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란, 그 애증의 관계

미국에게 있어 이란은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국가였다. 첫째, 과거 소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로서 공산권 확산의 저지선 역할을 수행하는 나라였다. 둘째, 더욱 중요하게 주요 산유국으로서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게 안정적으로 원유를 공급하는 나라였다. 이러한 두 가지 사유로 인해 미국은 무하마드 팔레비 국왕의 독재정치를 배타적으로 지원하는 입장이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결합하며 미국은 다음과 같은 또 다른 이익도 향유할 수 있었다.

이란 지도

미국은 산유국으로부터 석유를 얻는 조건으로 대신 거대한 양의 무기를 제공했다. 심지어는 지난 1991년 걸프전쟁 당시 미국의 적이었던 사담 후세인에게 무기를 수출하기도 했다. 무절제한 미국의 무기수출은 이전에도 있었다. 그 예로 1963년부터 73년까지 닉슨 행정부는 이란에 1억2800만 달러의 무기를 판매했고, 73년부터 76년까지는 그 판매액이 110억 달러에 달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쟁의 공포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우리 모두 머리 속으로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만약 소련이 무기를 선적한 배를 멕시코에 보냈다면 우리는 어떤 행동을 취했을 것인가?”[제임스 레스턴 회고록 데드라인, 제임스 레스턴 지음, 송문홍 옮김, 동아일보사, 1992년, p375]

이란 왕정은 반공(反共)을 철저한 국시로 하는 동시에, 과거 페르시아제국의 영광을 되살리겠다는 망상에 사로잡힌 국왕이 지배하는 나라였다. 결코 현대적 의미에서의 민주주의 국가라고 할 수 없었으나 그것은 미국의 관심사항이 아니었다. 팔레비 국왕은 석유국유화를 추진하던 민족주의자 모사데그의 대체재였다. 이란은 그저 중동 공산화의 차단기 및 석유공급지의 역할에 충실하므로 그것으로 만족스러웠으며, 나아가 무기까지 수입해주니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었다.

원래 이란은 – 나아가 중동지역 전반이 – 당초 대규모의 석유가 발견될 즈음에는 영국의 텃밭이었다. 그러나 영국의 석유회사가 모사데그 총리가 주도한 호전적인 민족주의 정치세력에 의해 국유화되고 쫓겨나고부터 그 지역의 주도권은 미국으로 넘어가기 시작했다. 당초 자국의 석유생산만으로도 충분했던 미국은 점차 원유공급처 확보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중동을 그들의 원유공급처 및 무기수요처로 삼아 헤게모니를 장악하여 왔던 것이다.

수구왕정인 사우디와 이란이건 희한한 이슬람식 사회주의를 주장하는 사담 후세인이건 간에 자국 및 자국 석유메이저의 이해관계와 일치하는 정치체제와 정치지도자라면 그것은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미국은 특히 이 지역에서의 석유 메이저의 이권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이 그렇게나 철칙으로 간주하고 있는 – 비록 미법무부는 상당기간 이에 반발하였지만 – 메이저 간의 담합과 협력을 묵인해주곤 했다. 석유는 단일상품으로써는 가장 큰 규모의 무역규모를 자랑하는 상품이자, 경제를 넘어선 정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란을 포함한 중동지역에서의 미국의 절대적 우위는 1950년대 이후 이슬람 민족주의를 주창한 나세르의 등장과 이에 감화된, 또는 내몰린 중동 각국 정권 수뇌부의 대중주의적 움직임, 이스라엘과 중동 간의 갈등격화 등으로 말미암아 점차 흔들리게 된다. 그리고 1970년대 초반 마침내 1960년 설립되었으나 한동안 주목을 받지 못하던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제4차 중동전쟁을 맞아 석유무기화에 성공하면서 수요자 주도의 석유시장과 중동에서의 서구의 – 특히 미국의 – 패권은 도전을 받게 된다. 그리고 그 하이라이트는 분노로 가득 찬 기괴한 얼굴을 한 늙은이 호메이니에 의한 이란 왕정 타도였다.

귀여운 OPEC 마크

대체 이란 왕정은 어떻게 그렇게 허무하게 무너졌을까? ‘황금의 샘(원제 The Prize)’에서 저자 다니엘 예르긴은 이란 왕정의 붕괴가 임박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 내에서 국왕이 패배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었다고 한다. 더 나쁜 것은 그들에게는 국왕 이외의 다른 대안이 없었다는 점이다. 예르긴의 책에 따르면 미국의 국방부 정보국은 1978년 9월 28일, 국왕이 “향후 10년 이상 권력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예측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불과 4개월 후인 1979년 2월 1일 호메이니가 테헤란에 입성한다.

진실은 알 수 없다. 그러나 어쨌든 그것은 미국과 이란의 호시절의 종말이었고 이후 관계는 뚜렷하게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는 미국에게는 원유확보와 무기수출, 그리고 지정학적 우위 등 여러 면에서 불이익이 되고 있다. 또한 당연히 주변국들에게 미국과 사이가 멀어진 이란은 새로운 구애의 대상이 되고 있다. 다음은 비록 실제로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지정학적으로 이란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가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더군다나 러시아, 이란, 베네수엘라에 이르는 비동맹 산유국의 – 심지어는 중국까지 아우르는 – 연합 가능성은지금도 상존하고 있다.

