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금융회사를 움직이게 하는가?

남자답게 통 크게 하자고 큰소리를 치기도 하고 조금이라도 이익을 더 보겠다고 안달복달하기도 하고 또 주주의 가치를 지켜야 한다는 입에 발린 말을 하기도 했지만, 결국 모든 문제는 이것으로 귀결되었다. 그래서 살로먼이라는 이름이 <월스트리트 저널>과 <뉴욕 타임스>의 주식시세표 중간에 실릴 묘비 광고 왼쪽이 아니라 오른쪽에 놓이게 된다면, 구트프룬트와 토머스 스트라우스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입수합병에 재를 뿌릴 수 있었다. 또 얼마든지 그럴 준비가 되어 있었다.[문 앞의 야만인들 RJR내비스코의 몰락, 브라이언 버로/존 헤일러 지음, 이경식 옮김, 크림슨, 2009년, p565]

지난번 글에서 소개하기도 했던 ‘문 앞의 야만인들’을 읽다가 재밌어서 옮겨 적어보았다. 당시까지 역사상 가장 큰 LBO 거래였던 RJR내비스코라는 거대기업의 인수합병 건에 달려든 선수들이 대체 어떤 동기를 가지고 있었는지에 대한 단편을 엿볼 수 있는 장면이다. 굵직한 선수들만 거론하자면 시어슨(Shearson), 살로먼 브라더스(Salomon Brothers), KKR, 드렉셀번햄램버트(Drexel Burnham Lambert)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거래에서 넷 중 시어슨과 KKR은 서로 경쟁하는 입장, 그리고 살로먼과 드렉셀은 각각의 우군이었다. 그러던 중 경영진을 잡고 있는 시어슨과 자금력을 가지고 있던 KKR이 서로 연합하여 공동으로 주선을 하는 국면에 접어들자 그들에게 채권조달 등을 통해 자금을 대줄 살로먼과 드렉셀도 컨소시엄에 합류할 상황이 된 즈음이다. 그리고 여기서 살로먼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묘비 광고 왼쪽”을 차지하는 것이 된 것이다.

당시 KKR은 LBO의 최강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던 상황이었고 이러한 성공의 비결에는 드렉셀의 – 소위 “정크본드”라고 불리는 – 고수익률채권(high-yield bond)의 조달능력이1 있었다. 다양한 구조화의 방법이 있겠으나 LBO는 주주의 자본과 은행권의 선순위 사이에 고수익률채권을 섞는 방식이 주로 사용됐고 드렉셀은 그러한 채권조달의 최강자였다. 그런데 이제 살로먼이 그러한 드렉셀의 명성에 도전을 하려는 상황인 셈이다.

묘비(tombstone)란 금융업에서는 IPO 등 특정 거래를 공식적으로 알리는 문서 또는 – 여기에서처럼 – 광고를 일컫는 속어다. 이 묘비에는 거래명, 거래금액, 거래당사자 등 거래와 관련된 주요사실이 나열되는데 당연히 주요 금융회사들이 나열될 것이고 살로먼은 그 묘비의 왼쪽, 즉 금융회사들 중에서도 선두에서 작전을 지휘한 역할을 했던 것으로 포장하고 싶었던 것이다. 수수료도 좋고 주주의 이익도 좋지만 명예도 중요했던 것이다.

국내 금융기관들도 IB의 역사가 어느덧 20년이 넘어간다. 이러다보니 각 기관마다 저마다의 트랙레코드가 쌓여간다. 그리고 이러한 트랙레코드가 꼭 건설업처럼 거래를 하는데 있어 정량적 평가의 평가요소가 되지는 않지만2 그럼에도 경험이 있다는 사실을 홍보하는데는 주요하게 쓰인다. 그리고 살로먼의 경우처럼 소위 “가오(顔)”를 살리는데 중요하다.3 그러다보니 실속도 없는 거래에 주선을 위해 뛰어드는 경우도 있다. 그놈의 가오를 위해서.

그게 남자다운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1. 80년대 음악과 대중문화를 소재로 한 흥겨운 코미디 웨딩싱어에서는 주인공인 쥴리아(드류 베리모어 역)가 약혼자 소개를 하며 ‘정크본드를 판다’고 하자 약혼자가 ‘정크본드가 아니라 하이일드본드다’라고 정정을 해준다. 일종의 조롱인 셈이다.
  2. 건설업에서는 특정 공사의 실적이 특히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입찰시 실적에 많은 비중을 두어 평가하고 이것이 또한 신규업체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3. 그래서 종종 규모가 큰 거래가 끝나면 크리스털로 된 실물의 묘비를 만들어 주요 당사자들이 사무실에 먼지가 쌓이게 놔뒀다가 대청소하는 날 한꺼번에 버리기도 한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