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의 역사

얼마 전에 헌책방에서 구입한 책 한권을 최근 다 읽었다. ‘회화의 역사(원제 : The Story of Painting from Cave Painting to Modern Times)’이라는 책인데 미국인 잰슨(Janson) 부부가 쓴 책을 유홍준 씨가 번역한 책이었다. 1983년 초판이 발행되었고 내가 구입한 책은 1998년 발행된 13쇄였다. 그 정도까지 계속 발간한 것을 보니 꽤나 스테디셀러였던 모양이다. 책 내용이 서양미술사를 알기 쉽게 서술한 책이라 대학교 교양교재로 쓰이기 딱 좋았을 듯싶고 아마 그래서 그렇게 오랜 기간 팔리지 않았나 생각된다.

책을 읽은 후 감각없는 나조차도 미술을 보는 눈이 눈곱만큼 향상되었다. 서양화의 사조나 각 작가들의 특색을 구분하는데 그리 뛰어난 재주가 없었는데도 우연히 본 한 작품에서 나도 모르게 ‘음 루벤스 풍이로군’ 하고 읊조렸는데 놀랍게도 정말 루벤스의 작품이었던 것이다!(주1) 그래서 책을 쓴 잰슨 부부와 번역해준 유홍준 씨와 책을 낸 열화당 관계자 분들께 감사하는 맘을 가지게 되었다.

다만 아쉬움은 있다. 저자가 설명용으로 예시하고 있는 그림들이 앞머리의 몇 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흑백이었던 것이다. 해외 사이트에서 찾아본 원래 책이 하드커버에 칼라표지인 것으로 보아 아마도 – 아니 당연히 – 그림들이 칼라였을 것인데 번역본은 흑백이 되어버린 것이다. 이는 아마도 – 아니 필시 – 좋은 책을 소개하고 싶은 출판사의 열의와 칼라로 팔면 채산성이 맞지 않을 – 대학생들이 총천연색의 이 책을 사느니 술을 마셔버릴 테니 – 현실적 제약과의 타협점이었으리라.

이해는 가면서도 아쉬움은 여전하다. 물론 정 원색으로 보고 싶으면 일일이 해당 작품을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되겠지만 아무래도 책을 읽어나가면서 그 속에 인쇄된 그림을 보는 것과는 다른 문제다. 결국 난 이 책을 반절만 즐긴 셈이 되니까 말이다. 비단 이 책만의 문제도 아니다. 서경식 씨가 직접 쓴 ‘나의 서양미술 순례’도 흑백이다. 더한 비극은 이탈리아 그래픽노블 작가 휴고 프라트의 걸작 ‘코르트 말테제’ 시리즈도 올 칼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흑백 인쇄본으로 소개되었다는 점이다. 옛날도 아닌 2002년에 출간되었음에도 말이다. 마치 고학하는 젊은이의 복사본 같은 느낌이다.

출판업자들의 고충도 이해할만 하지만 적어도 미술관련 책에서만큼은 소개하고 싶은 작품의 최대한 많은 부분을 소개하려는 고집이 있었으면 좋겠다.

(주1) 힌트를 주자면 그의 작품의 등장인물은 약간 과장되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포즈가 뒤틀려있다. 역동적이라 하는 거지

12 thoughts on “회화의 역사

  1. 바다에 뜬 보름달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이책은 완역이 아닌 회화만 발췌한 책 성격이 강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원전은 history of art란 좀 재수(?)없는 서양미술사 책이라고도 할 수 있죠.

    저자가 미국사람이어서 그런지 개성이 없고 백과사전식인 단점도 있습니다.

    혹시
    미술에 관심이 있다면
    gombrich(?) 스펠이 맞나? 가 쓴
    서양미술사가 좀 더 내공이 있는 책이니 읽기를 권해드립니다.
    곰브리치는 단순한 미술사가라기보다는 독일 미술사/미학 계보의 학자라 그런지
    훨씬 해석의 풍부함과 지적 베이스가 깊이 있다고 볼 수 있으니까요…

    물론
    이것은 잘난체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님의 블러그를 재미있게 읽고 있으면서
    감사의 표시를 한 번도 못한 저의 작은 성의라고 받아 주심이 어떨런지요….

    Reply
  2. egoing

    저의 미학적인 가치관을 결정한 두개의 책이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이와 유홍준님의 나의 문화 유산 답사기입니다. 곰브리치의 책은 총천연색입니다. 유홍준이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의 지적인 성취와 우리 문화에 대한 대중적인 기여는 높이 평가합니다.

    책 가격에 대한 예리한 통찰에 감탄하게 되내요. 와와

    Reply
    1. foog

      우연찮게도 위 비밀댓글에서도 곰브리치의 책을 권하시더군요. 꼭 읽어보겠습니다!

      Reply
  3. odlinuf

    한RSS 기준 ‘구독자 수 1000명’을 축하드리옵니다.
    충실한(?) 독자로서 책거리라도 한번 해야할 것 같은 기분이군요. 🙂

    Reply
    1. foog

      감사합니다. 🙂 저도 언뜻 실감안나는 수치이긴 합니다. 책거리라.. ㅎㅎㅎ 하이랜드에서 할까요?

      Reply
  4. j준

    가끔 본문에서 소개하신 ‘회화의 역시’, 혹은 서양 미술사 등의 책을 봐도 흑백으로 프린팅된 사진들을 보면 상업성에 짓밟힌 예술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라는 생각이 들 법도 한데…한 번도 그런 적이 엄스습니다. 아마 수묵화에 너무 익숙해져서 그럴까요?;;;

    Reply
  5. 실리콘벨리(임상범학생)

    회화의 역사라면 미술시간에 짧게나마 이론에 상식적인
    내용내에서 배운 기억이 생각나네요.
    미술을 직접 그림으로 표현하는 부분에 있어 제가 많이 약하지만
    그림을 보고 기쁨과 행복함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기에
    휴식 또는 시간이 많을떄 가끔씩 예술잡지를 조금씩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술과 ART/디자인이라는 부분은 상당히 개인의 개성과
    작품으로써 인정 받기 위해서는 “대중성”과 호흡할 수 있는 주제가
    요즘 많은 작가분들을 통해 나오고 있어서 제게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좋은 포스팅 잘 읽고 갑니다.^^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