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주의는 무엇으로 사는가?

9월, 아이젠하워는 편지를 통해 이든에게 <실제보다 훨씬 나세르를 중요한 인물로 만들>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영국 외무차관 이본 커크페트릭 경은 “대통령이 옳기를 나는 진심으로 바란다. 그러나 나는 대통령이 잘못 알고 있다는 점을 확신한다…… 만약 나세르가 그의 위치를 공고히 하여 점차적으로 산유국들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는 동안 우리가 뒷짐만 지고 있다면 그는 우리를 파멸시킬 수 있으며, 우리의 정보에 따르면 그는 우리를 좌초시킬 마음을 먹고 있다. 만약 중동의 석유가 한두 해 동안 우리에게 공급되지 않는다면 우리의 금보유고는 바닥날 것이다. 그리고 금보유고가 바닥나게 되면 영국 화폐통용 지역은 와해될 것이다. 또 영국 화폐통용 지역이 와해되고 금보유고가 바닥나게 되면 우리는 독일은 물론이고 세계 다른 어떤 지역에도 군대를 파견할 여력을 잃게 될 것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방위를 위한 최소한의 방위비조차 지불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그리고 자국을 방위하지 못하는 나라는 결국 소멸될 것이다”라고 격렬히 반론을 제기했다.[황금의 샘(원제 : The Prize), 다니엘 예르긴 지음, 김태유 옮김, 고려원, 1993년,pp321~322]

예전에 ‘여자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드라마도 있었지만 이 인용문은 제국주의 또는 패권주의 국가가 무엇으로 사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영국은 그들의 식민지인 인도나 사실상의 식민지나 다름없던 중동으로부터의 막대한 무역차익과 석유 자원을 통해 지탱되는 체제였다.

그래서 사실 우리가 위대한 서방의 정치인으로 추앙해마지 않는 윈스턴 처칠마저 뼛속깊이 제국주의자였을 뿐 아니라 식민부 장관직을 수행하기도 했었다. 그러한 입장은 좌우를 가리지 않았다. 위에서 인용하고 있는 사태, 즉 수에즈운하 국유화에 따른 나세르 축출작전이 시도되었던 시기, 영국은 노동당 집권시기였다.

왜 정치적 입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제국주의 국가의 대외정책은 쉽게 바뀌지 않는가? 그것은 그들의 체제가 정치적으로 세분화되기 이전에 이미 식민지 – 또는 신식민지 – 자원의 수탈을 기초로 공고화되어 있는 체제였기 때문이다. 그러니 좌파가 집권하더라도 가용자원은 역시 식민지로부터 수탈하여야 하는 체제를 바꾸기는 어렵다.

영국 외무차관의 발언은 그 핵심적인 벽돌을 제거할 경우 패권주의가 어떻게 붕괴되는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영국은 진작에 빼앗긴 기축통화의 지위와 함께 이 수에즈 사태에서 이집트에 – 사실은 미국에 – 굴복함으로써 소멸까지는 아니더라도 패권을 빼앗기게 되었다.

오늘날의 미국이 당시의 영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그들은 금본위제와 연계되지 않는 달러본위제의 기축통화를 가지고 있다는 점, 미국 스스로 중추적인 산유국이라는 점이다. 이 두 가지 특징은 20세기 형 패권주의의 핵심적인 필요조건이 되었다. 통화와 자원, 이것은 21세기 형 패권주의에도 역시 유의미한 키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2 thoughts on “제국주의는 무엇으로 사는가?

  1. login

    다른 점이 있긴 하지만 역대 강대국들의 흥망을 보듯 미쿡도 그런 조짐이 보인다는 사실이죠.

    Reply
    1. foog

      그때와는 여러 면에서 다른 면을 보이는 데 이 차이가 큰 차이인지 아니면 작은 차이인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Reply
  2. Pingback: 서울비

  3. Adrian Monk

    제국주의는 어떻게보자면 현재 형성되어있는 자본주의의 세태의 핵심적인 요소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학자들이 논하는 이상적인 자본주의 말고, 어디까지나 지금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자본주의를 이야기하는 거에요) 제국의 식민지나 시장이나 누군가에겐 먹잇감으로 보인다는 것은 변함이 없어보이고, 끝없는 성장을 목표로 한다는 면도 엇비슷하군요.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성장은 곧 영토의 확장 정도로 해석하면 좋겠죠)
    이렇다보니 성장없이 지속가능한 경제체제가 존재할지 그게 궁금해지는군요.

