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 기사읽기 습관”에 대하여

항상 밀도 있는 글들로 나의 무지함을 일깨워주시는 periskop 님이 내가 올린 글에 대해 좋은 지적을 해주셨다.(해당 글 보기) 지난번 ‘북한의 미사일보다 더 무서운 것’이란 글에서 우리나라의 “사교육비 지출”이 OECD 평균의 10배에 달한다는 기사를 인용한 바 있는데, periskop님이 이 기사의 사실관계와 판단방식이 옳지 않음을 지적해주신 것이다. 세심한 배려에 감사드린다.

새삼 나는 또 다시 자문해본다. 우리는 신문과 방송 등 매스미디어의 내용전달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 것인가? 물론 코흘리개 시절에야 매스미디어에 대한 신뢰도는 절대적이었다. 서로 주장이 엇갈리다가도 ‘신문에 나왔다’고 우기면 팥으로 메주를 쑨대도 믿었다. 그러다 어느 순간 내 스스로 사고를 하게 되었다는 ‘착각(?)’에 빠지면서 매스미디어에 대한 신뢰를 불신으로 변했다.

‘땡전늬우스’, ‘조중동’, ‘사이비 기자’ 등은 매스미디어에 대한 권위의 내부적인 붕괴를 상징하는 단어들이다. 권위는 외부적인 환경변화에도 위협을 받았다. ‘블로그’, ‘시민사회’, ‘인터넷 포럼’, ‘내부고발’ 등 대안매체 또는 독립적인 목소리의 등장 등이 이러한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여하튼 매스미디어의 안팎을 둘러싼 사회적 변화는 상호조응하면서 발달해왔고, 이제 매스미디어는 그 스스로 새로운 역할과 위상으로 자리 잡아야 하는 격변의 시기를 겪고 있다.

요컨대 현 시점은 결국 매스미디어가 흔히 ‘언론(言論)’이라고 부르는 것들에서 압도적인 정보의 우위를 점하는 미디어였지만, 그것이 언론 그 자체는 아니라는 새삼스러운 진리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periskop님의 집요한 사실추적과 그것의 공표행위는 매스미디어가 더 이상 ‘정보의 성역’이 아님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한다. 인터넷과 블로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이 기사의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반박하는 데에 수많은 절차를 거쳐야 했을 것이고 효과가 미미하였을 것이다.

다시 애초 발단이 된 기사로 돌아가 보자. 일단 periskop님의 지적에 따르면 기자는 크게 두 가지 실수를 저질렀다. 첫째, 그는 기획재정부 배포자료에 ‘교육기관에 대한 민간의 지출액’이 0.8%임에도 0.3%라고 잘못 받아 적었다. 둘째, 그는 ‘교육기관에 대한 민간의 지출’을 ‘사교육비’라고 간주하는 판단의 실수를 저질렀다. 이런 과정을 거쳐 기사는 “한국 사교육비 OECD 10배”라는 엄청난 제목으로 탄생했고, 나같이 어리석은 사람들은 땅이 꺼져라 한숨을 쉬며 기사를 읽었다.

periskop님은 글 속에서 은연중에 앞서 내가 회고하였던 매스미디어의 권위약화를 암시하면서 “오히려 독자로서 비판적 기사읽기 습관을 더 연마”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이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이다. 우리는 매스미디어를 대하면서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한 가지 토를 달고 싶은 것이 있다. 위에 periskop님이 지적하신 기자의 두 가지 실수 중 첫 번째 실수에 대해서까지 우리가 ‘비판적’인 확인절차를 거쳐야 하는 가이다. 아직도 여전히 상대적인 권위를 유지하고 있는 매스미디어에 대해 그 정도까지 확인절차를 밟아야 하는 가이다.

숫자틀린 행위와 숫자를 다르게 해석하는 행위는 전혀 다른 차원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가끔 주류 경제연구소의 논조에는 반대하지만 그들의 기초 자료에 대해선 거의 전적으로 신뢰하는 편이다. 조중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기자의 저런 어처구니없는 실수에까지 사실 확인절차에 시간을 쏟아야 한다면 차라리 신문구독이나 뉴스 시청대신 통계청 자료에 전적으로 사실관계를 의존하여야 할 것이다.(사실 통계청 자료도 때로는….) 이것은 나의 매스미디어에 대한 당연한 요구사항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신문 산업이 상당히 어렵다고 한다. 기자들도 거의 기사를 ‘찍어내는’ 수준으로 고강도의 노동에 시달린다고 한다. 질(質)보다는 양(量)으로 승부하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그러다보니 실수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어쩔 수 없다. 날밤을 새서 피곤해서 숫자를 잘못 봤어도 직업인으로서 그런 기초적이면서도 치명적인 실수는 분명 잘못된 것이다. 자신이 책임질 일이다. 그런 기초적인 실수가 ‘독자의 비판적 기사 읽기’를 통해 밝혀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16 thoughts on ““비판적 기사읽기 습관”에 대하여

