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자본주의적일까?

훗날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 시카고학파의 경제학자가 되는 로널드 코스가 1930년 LSE의 한 수업에 들어왔고, 그 수업에서 그는 신고전파 경제학 그리고 그것이 자유시장 경쟁을 옹호하는 논리를 처음으로 배우게 된다. 그 과목의 교수였던 아널드 플랜트는 모든 종류의 경제계획에 반대했으며 시장의 가격 결정 시스템이야말로 최적의 조정 매커니즘이라고 이해했다. 코스는 아주 먼 훗날 그 당시 자신이 ‘사회주의자’였음을 회상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사회주의에 대한 나의 공감과 플랜트 교수의 접근법을 어떻게 화해시켰는지 궁금할 것이다. 짧게 대답하자면, 나는 그 둘을 화해시킬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했다.” 그는 미국에서 연구로 1년을 보내는 동안 기업 자체가 “작은 계획사회”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만약 교수들이 가르친 대로 정말 가격만 있으면 경쟁적 시장경제가 기능할 수 있다고 한다면, 어째서 비시장적인 권위적 위계조직인 기업들이 존재하는 것인가?[신자유주의의 좌파적 기원, 조하나 보크만 지음, 홍기빈 옮김, 글항아리, 2015년, p71]

기업에 근무하면서 자주 드는 생각이 바로 이것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을 담당하는 기업이야말로 가장 비자본주의적인 조직인데, 왜 자본주의자들은 자본주의 시스템의 이 이단아를 용인하는 것일까? 기업은 항상 계획 경제적 사고를 한다. 일정한 기간 동안의 생산 및 소비 목표를 미리 계획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슬로건을 만들어 조직원에게 주지시킨다. 기업 조직원 간의 시장적 경쟁이 존재하기도 하지만 제한적이다. 특히 자본가는 궁극적으로 시장에서의 경쟁을 싫어하고 독점을 원한다. 자본가는 자본주의자가 아닌 셈이다.

이처럼 기업은 시장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합목적적으로 발생하여 사회의 수요에 부합하여 집단적으로 기능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최초의 기업은 왕의 허가 하에 혹은 왕가가 직접 운영하는 유사국영기업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고 자본주의 제조업이 대공장의 형태를 띠면서 보다 유사군사조직을 방불케 하는 위계적 조직으로 발전하였다. 칼 맑스는 역설적으로 이러한 군사적인 위계조직이 강고한 노동자 조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보았고 실제로 노동조합 또한 위계적인 성격을 지니게 된 것이다.

Detalle de Lenin.jpg
Detalle de Lenin” by JaontiverosOwn work. Licensed under GFDL via Wikimedia Commons.

어쩌면 블라디미르 레닌은 그러한 자본주의 기업의 성격을 이미 간파하고 자본주의의 마지막 단계를 국가독점자본주의로 상정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 단계는 자본주의가 더욱 강고하게 된 것이 아니라 비자본주의적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여 시장 자체의 기능을 마비시키고 있는 상황이 최고조에 달한 단계랄 수 있다. 혁명가가 할 일은 가장 비자본주의적이 된 이 단계에서 사적소유를 사회적 소유로 돌리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실제로 현실에서 자본가의 자본(equity)은 전체 자산(asset)에서 극히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상적인 시나리오라 생각될지 모르지만 이러한 일이 현실이 될 뻔 한 적도 있다. 바로 금융위기 때의 금융회사 자본투입이 그 사례다. 당시에는 망한 메릴린치뿐만 아니라 골드만삭스나 RBS등 어느 기업하나 성한 것이 없었다. 무너지지 않을 것만 같던 위계적 기업의 거대한 성이 와르르 무너질 상황이었다. 혁명가는 다만 그 성에 주춧돌만 갈아 끼우면 될 것이었다. 하지만 정부는 혁명가가 아니었기에 그들은 보통주를 인수하는 대신 우선주를 인수하여 자신의 의사결정권을 스스로 제한하거나 수동적 관리인 역할을 택했다.

그렇게 혁명은 유보되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