의 전쟁비극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그러다보니 2차대전당시 연합군의 만행을 비난하는 시도를 할때 잘 언급하는 사건이 이 드레스덴입니다.

    그래서 피해를 과장하는 경우도 많았다고 합니다. 슈피겔의 인터뷰 첫머리에 “과장된 사상자수가 학문적 연구에 반하는 것이라는 것이 증명되었지요.”라고 하는 말의 의미가 그것을 말하는 겁니다. 영국의 홀로코스트부정론자인 데이빗 어빙이 주장한 250만이 한때 유명했지만 그 후 학문적으로 근거가 없는 주장임이 밝혀졌고 지금은 대략 2만5천에서 3만5천 정도로 본답니다.

    드레스덴폭격의 논란은 그걸 전쟁수행으로 보느냐 불필요한 만행으로 보느냐인데 EBS에서 방영했던 독일의 2부작 드라마 “드레스덴”에선 소련측에게 연합군측 역시 치열하게 싸우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행위로 슬쩍 묘사함으로써 군사적인 의미가 없는데도 폭격했다는 식으로 묘사합니다.

    반면 인터뷰에 나온 역사학자 테일러의 대답은 이 폭격이 군사적으로 유의미한 목표에 대한 전쟁행위로 다만 그 규모나 파괴정도가 필요이상으로 지나쳤다는 의미로 보입니다.

    사실 이 문제는 상당히 논쟁적인 주제입니다. 국가 총력전체제하에서 전략폭격론은 그 탄생부터 도시를 전면적으로 파괴하여 국민들의 전쟁수행의지를 꺾어 조기에 종전한다는 것이 목적이었거든요. 실제론 생각처럼 잘 되진 않았지만 말입니다.

    과거사 문제의 관점에서 보면 전쟁을 일으키고 여러나라를 침공하고 도시폭격을 가한 것은 독일입니다. 폴란드,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소련등의 도시들을 그 지경을 만들고 놓고 드레스덴을 가지고 뭐라고 하는 건 좀 그렇죠.

    어느 관점에서 보나 드레스덴문제는 폭격자체를 부당하다고 말하긴 좀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Reply
    1. foog

      참참… 너무 좋은 댓글을 잘 읽고는 감사하다는 말씀을 까먹었네요. 뒤늦게나마 깊이 감사드립니다. 🙂

      Reply
  4. phi

    “자국의 주요도시를 파괴한 공습에 대하여 이러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 이와 인터뷰를 한 슈피겔이 대단해보인다. ”

    이 부분에서 독일에 대해 오해하시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독일에 머물렀던 경험을 미루어 적자면, 자국에 대한 폭격에 대해 말하는 것은 전혀 터부시 되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자국에 대해 좋게 말하는 사람들이 욕을 먹는게 일반적입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이후 일본과 달리 독일은 전쟁에 대한 폐해를 제대로 교육시켰습니다. 때문에 개그프로에서도, 시사프로에서도 자국을 ‘까는게’ 일상입니다. 사석에서 나치 특유의 인사를 흉내낸다면 그걸 본 다른 사람들이 경찰에 신고하기도 하는 곳입니다. 네오나치도 분명 존재하긴 하지만 대부분은 이런 사람들입니다.
    심지어 2006년 월드컵에서 응원열기가 고조되자 각 신문사에서 민족주의가 살아날까 두렵다며 사설을 내기도 했습니다. 우리나라와는 퍽 다르죠.

    Reply
    1. foog

      네 그러한 독일의 분위기를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 바 그러한 사실을 슈피겔 기사를 통해 또 한번 확인하고 놀랍다는 의미였습니다. 이웃나라들이나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볼 수 없는 풍경인 것이 사실이니까요. 여하튼 생생한 체험에서 우러난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