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형 팔로워’와 ‘공존형 시티즌’, 그 공통점과 차이

삼성경제연구소가 재미있는 보고서를 하나 내놓았다. 제목은 “시티즌십, 위기극복의 필요조건”. 현재와 같은 경제위기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시티즌십(citizenship)”을 제안하고 있음을 제목에서부터 느낄 수 있다. 평소 익숙하지 않은 단어이긴 한데, 보고서에는 시티즌십을 “시민으로서 갖는 권리뿐만 아니라 책임과 의무, 그리고 바람직한 덕성을 의미하는데, 공익달성을 위해 사익추구를 절제하고, 평소 갈등관계에 있던 집단과도 협력하려는 태도를 보유하는 것”이라고 정의내리고 있다. 정말 이 정의에 비추어 이 사회 구성원이 진정한 시티즌십을 갖게 된다면 현재의 위기는 단숨에 극복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면 보고서는 왜 시티즌십을 강조하고 있는가? “위기극복의 관건은 리더와 사회구성원의 협력을 통한 사회응집력의 확보”(p1)에 있기 때문이다. 즉 전통적인 주장은 위기국면에서의 리더십이 강조되었던 반면 그 구성원의 이른바, 팔로워십(followership)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측면이 있는바, 보고서의 목적은 이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특히 요즘과 같이 예전에 비해 정치적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는 –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라 대의민주제 제도 국가의 보편적 현상이라 한다 – 더욱 강조되어야 함이 타당해 보인다.

“팔로워십(followership)”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도 좀더 필요할 것 같은데, 이는 기업조직의 성과 향상에 관한 이론에서 등장하는 단어로 “카네기 멜론大의 로버트 켈리 교수가 종전 연구들이 조직목표 달성에 있어 리더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팔로워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p2)하고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에 주목하면서 팔로워를 유형화하고, 이들이 구비해야 할 바람직한 덕목을 팔로워십(foloowership)으로 命名”(p2)한데서 비롯된 것이다. 그가 구분한 팔로워의 유형은 아래와 같다.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이 유형에서 가장 바람직한 유형은 당연히 적극적 사고와 독립적 사고를 동시에 지닌 ‘스타형 팔로워’다. 그들은 “리더의 결정을 무조건 수용하지는 않지만, 리더의 결정에 동의할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리더를 지원”(p3)하는 유형이다. 나머지 유형들은 조직생활을 해본 사람이라면 고개를 끄덕거릴만한 유형들이다. 사실 개인적으로 경영 실용 이론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어쨌든 사회조직 모든 단위가 어떠한 동기로 움직이건 간에 면밀한 계획과 실행으로 최적화되어야 한다는 대의에 있어서는 동의하는 바이고, 켈리 교수의 의도와 관찰도 그러한 면에서는 대체로 동의하는 바이다.

여하튼 보고서는 이후 켈리 교수의 이러한 주장을 “기업조직에서 팔로워십이 필요하다면 사회에서는 시티즌십이 중요”(p3)하다는 논리를 통해 전 사회 차원으로 확장시킨다. 이를 통해 도출되는 결론은 무척 단순하고 명쾌하다. 즉 보고서는 “리더를 ‘돕고’, ‘후원하며’, ‘공헌하는’ 시민이 사회통합에 기여”(p3)하는 것을 시티즌십의 진정한 덕목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보고서는 “위계조직인”(p4) 기업의 팔로워와 “그 자신이 사회의 주인”(p4)인 시티즌이 차이는 있긴 하지만 “리더와의 유기적 관계형성과 역할 분담 등을 통해 조직이나 사회의 생존과 발전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는 유사”(p4)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에 정의된 시티즌십을 우리는 보고서가 생각하는 ‘스타형 시티즌십’이라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이제 보고서가 켈리 교수의 팔로워 4가지 유형을 어떻게 사회의 시티즌 유형에 대비시켰는지 살펴보자. 우선 보고서는 X축에 있던 ‘적극적 vs 소극적’ 지표를 Y축으로 돌려세웠다. 그리고 Y축의 ‘독립적 사고 vs 의존적 사고’ 지표는 X축으로 바꿔 ‘타협적 vs 비타협적’으로 치환했다. 아까 살펴봤듯이 켈리 교수가 독립적이고 적극적인 ‘스타형 팔로워’를 이상적으로 봤다는 것을 상기해볼 때 약간 이상한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보고서가 ‘스타형 팔로워’와 견주고 있는 ‘공존형 시티즌’을 보자. 그는 ‘스타형 팔로워’와 적극적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타협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출처 :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는 “위기에 처했을 때 공익달성을 위해 사익추구를 절제하고, 평소 갈등관계에 있던 집단과도 협력하려는 태도에 따라 ‘타협적 對 비타협적’으로 구분”(p4)했다고 정의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엄밀히 말해 반칙이다. 우리는 ‘스타형 팔로워’가 위계조직에서조차도 “리더의 결정을 무조건 수용하지는 않는”(p3) 독립적인 사고의 소유자라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그가 어느 조건에서 리더의 결정을 수용하지 않는지, 그리고 수용하지 않는 것에 대한 대안을 어떠한지 알지 못한다. 그런데 보고서는 “위기에 처했을 때 공익달성을 위해 사익추구를 절제하고, 평소 갈등관계에 있던 집단과도 협력하려는 태도”(p4)라는 기나긴 전제를 깔고 그의 타협적 태도를 선험적으로 재단해버린다. 그 팔로워가 위기, 공익, 사익, 갈등, 협력 등에 대한 개념정의, 원인, 정도, 해법 등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독립성’이 거세된 것이다. 그러니 ‘독립’적일 수록 ‘타협’적인 것이라는 모순이 성립되어버린다.