    1. foog

      네 저 역시도 몇번 지적한 바 있지만 그러한 경계가 모호한 것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위 사례처럼 원 자료로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경우는 반박의 여지가 없죠.

      Reply
  1. Pingback: 일본과 한국, 그리고 광장시장(?)

  2. JNine

    기사에서 오류는
    1. 의도적으로 아전인수
    2. 사실 제가 잘 모르는데 그냥 썼습니다.
    3. 앗차 실수~
    뭐 이정도로 분류할 수 있겠는데 당연히 1 >>> 2 >>> 3 의 순서로 사람들 골을 후벼 파지요;;;
    3번이라면 ‘사람이니까’ 하고 넘어가 줄 수 있는데
    1, 2번으로 글을 싸놓고도 ‘기사’ 라거나, ‘기자’ 라는 말을 붙이면 ‘진짜 기자(저널리스트)’의 ‘기사’를 욕먹이는 거죠. 그래서 전 앞으로 기자다운 기자를 제외하고는 ‘찌라시스트’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공대생이 고민(?)해본 ‘저널리즘’과 관련한 글 하나 트랙백 합니다.(foog사마를 비롯한 몇몇 블로그에는 트랙백도 조심스럽다능;ㅁ;

    Reply
    1. foog

      갑자기 생각난 것인데 매스미디어 기사일지라도 웹에 올라온 것들은 위키피디어처럼 독자가 임의로 수정이 가능하면 어떨까요? 아니면 최소한 댓글과는 별도로 기자에게 직접 사실관계를 통보할 수 있는 통로라도.. 🙂

      Reply
    2. JNine

      그것도 괜찮네요. 레퍼런스를 밝히고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정시 기자에게 통보하여, 확인 혹은 재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을 기록으로 남기면 기자도 편하고, 집단지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오보도 많이 줄것 같네요. 누가 그런 시스템 언론사에 안만들어 파나;;;

      Reply
  3. 뭐 저야 민망할 따름..
    보통 저는 저 정도로 쇼킹한 내용이 들어가면 원문을 꼭 확인해 봅니다만..
    아무리 기자가 바빠졌다고 해도 그런 건 비판할 때 고려할 필요가 전혀 없지요.
    자기 이름 박고 오보를 날렸다면 욕 먹어 쌉니다..

    Reply
  4. 댕글댕글파파

    이런 일도 있었군요… 요즘은 글을 보고 그대로 받아들이기가 힘든 세상입니다. 어떤 글이던지….^^;;

    그나저나 periskop님은 역시 꼼꼼하시고 똑똑하시다는…
    글도 상당히 꼼꼼하게 쓰시던데…

    Reply
  5. 채승병

    헉, 저는 그냥 참고하시라고 트랙백 보내드린건데 이렇게까지 글을 써 주셨군요. foog 님의 성실하심에 다시금 고개를 끄덕입니다.^^
    사실 저도 예전 같았으면 이런 ‘XX 같은 기자 Y & 언론사 Z들~!’ 하고 말았겠습니다만 펄 님을 비롯하여 여러 기자 분들이 생각나서 조심스러워지더군요. 더군다나 직장은 은근히 언론사와 공존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죠. 그렇지만 국내 언론사 믿고 함부로 인용했다가 뒷탈나면 역시 핑계가 되지 않으니 알아서 비판적으로 봐야 하고…… 이런 여건이 요즘 저의 사고와 행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a

    Reply
    1. 저를 기자라고 떠올리지 마시고 그냥 ‘펄’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그리고 기자들의 잘못에 대해 지적해 주는 글을 볼 때마다 좋은 교훈을 얻으니까 절대 ‘조심스러워’ 하지 마시고 날카로운 지적 부탁드립니다~~
      (사실 우리 신문이 자주 승병님이 다니는 회사와 종종 협력하여 기획 시리즈를 쓰거나 하긴 하지요.. 하지만 인터넷상에서 전 그냥 펄입니다~~)

      Reply

Leave a Reply to login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