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의 착시현상

우리나라에서는 김혜수가 드라마에서 부르짖은 ‘엣지’라는 단어의 정체가 무엇이냐며 설왕설래한 바 있는데, 지금 외국의 경제학 관련 블로고스피어에서는 다른 ‘엣지’가 화제가 되고 있다. James Manzi라는 경제학자가 National Affaris란 보수우익 냄새 물씬 풍기는 제목의 사이트에 올린 ‘Keeping America’s Edge’가 바로 그 엣지다.

제목을 어설픈 실력으로 해석해보면 ‘미국의 경쟁력을 사수하자’쯤으로 읽힌다. 경쟁력은 바로 ‘자유시장 자본주의(free-market capitalism)’다. 필자는 미국의 경쟁력인 ‘자유시장 자본주의’에 대비되는 주체를 유럽의 ‘사회민주주의(social democracy)’로 상정하고 둘 간의 비교를 통해 전자의 우월성을 주장하였다. 문제는 이 주장의 근거가 틀렸다는 것.

문제가 되는 부분은 이 부분이다.

1980년부터 오늘 날까지, 미국의 전 세계 산출량의 지분은 일관되게 21%다. 반면 유럽의 지분은 1970년대 40% 약간 못 미치는 수치에서 오늘 날 25%까지 떨어지면서 지구적 경쟁에서 탈락할 지경에 있다. 혁신적인 자본주의 대신에 사회민주주의를 택했기 때문에 유럽은 (대부분) 중국, 인도, 그리고 나머지 개발도상국들에게 그들의 지분을 넘겨주고 있다.
From 1980 through today, America’s share of global output has been constant at about 21%. Europe’s share, meanwhile, has been collapsing in the face of global competition — going from a little less than 40% of global production in the 1970s to about 25% today. Opting for social democracy instead of innovative capitalism, Europe has ceded this share to China (predominantly), India, and the rest of the developing world.[원문보기]

이 서술이 사실이라면 정말 큰 문제다. 미국은 ‘혁신적이고 자유시장을 신봉하는 자본주의’를 채택하여 산출량이 끄떡없는데, 유럽은 사회민주주의로 경제를 망치고 있기 때문이다. 덕분에(?) 이 글은 미국의 우익들로부터 많은 칭송을 받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The New Public의 Jonathan Chait이 이 글의 맹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Chait는 Manzi가 그의 글에서 서술한 유럽은 사회민주주의의 서유럽뿐만 아니라 동유럽,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으로 포괄하고 있고, GDP의 기준이 되는 1980년 이후 미국의 인구는 35% 상승한 반면 유럽과 러시아는 각각 7%, 0.7% 상승한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요컨대 범위설정의 오류와 산출 원단위의 왜곡이 있었다는 것이다.

한편 Paul Krugman 역시 이 논쟁에 가세했는데, 그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만약 Manzi가 수행한바 유럽을 ‘광범위하게’ 적용한다 하더라도 실제 산출량은 40%에서 25%가 아닌 30%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결국 Manzi는 조사방법도 잘못 되었지만 그 숫자마저 잘못 산정하는 치명적인 오류를 저지른 것이다.

이 해프닝은 몇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현대사회에서 ‘숫자의 마술’ 혹은 ‘숫자의 착시현상’이 주는 편견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가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해준 해프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숫자는 공평하고 비정치적인 것으로 보이지만 당장 이 논쟁에서도 숫자는 가장 정치적인 도구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경인운하 사업성 분석, 주식의 기술적 차트, 세종시의 발전상, 원자력발전소의 수주금액 및 향후 기대수익 등은 하나같이 뛰어난 학식을 갖춘 전문가들에 의해 산출되어 그 기대효과가 마치 눈앞에라도 있는 것처럼 제시된다. 하지만 오늘 날 이 엄밀한 계량주의적 의사결정에 대한 맹신은 벽에 부닥치고 있다. 점차 많은 사람들이 숫자는 ‘사람하기 나름’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아직 경제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숫자나 그래프만한 것이 없다. 애매하고 흐릿한 상황도 숫자를 제시하고 이를 그래프로 표현해지만 군말이 없어진다. 사실은 Manzi의 경우처럼 몇 개의 숫자를 오려붙이고 산식을 꼬면, 또는 추세선을 더 넓은 범위로 확대하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옴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수(數)는 결국 사람이 셈하는 것이다.

4 thoughts on “숫자의 착시현상

  1. ginu

    계산도 제대로 못 하냐고 따지면 ‘about’ 25%라고 했잖수! 라고 응수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허허허-

    Reply
  2. 인용된 통계치가 신뢰할만한 것인지 판단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사회적 이슈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어젠더등등에서 통계치는 주제의 신뢰성을 배가시키는
    아이템 역할을 하는것 처럼 보입니다만 그중 신뢰할만 한 것은 얼마나 되는지
    항상 의심스럽습니다. ^^
    공신력있는 기관의 것을 인용했다 하더라도 해당기관의 지배구조를 볼 때 외부의 의지가
    영향력을 행사 할 개연성은 얼마든지 존재하는게 사실이기도 하구요.
    예로 67% 라는 수치는 저로하여금 표본집단이 3명이었던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하게 만듭니다.
    ^^ 그럴리야 이겠습니까만은.

    Reply
  3. charmless

    으하하하 그래프가 참 재밌네요.

    통계란 건 정말 다루기 어렵네요. 전문연구자가 아닌 저같은 소시민은 사실관계의 파악은 어림도 없고 그저 언론의 해석을 일방적으로 주입 당할 가능성이 매우 높죠.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