지양하여야 할 유형은 한층 문제가 있다. 켈리 교수의 분류에 의하면 ‘순응형’, ‘냉소형’, ‘수동형’이 문제가 된다.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위계조직에서 여전히 그들은 조직의 결정을 따르는 – 적어도 전복시키지는 않는 – 유형으로 짐작된다. 보고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유형을 보자. ‘순응형’, ‘대립형’, ‘불만형’이다. 켈리의 분류보다 그 행동에 있어 더 적극적인 유형으로 보인다. 실제로 보고서는 ‘대립형’, ‘불만형’을 각각 “자신의 생각과 다른 정책방안에 대해 비타협적인 태도를 보여 역량결집과 정책실현을 지연”(p5)하는 형과 “위기극복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안 없이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으며 비타협적인 태도로 일관”(p5)하는 형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 정의가 문제가 되는 것은 위계조직 구성원이 아닌 그 스스로가 사회의 주인인 시티즌은 언제든 “자신의 생각과 다른 정책방안에 대해 비타협적인 태도를 보일” 권리가 있고, 그것은 독립적인 ‘스타형 팔로워’의 그것보다 더 큰 정도로 시티즌이 확보한 권리인 것을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보고서의 작성자들은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는 대립형과 공존형의 차이가 보고서가 생각하는 것처럼 명확하지 않으며, 대의민주제에서는 권력을 리더에게 위임하지만 그것이 기업과 같은 위계조직에서의 그것과는 근본이 다르다는 사실을 자의적인 도식화를 통해 희석내지는 왜곡하고 있다. 이후 보고서는 여러 사례를 들어 ‘대립형’과 ‘불만형’의 오욕의 역사 – 물론 그들의 관점으로 등치시킨 – 를 나열하고 있다. 영국의 노조파업, 아르헨티나의 反신자유주의 운동 등이 그것들인데 보고서의 관점은 이들은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비타협적’인 것이며, 따라서 ‘공존형’이 아닌 ‘대립형’ 내지는 ‘불만형’이 되어버린다.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가 통째로 – 또는 일부라도 – 잘못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을 때조차 비타협적 태도는 반역자의 그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요컨대 나 역시도 ‘공존형 시티즌’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리고 그 덕성이 ‘스타형 팔로워’와 일맥상통하여야 한다는 것에도 동의한다. 그런데 그 기본전제는 켈리 교수의 주장처럼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즉 주체적인 사고와 대안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타협과 비타협의 경계는 사회 리더의, 또는 공동구성원의 정책의 동의 여부에 따라 넘나들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오직 타협적인 것이 옳은 것이라는 주장을 강요한다면, ‘공존형 시티즌’은 언제든 ‘대립형 시티즌’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또는 그것은 당연한 권리이기도 하다. 보고서는 시티즌의 덕성을 요구하기에 앞서 우리 사회가 ‘공존형’ 리더를 가진 적이 있는지부터 생각해볼 일이다.

보고서 다운받기

10 thoughts on “‘스타형 팔로워’와 ‘공존형 시티즌’, 그 공통점과 차이

  1. 저련

    사회계약론의 abc부터 다시 봐야 할 것 같은 친구들이로군요.. -_-

    Reply
    1. foog

      하는 짓들이 참 유치하군요. 그러나 그 유치한 돌팔매질에 개구리는 맞아죽고… –;

      Reply
  2. 기린아

    저걸 굳이 말이 되게 하려고 했으면 ‘협상가능’ ‘협상 불가능’ 또는 ‘조정 가능’ ‘조정 불가능’ 이렇게 나누어야 조금이라도 말이 될 것 같은데요;;; 또는 ‘유연함’ ‘경직됨’이라든지.-_-;;;

    Reply
    1. foog

      말씀대로 그러한 보정이 상당 정도 있어야 유의미한 틀이 되겠죠. 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기업경영이론에 써먹는 틀을 저렇게 사회에 적용한다는 것은 제 느낌으로는 아무래도 사회의 다원성을 무시하는 처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 사실이네요. 🙂

      Reply
  3. 리에라

    의외로 간단한 메세지로 들리는군요.

    “이렇게 어려운 시국에 촛불이니 뭐니 떼법짓거리 하지 말고 멸사봉공 자세로 생업에나 힘쓰렸다”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