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을 생각한다’를 읽고]를 쓰고

며칠 전 블로그에 <‘삼성을 생각한다’를 읽고>라는 글을 올린 후 자칭 ‘댓글의 무덤’ 블로그에 적지 않은 댓글이 달리는 이변이 발생했다. 내 글의 냉소에 재밌어 하시는 분이 많았고, 일부 불편하시는 듯한 분도 계셨고, 또 극히 일부 ‘반어법’ 자체를 이해 못하시는 분도 계셨다. 아무렴 글이야 쓰는 사람의 손을 떠나가면 감상은 읽는 자의 몫이니 이를 탓할 일은 아닌 듯싶다.

여하튼 냉소적인 톤에 조금 불편하셨을 분도 있을 것 같아서 노파심에 한마디 변명하자면, 사실 개인적으로 이 책의 독후감을 쓰려고 생각한 순간부터 반어법이 아니라면 독후감을 쓸 수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그렇게 썼다. 너무 악취가 심한 이 암담한 현실에 무력감이 어깨를 심하게 짓눌러, 냉소가 아니라면 탈출구가 따로 없었기 때문이다.

여담이지만 사실 희극이라는 장르는 부조리한 현실을 어쩌지 못해 그것을 웃음으로라도 승화시키고자 발달한 장르로 알고 있다. 그래서 가진 자들과 모순된 현실에 대한 풍자가 희극의 최고봉으로 여겨져 왔다. 예를 들어 찰리 채플린의 ‘독재자’나 조나산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는 풍자를 통해 그 어떤 직설적인 비판보다 더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각설하고 또한 노파심에서 한마디 더하자면 나의 글은 당연히 삼성이라는 기업 자체에 대한 부정이 아니다. 또한 삼성의 노동자에 대한 부정이 아니다. 삼성일가의 노력(무시하지 못한다), 삼성 노동자의 희생, 사회적 뒷받침 등 모든 노력들의 총합체인 삼성이라는 기업은 우리나라를 먹여 살리는 고마운 경제주체이다. 이것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다만 자본주의 독점기업 상당수가 그러하듯이 – 다만 유독 삼성이 두드러지게도 – 자본주의 경쟁사회에서 삼성은 – 보다 정확하게는 삼성일가와 그 하수인들이 – 권력의 매수 등 불법적/탈법적 수단을 통해 사익(私益)을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고 실제로 실행에 옮겼다는 – 아니 옮겼다고 추정되는 –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싶다.

책에서도 김용철 씨가 주장하고 있듯이 그러한 각성은 반기업적/반자본주의적 행위라기보다는 오히려 가장 친기업적이고 친자본주의적 행위랄 수도 있다.(물론 자본주의 실재와 그 이상향이 일치하지 못한다는 반자본주의적 이데올로기 입장에서 비판할 수도 있고) 즉 역설적으로 주주자본주의의 이해에 가장 반하고 있는 이는 책에 따르면 삼성일가일 것이다.

그들의 행동은 자본주의적이라기보다는 봉건적이다. 소수지분을 가지고 순환출자를 통해 그룹에 대한 지배구도를 확립한 후 편법적인 장난질을 통해 엄청난 부를 친자식에게 증여하는 행위는 자본주의 경영학과 아무 관련이 없고 삼성이 지향한다고 추정되는 기업철학과 아무 관련이 없다. 그런 행위에 대해 사법부는 미사여구를 동원해 면죄부를 주었다고 김용철 씨는 주장한다.

하지만 사법부가 정당화시킨 것은 어쩌면 금권주의, 유전무죄/무전유죄라는 삐뚤어진 사회인식, 국내기업에 대한 외국인들의 부정적 시각, 그리고 경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봉건적 후계구도 등 부정적 유산뿐이다. 이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우리는 골드만 CEO의 다음 직책이 재무부 장관인 미국처럼 삼성임원이 관료로 직행하는 ‘선진국형 정경유착’의 시대에 살게 될지도 모른다.

이윤의 추구도 정도(正道)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 애초 불가능한 일을 꿈꾸는 백면서생의 생각 일뿐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적어도 자본주의 초기의 그 악랄한 자본가라 욕먹은 이들도 나름의 윤리는 있었다. 대표적인 독점자본가였던 록펠러는 극히 청교도적인 사고방식으로 기업을 경영하였고 2세는 전문경영인에게 회사를 맡기고 경영일선을 맡지 않았다.

적어도 그때는 그런 낭만이라도 있었다.

6 thoughts on “[‘삼성을 생각한다’를 읽고]를 쓰고

  1. tomahawk28

    제 생각도 그래요, 우리나라에서 재벌이란 ‘위엣놈은 사회주의, 아랫놈은 자본주의’란 의미 같기도 하고, 주주자본주의랑 세습경영의 나쁜 것만 골라먹고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독후감도 참 속 시원하게 쓰셨던데요. 후련합니다..

    Reply
  2. Inkyung

    자본가의 윤리가 자본주의 초기보다 퇴보한 걸까요, 아니면 우리나라의 자본주의는 진정한 자본주의가 아닌걸까요? 요즘 보여주는 재벌들의 행태나 사고방식은 과거의 대토지 소유 귀족, 양반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Reply
  3. sonospace

    전체 경제의 발전보다 자신의 이윤을 우선해 추구하는 자본가들의 모습을 보면, 자본주의는 자본가들의 경쟁으로 제 무덤을 판다는 마르크스의 주장에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저번 금융위기 때의 작태들을 보면 삼성만이 아니라 골드만삭스 같은 ‘선진적’ 금융회사들도 주체하지 못하는 탐욕이라는 측면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더군요 ㅎ

    Reply
  4. 키노

    자본주의라고는 하지만, 정작 우리 사회에서는 자본주의 체계와 시장이 제 기능을 못하는 거 같아요.
    사실상, 재벌들의 시장은 독과점만 존재하는데, 시장의 순기능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특히 범-삼성가는 사회 전반에 걸쳐 너무나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데, 이젠 확실히 민주주의의 적이라고 해도 모함이 아니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ㅠㅠ

    Reply
  5. Pingback: Red Rock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