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티그룹 국유화, 그리고 배드뱅크의 실효성에 관해

은행 국유화에 대한 부질없는 이념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와중에 어느새 국유화의 실현가능성은 우리 코 앞에까지 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부는 현재 보유 중인 450억달러 규모의 씨티그룹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최대 40%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씨티그룹 경영진은 정부가 보통주 지분을 25% 정도 갖기를 원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美씨티그룹 국유화…우선주->보통주 전환 협상, 한국경제, 2009.2.23]

이와 함께 씨티는 싱가포르, 중동 등의 국부펀드들이 투자한 우선주에 대해서도 보통주로의 전환을 요청할 계획이라 한다. 그렇다면 왜 씨티는 자진해서 국유화를 요청했을까? 주요하게는 은행의 전체부실이 현재의 대차대조표 상으로는 헤아릴 수 없다는, 소위 장부외(off-balance)거래의 부실자산 규모에 대한 공포감이다.

단순히 자본확충을 통한 대출여력의 증가를 목적으로 한다면(주1) 정부의 우선주 매입만으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대차대조표 밖의 파생상품과 증권화상품의 부실화를 통제할 수가 없다. 결국 최종대부자인 중앙은행, 나아가 그 뒤의 국가가 방파제 역할을 해달라는 이야기다. 이제까지 논의되던 배드뱅크를 넘어선 이야기다.

사실 부시 행정부는 금융기관에 대해 모순된 행동을 보여 왔다. 한편으로 금융기관의 회계투명성을 강조하면서도, 다른 편으로는 시가회계 기준을 적용하지 않기로 하는 등 은행의 부실을 감추어주었다. 시가회계 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면 현재의 부동산 가격 하락이 자산실사에 드러나지 않게 되므로 회계 투명성은 말로만 떠드는 꼴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시장은 사실상 씨티가 자본잠식 상태에 들어간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주식은 휴지조각이 되어버렸다. 따라서 1) 애초 부실자산 규모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없고 2) 그 부실자산의 매입가치를 측정할 수도 없고 3) 그 실효성 여부도 불투명한 배드뱅크는 금융위기의 탈출방법이 아니었음이 명확해진다.

어제의 미증시 폭락은 어떻게 보면 은행 국유화의 가능성이 그만큼 더 높아졌다는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한 것이다. 국유화가 일시적이든 영구적이든 결국 그들의 주식을 상장한 금융기관들의 수익(곶감 빼먹기)의 가능성이 줄어들게 될 것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대해 재무부는 “금융부분 안정을 위해 더 많은 자금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지만, 금융 시스템은 민간 소유로 남아 있어야 한다.”며 여전히 시티그룹이나 BOA 등의 국유화를 원치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많은 투자자는 경기 침체로 인한 은행의 심각한 손실이 지속되면서 그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믿는 분위기다.[미국 증시 폭락… 12년來 최저치 기록, 서울신문, 2009.2.24]

(주1) 2009년 1월말 현재 미국 상업은행들의 대출잔고는 7조6백억 달러 정도로 3개월 만에 2천억 달러가 줄어들었다.

6 thoughts on “씨티그룹 국유화, 그리고 배드뱅크의 실효성에 관해

  1. 하느니삽

    향후 부실에 대비한 자본확충 차원이라면 우선주든 보통주든 별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new capital injection이 아닌 기존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는 것은 은행 입장에서 자본이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회계상의 처리만 달라지는 것이기도 하고요. 제 생각에 굳이 보통주를 원하는 이유는 정부에서 Stress Test를 할 때 TCE (Tangible Common Equity)의 비율을 중요시하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규모를 짐작할 수 없는 부실에 대한 대비로는 자본확충보다는 정부의 광범위한 지급보증이 훨씬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지금도 일부 자산에 대해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고요.

    Reply
    1. foog

      자본비율 문제에 대해서는 본문에도 썼다시피,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우선주/보통주 차별이 없죠. 말씀하시는 Stress Test시 주안점은 미처 몰랐던 부분인데 잘 지적해주셨네요. 부실에 대해 국유화와 지급보증 중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이냐 하는 문제에 대해선 저는 국유화가 의사결정면에서 더 신속할 수 있고 부실실사에 대한 실효성이 있다는 측면에서 더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되는데 추가 의견있으시면 댓글주세요. 🙂

      Reply
    2. 하느니삽

      아 .. 저의 난독증이 빛을 발한 리플이었군요. 죄송 -_-

      본문을 다시 읽어보니까 말씀하신 게 “보통주 전환(혹은 추가인수 등)을 통해 국유화를 함으로써 정부가 은행의 주인으로써 부실을 관리하고 책임진다”였군요. 단순히 “보통주 자본이 우선주 자본보다는 부실에 대한 대비책으로 더 효과적이다”로 오독했었습니다. 요즘 정신줄을 놓고 살다보니까 이렇게 말도 안되는 오독도 하네요. o<-<

      저도 국유화가 부실에 대한 가장 확실한 대책이라는 점에 동의합니다. 제가 정부의 지급보증이 더 좋은 대책이라고 했던 점은 '단순' 자본확충과 비교했을 때를 얘기했던 것이었습니다.

      Reply
    3. foog

      그러시군요. 🙂 여하튼 큰 일입니다. 이렇게 전 세계가 신속히(!) 망가질 줄이야…

      Reply
  2. foog

    “AP통신 등 주요 외신도 미국 정부와 씨티가 최대 250억 달러에 해당하는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하는 데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 재무부의 씨티그룹에 대한 지분은 현재의 8% 미만인 수준에서 최대 40%에 이를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납세자의 위험부담이 커지지만, 기업이 위기에서 벗어날 경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ttp://media.daum.net/foreign/america/view.html?cateid=1043&newsid=20090227162314118&p=yonhap&RIGHT_COMM=R11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