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의 중간광고 허용 결정 쟁점 정리

앞으로는 지상파 방송을 보다가도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가 나오는 것을 봐야 할 것 같다. 방송위원회가 2일 전체회의를 열고 현재 스포츠, 문화 예술 프로그램에 한정해 허용하고 있는 지상파 TV의 중간광고를 확대하기로 의결했기 때문이다. 시청자의 입장으로야 그리 달갑지 않다. 한창 재밌게 보고 있던 프로그램의 맥이 끊길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케이블TV와 신문의 반응

하지만 시청자들보다 더욱 격렬하게 반발하고 있는 주체는 사실 지상파 TV의 직접적인 경쟁자들이다. 케이블 TV와 신문들이 그들이다. 케이블TV측은 이번 중간광고 허용조치가 현재에도 심각한 방송사 매출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킬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신문협회도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 도입이 매체 간 균형발전을 저해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현재 광고방송 규모 추산은 정확치가 않은 것 같다. 머니투데이의 자료에 따르면 2006년 말 기준 광고방송 시장규모는 대략 3조원에 달하는 데 이중 지상파 TV가 2조4천6백억원을 가져간다고 한다. 하지만 매일경제의 기사에서는 현재 광고방송 규모가 2조5천 억원 규모라 한다. 한편 중간광고로 인한 매출효과 예측도 저마다 다르다. 한국신문협회는 중간광고 허용 등으로 지상파 방송사가 연간 1조3000억원 이상의 광고 수익을 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케이블TV협회는 5300억원의 광고 수익을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어쨌든 매출불균형이 심화될 것은 모두 인정하는 바일 것이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의 반응

한편으로 제기되는 비판은 이른바 ‘자본에 의한 콘텐츠 종속’의 문제다. 방송위 확인 국감에서 한나라당 소속의 한 의원은 “지상파 방송의 지나친 상업화로 공익성이 저해되는 측면 등을 고려했을 때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 역시 비슷한 맥락에서 중간광고 도입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72개 언론ㆍ시민단체의 연대 모임인 미디어수용자주권연대는 최근 발표한 성명서에서 “지상파방송이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공공성 위기를 겪는다면 이는 사회적 논의와 합의를 통한 공적 재원 확충 방안으로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약한다면 현재 제기되고 있는 주된 반대논리는 크게 광고 매출불균형의 심화와 자본종속적인 방송으로 인한 공공성 저해라 할 수 있겠다.

방송위와 지상파TV의 논리

방송위는 이와 관련 “방송환경이 변했다”면서 “지상파TV의 디지털전환을 위해 안정적 재원확보가 필요하고 방송시장 개방에 따른 경쟁력 제고 차원”이라고 중간광고 허용배경을 설명했다고 한다.

또한 최대 수혜자인 MBC는 뉴스데스크에서 이번 조치가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결정”이었음을 강변하고 있다. 그들에 따르면 “지상파의 광고매출은 올 상반기에도 지난해보다 870억 원이 줄어서” 방송시장 개방 등에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조치라는 논리다. SBS 역시 “지상파 방송에서 할 수 있는 광고의 양은 한 시간짜리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6분인데 중간광고가 허용되더라도 그 총량은 늘어나지 않는”다며 시청자를 안심시키고 있다.

한편 MBC 뉴스에서는 또 하나의 재밌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그 동안의 광고료의 인상추이에 대한 언급인데 그들에 따르면 “91년부터 14년간, 4대 일간지의 1면 하단광고의 요금은 312% 올랐지만 지상파 방송의 광고료는 94% 인상에 그쳤”으며 “신문은 광고형태나 지면대비 광고량에 대한 규제가 없고 법적인 사전심의도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그간 자신들이 차별을 받아왔다는 논리다. 이 대목에서 드는 생각이 어쩌면 이 쟁점이 지난 몇 년간 이어져 온 방송과 신문간의 매체간 갈등양상을 증폭시킬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방송 VS 신문