1996년 초, 옐친 대통령은 서구 중심적 외무장관인 고지레프를 갈아치우고 그보다 경험이 풍부하며, 과거 공산 체제의 정통 국제 분석가였던 예브게니 프리마코프(Evegenniy Primakov)를 그 자리에 앉혔는데, 프리마코프의 장기적 관심 대상은 이란과 중국이었다. 몇몇 러시아 분석가는 프리마코프가 유라시아에서 미국의 일등적 지위를 감소시키는 것을 지정학적 목표로 삼는 세 국가간의 새로운 ‘반패권’ 동맹을 만들고자 조급하게 노력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거대한 체스판, Z. 브레진스키 지음, 김명섭 옮김, 삼인, 2000년, p155]

나아가 현재 이란 정부는 새로운 중동 역학관계를 위해 자신들만의 핵 프로그램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어 미국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그러고도 보란 듯이 큰 소리다. 이란의 마흐무드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은 “우리가 서방을 필요로 하는 것보다 서방이 우리를 더 필요로 한다”고 호언하고 있다. 세계 네 번째 규모의 석유 수출국이며 세계 최대 규모의 천연가스 매장고를 자랑하는 나라의 수장의 말이니만큼 허언은 아니다.

오바마는 이러한 이란에게 두 가지 선택권을 주었다.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거나 아니면 더 심한 제재를 당할(either give up its nuclear program and get rewarded for doing so, or it will face intensified sanctions)” 것인지에 대한 선택권이다. 이전 정부와 크게 달라진 점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대외적 수사와 물밑 협상은 또 다른 것이다. 아흐마디네자드 역시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바라고 있다. 지난 번 글에서 오바마가 이스라엘을 핵보유국으로 언급한 것은 어쩌면 이러한 차원에서의 관계개선의 제스처였을 것이다.

14 thoughts on “미국과 이란, 그 애증의 관계

  1. Adrian Monk

    요즘 부쩍 외교와 관련한 글을 자주 보여주시는군요. 😀
    미국이 전 세계의 모든 나라와 여러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자명합니다만, foog님 글을 읽고 나니 중동과의 관계는 특히 여러모로 긴밀해보입니다.

    Reply
    1. foog

      미국과 같은 서구에 있어 중동과의 관계가 긴밀한 이유는 에너지가 자본주의를 지탱해주는 힘이고, 이제 표면상으로는 에너지의 취득을 과거와 같은 제국주의적 방식이 아닌 외교적 방식으로 풀어야 하기 때문이겠죠. 🙂

      Reply
  2. 미키맨틀

    세계 제 3위 원유수출국이면서 정제 시설이 모잘라 우리나라에서 휘발유를 수입하는 이란도 정상적인 나라는 아니죠;;;;;

    Reply
    1. foog

      이란이 우리나라에서 휘발유를 수입하는 줄은 몰랐네요. 여하튼 정제시설과 같은 이른바 하류부문은 또 그 나름대로의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고 이를 위한 자본이 있어야 할터인데 미국과의 냉각기간 동안 이란 역시 많은 재정적 곤란을 겪게 되었을 터이고 그러다보니 산유국이 그것의 가공품을 역수입하여야 하는 사태까지 몰린 게 아닌가 싶네요.

      Reply
    2. 저련

      80~88년에 걸쳐 이라크와 치열한 전쟁을 펼치느라 국력이 소진된 탓이 좀 큽니다. 요새는 좀 나아졌습니다만, 10년을 혁명과 전쟁으로 보냈으니 오죽하겠습니까.

      Reply
    3. foog

      그때 국민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만화 페르페세폴리스를 보면 잘 나와있지요.

      Reply
  3. Pingback: Humanist

  4. Pingback: seoulrain's me2DAY

  5. iulisiz

    글 잘 봤습니다.

    ” 분노로 가득 찬 기괴한 얼굴을 한 늙은이 호메이니에 의한”에서 엄청 웃었습니다^^ 정말 이쪽 동네 성직자들은 왜 그리 무서운 표정을 짓고 있는지.

    Reply
  6. daremighty

    사실 이란의 팔레비 정권은 서방이 세운 괴뢰정권이죠. 1940년대 후반에 세계적인 석유국유화 움직임 하에서 모사데크의 합리적인 요구를 영국이 받아주기만 했어도 지금의 이란은 아마도 아랍에서 가장 선진국이 되었을 지도 모릅니다. 영국의 무리한 욕심으로 나름 당시의 민족주의자 중에서는 가장 합리적이었을 모사데크 정권을 밀어내버린 서방의 인과응보죠. 후진적인 왕조를 몰아내고 착취당하던 국익을 지킨 이란국민의 영웅을 밀어내버렸으니 그 반작용으로 급진과격파가 힘을 얻게되는 건 당연합니다.

    호메이니도, 자신들이 만들어 낸 정권을 외세에 의해 빼앗기고, 30여년을 탄압받은 정치/종교지도자가 걸었어야 할 인생을 생각해보면, 그 표정이 이해되기도 합니다. 이란의 지금 상황은 서방의 원죕니다.

    Reply
    1. foog

      서방의 원죄하니까 지금까지도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는 스리랑카의 내전이 생각나는군요. 영국애들이 차 좀 마시겠다고 인도인들을 집단이주시켜 오늘날 이 분쟁의 씨앗을 심었다죠.

      Reply
  7. madsh

    안녕하세요 좋은 글 정말 잘 읽었습니다. 혹시 이 글을 좀 퍼가도 되겠습니까? 물론 출처는 밝히고 ^^..

    Reply
    1. foog

      네 퍼가세요. 블로그 아래 보시면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이라고 써있습니다. 🙂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