    Reply
    1. foog

      자신의 소비를 위해서가 아닌 시장에서의 판매를 위한 생산, 즉 상품이라는 존재의 필요조건은 바로 필요이상의 생산을 받아줄 시장이죠. 그것이 영토의 확장을 통한 시장개척이 아닌 내수에서의 리싸이클링 시스템을 통한 시장개척이라면 어느 정도 지탱가능한 체제가 가능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어렴풋이 해봅니다.

      Reply
  4. 저련

    대인배 나세르.. ㄲㄲ

    외부와의 불균등교환(‘착취’가 가진 감정적 의미를 뺀 표현으로 적당한 것 같습니다)이 자본주의의 채택으로 인해 제국주의의 중대한 동인가운데 하나가 되었다면, 내부적 동원은 제국이 생겨날 때 부터, 그러니까 페르시아나 로마, 진, 한대부터 제국주의의 중대한 동인이 되어 온 듯 합니다. 뒤쪽에 있는 한 무제 치하의 치열한 대외팽창 기록을 보면 말문이 막힐 지경이니.. 어쨌든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균형있게 보는 것이 역시 제국의 흥망을 살펴볼 때 중요한 요소로 보입니다.

    Reply
    1. foog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강자의 확장욕은 늘 있어왔고 자본주의 확장욕이 체현된 것이 상품시장이라고 보는 편이 합당하겠죠. 결국 인간내면의 불안감에 기인하지 않는가 하는 것이 어줍잖은 제 생각입니다. 🙂 암튼 우스운 것이 나세르를 제거하려는 영국과 프랑스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를 제2의 히틀러라 생각했다는 점입니다. 똥뀐 놈이 성낸다더니… 하는 짓들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죠..

      Reply
  5. Pingback: 나는 브리꼴뢰르bricoleur

  6. 미키맨틀

    그 달러 본위제보다 전 미국이 최상위권 산유국이라는 게 더 놀랐습니다.
    2006년 통계를 보니 미국이 산유량으로 따지면 세게 3위입니다.
    그런데 석유를 수입하는라고 그렇게 무역적자를 내는 것을 보니 미국의 석유 소비량은 안드로메다로 나가는 것 같네요.

    Reply
    1. foog

      실제로 미국에서 최초로 석유가 대량으로 발견되고 상업화된 이래 미국의 세계 최대 산유국으로서의 지위는 한동안 이어졌습니다. 이후 중동에서의 엄청난 규모의 유전 발견으로 그 순위가 내려오긴 했지만 오늘날 미국의 강대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진 원천은 석유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죠. 2차 대전 당시 연합국에 미국이 수많은 군수물자를 팔고 자금을 제공하며 부를 키웠습니다만 그 중에서도 특히 연합국이 소비한 석유의 90%는 미국에서 공급했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연합국의 승리도 미국의 성장도 석유와 궤를 같이 한다고 봐도 되겠죠.

      Reply
  7. 쉐아르

    결국 자신의 위치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면 무력을 써서라도 안전하게 확보를 해놔야 한다는 거군요. 국가의 입장에서는 사느냐 죽느냐가 있지 선하냐 아니냐는 중요하지 않은 판단기준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선하게 행동하는 것도 어쩌면 오래 살기 위한 것이라 해석될 수 있으니까요.

    Reply
    1. foog

      그래서 마키아벨리 등을 비롯한 많은 사상가들은 국가, 또한 그것을 대표하는 군주의 행동은 일반인에게 적용되는 도덕적 잣대로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을 해온 것이겠죠. 일종의 유기체로서의 국가의 생존본능이 도덕성과 배치될 때에는 별 상관없는 – 또는 오히려 그로 인해 손해를 보는 – 국민들조차 국가이데올로기적인 사고를 하는 것이 꽤 흔하죠. 🙂

      Reply

Leave a Reply to 저련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