일단 3일자 동아일보는 1면 탑에 이와 관련하여 “방송위,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72개 단체 “시청자 권익 외면””이라는 기사를 통해 방송위의 결정을 격렬하게 비판하였다. 중앙일보는 “정권 말에 밀어붙인 TV 중간광고”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정치권과 이번 결정을 연계시켰다. 즉 현 정부가 “지상파 방송의 배를 불려 대선 국면에서의 보은(報恩)을 노리고 있으며, 이는 친여(親與)로 분류되는 인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방송위의 본색이 여실히 드러낸” 사건이라고 음모론을 제기하고 있다. 또 한편으로 사설은 “공공재인 전파를 광고로 조각내는 기형적인 시청 환경”이 될 것이라며 방송의 공공성 저해도 걱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이 개연성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여권이라 할 수 있는 대통합민주신당 한 의원조차 “이번 국감에서 의원들은 시청자들을 중심에 두고 신중한 결정을 하라고 주문하는 의견이 많았다”며 “국감이 끝나자마자 뒤통수치듯이 이럴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고 하니 말이다. 단순한 립서비스일 수도 있고 사설이 주장하는 바가 개연성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어쨌든 중앙일보의 ‘대선국면 보은론’은 어쨌든 해묵은 방송과 신문간의 갈등에서 비롯된 감정 섞인 발언인 것만은 분명한 것 같다.

따라서 이번 중간광고 해프닝은 방송과 신문간의 갈등관계를 더욱 증폭시킬 기폭제가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 와중에 신문은 케이블TV 및 시민단체와 반(反)지상파 전선을 구성하는 희한한 연합전선에 가담할 것이 확실시(!) 된다.

50보 100보

여하튼 이번 방송위의 결정은 앞으로 지속적인 논란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분명히 중간광고는 시청자 입장에선 반갑지 않다. 광고 중간에 삽입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아이러니는 이미 케이블TV에서 많이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이러한 이슈가 제기된 마당에 케이블TV와 종이신문들의 광고행태도 같이 도마 위에 올려놓았으면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이 세상은 자본주의 체제이기 때문에 광고를 안 볼 수 없다.(심지어 이 블로그에서조차 ^^) 하지만 지상파 뿐만 아니라 케이블과 신문의 광고 역시 어떤 때는 도를 넘었다 싶을 정도이긴 마찬가지이다.

특히 신문의 경우 한창 부동산이 폭등할 때 이게 신문이냐 찌라시냐 싶을 정도로 부동산 관련 전면광고가 넘쳐 났다. 종이신문은 신나게 지면을 팔아댔고 기사 역시 어디에 투자를 하면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투의 부동산 폭등을 부추기는 내용들이었다. 이것은 사실 건설업체 홍보실과 결탁된 기획기사일 경우가 많았고 이는 우리 중앙일보 논설위원께서 걱정하시는 “공공재인 신문을 광고로 조각내는 기형적인 구독 환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니 이참에 방송과 광고 양 쪽 모두 ‘자본에 종속되지 않은 콘텐츠 환경 만들기 자정선언’을 함께 조직해나갔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4 thoughts on “방송위의 중간광고 허용 결정 쟁점 정리

  1. Pingback: 5월의 작은 선인장

  2. 나우리

    개인적으로는 중간광고 도입에 대해서 부정적 입니다. 꼼꼼히 쟁점을 챙겨 보지는 않았지만 지상파 광고가 줄어들었다고 하지만 케이블의 자사 채널로 광고가 옮겨간 것 뿐이며, 지상파는 한정된 전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공익성에 충실해야 하는데 그런면에서도 소홀한 측면이 많습니다.
    매체간 균형발전과 공익성에 대한 방송사의 전향적인 자세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종일방송과 중간광고 허용은 적절한 정책이라고 동의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좋은 자료 보고 갑니다.

    Reply
    1. foog

      저도 역시 부정적입니다.

      암튼 이 글의 의도는 잘 아시리라 생각되지만 막연히 그러한 시청자의 심리상태를 넘어서서 뭔가 더 골깊은 갈등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이리저리 찾아보고 끄적거린 거라 중간광고 자체에 대한 제 호불호를 강하게 표현하지는 않았습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Reply
  3. 모듬살이

    절대 반대입니다.
    지상파와 케이블방송사간에 서로 자기 밥 그릇 챙기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와중에 있는 시청자들을 배려하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없어 안타까울 다름입니다.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