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센 물결을 거슬러 올라간 사나이

2005년 5월 19일 – 계약조건이 최종 마무리되기 한 달 전에 – 마이크 버리(Mike Burry)는 그의 첫 서브프라임 모기지 계약들을 성사시킨다. 그는 도이치뱅크로부터 6천만 달러의 신용부도스왑(이하 CDS)를 구입했는데, 여섯 개의 서로 다른 채권에 각각 1천만 달러를 지불했다. 이것들은 “리퍼런스증권(The reference securities : 어느 한 신용주체가 발행한 채권)”이라 불렸다. 당신은 전체 서브프라임 모기지 채권 시장에 대한 보험을 구입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한 채권에 대한 보험을 매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버리(Burry)는 정확히 어떠한 것에 반대로 돈을 걸 것인지를 찾는데 몰두하였다. 그는 모기지 풀 중 가장 부실한 것을 찾아다니며 수십 권의 투자설명서를 읽고 수백 권의 투자설명서를 샅샅이 뒤졌다. 그리고는 여전히 그때까지도 매우 확신하고 있었던 것은 (그리고 나중에는 절대적인 확신으로) 그가 그것들을 작성한 변호사들을 제외하고는 그것들을 읽은 유일한 인간이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그는 또한 주택대출에서 그것들이 인출되기 전에 실행되었어야 하는 구식의 은행 신용분석을 수행하는 유일한 투자자 같은 이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구식의 은행가들과는 반대되는 사람이었다. 그는 가장 좋은 대출을 뒤지는 것이 아니라 가장 나쁜 대출을 뒤지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그것에 대해 반대로 돈을 걸 수 있었던 것이다.[The Big Short, Michael Lewis, Norton, 2010, pp49~50]

마이클 루이스의 신작 The Big Short의 일부를 번역하였다. 이 책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그러한 금융 붕괴를 예측하였던 이들이 누구누구며, 이러한 예측을 어떻게 하였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인용문에 언급된 인물은 이들 중 하나로 마이크 버리라는 펀드매니저다.

마이크 버리는 의사였지만 뛰어난 금융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 지식을 활용해 블로그를 운영하였다. 의사라는 직업에 회의를 느낀 그가 직장을 그만두자 그의 블로그를 눈여겨보던 일련의 투자자들이 그에게 돈을 맡겼고 그는 주식투자를 통해 큰 수익을 올려 이들의 기대에 부응하였다. 그런 그가 노린 다음 시장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이었다.

주식에 있어서만큼은 저평가된 주식에 투자하는, 소위 가치투자를 지향하였지만 부동산 시장 자체에 대해서는 매우 비관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시장의 비이성적인 열기를 바라보며 얼마 가지 못해 시장이 붕괴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그는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숏포지션을 취하기로 마음먹었다.

하지만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았는데 우선 어떠한 대상에 대해 반대로 돈을 걸어야 할지가 마땅치 않았던 것이다. 일단 서브프라임 모기지 등 무리한 대출을 실행한 금융기관을 공매도할 수 있겠지만 그것은 너무 장기적인 위험에 노출되는 것이었다. 결국 그는 투자은행을 수소문하여 당시만 해도 극히 드물었던 서브프라임 모기지에 대한 CDS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와 첫 거래를 튼 곳은 도이치뱅크였다. 이 거대 투자은행은 당시만 해도 마이크 버리라는 멍청이가 신용평가기관에 의해 AAA등급이 매겨진 안전한 채권에 반대편으로 돈을 걸겠다는 것에, 그리고 그럼으로써 공돈이 들어오는 것에 신나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다음 거래자 골드만삭스도 역시 상황을 몹시 즐겼다.

그들은 같은 등급이 매겨진 채권이라도 가장 악성 채권을 찾아내려는 마이크 버리에게 온갖 쓰레기 같은 채권들의 리스트를 이메일로 보내줬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손쉽게 가장 악성채권들을 골라내 그것들의 CDS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후 열심히 그는 다른 투자은행들과도 이런 계약을 체결하였고, 결국 최후에 웃는 자가 되었다.

이 에피소드는 매우 흥미로운데 그것은 시장이 상승기로 돌아설 때에는 우리가 의례 존재하리라고 생각하는 헤저(hedger)와 리스크부담자(risk taker)의 황금비율이 존재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음악이 흐를 때에 모든 그 훌륭한 투자은행들은 리스크를 부담해가며 대출에 열을 올리고 있었고 헤저는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마이크 버리도 엄밀히 말해서 헤저가 아니다. 그는 큰 흐름의 반대방향으로 돈을 건 리스크 부담자였다. 서로 반대편으로 돈을 건 리스크부담자들이었으므로 그들 간에는 일종의 제로섬 게임이었다. 진정한 헤저라면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장에 돈을 대주는 한편으로 마이크 버리가 개발한 CDS와 같은 상품으로 헤지를 해놓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당시로서는 무한대의 시장이라 여겨지던 주택시장의 바다에서 모두가 함께 리스크 부담자가 되었고 그것에 대한 반대의 경우는 마이크 버리와 같은 극히 소수의 사람들만이 고민하거나 또는 돈벌이의 기회로 활용하였다. 만약 마이크 버리의 예상이 빗나가 주택시장이 몇 년 더 호황기였다면 역시 한쪽으로만 돈을 건 그도 무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결국 시장의 변동성에 대해 파생금융상품을 통해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시장은 자연스레 자정작용을 한다는 대전제는 마치 교과서에서나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질 때가 이런 상황이다. 시장은 대개 이성적이다가 때로 비이성적으로 움직이는 것인지, 아니면 그 반대인 것인지조차 혼돈스러운 상황이다. 당신은 어느 쪽이라고 생각되는가?

13 thoughts on “거센 물결을 거슬러 올라간 사나이

  1. 루돌

    잘 읽었습니다. 배짱 한 번 두둑한 사람이네요.
    naked short이 맞아 떨어졌을 때는, 참 짜릿한 맛이 있다는…

    Reply
  2. inkyung

    정말 엄청난 배짱이군요. 말씀하신 대로 1~2년만 주택시장 호황이 지속되었다면… 저같은 소심한 사람은 흉내도 못낼 짓인 듯 합니다…
    그나저나 우리나라에도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CDS가 있는지 궁금하군요.

    Reply
    1. foog

      ㅎㅎ 한번 해보시려고요? 저도 저 글을 읽으면서 그게 궁금했는데 CDS가 장외시장인지라 혹시 당사자 간에 거래할 순 있었을지 몰라도 국내 CDS거래규모나 각종 규제 등을 감안할 때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습니다. 마이크 버리도 그러한 상품이 없는 시장에서 혼자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드래프트하고 거래상대방을 꼬드겨서 계약을 체결했을 정도니까요. 혼자 북치고 장고치고 다 한거죠.

      Reply
  3. easybird

    어느쪽이냐 물으신다면 그냥 랜덤워크라고 생각하는 게 맘편하지요.. 걸 수 있는 리스크도 헤지할 자산도 없으니 다행인진 모르겠지만 트레이더가 아닌 건 다행ㅎㅎ

    Reply
  4. tomahawk28

    “헤지펀드 대부 `추악한 전설`로” http://bit.ly/aBdQge
    존 폴슨이란 사람은 도덕적으로 욕을 많이 먹는 것 같은데 위에 말씀하신 마이클 버리가 한 행동은 괜찮은 건지 모르겠네요. 둘이 다른 점이라면 존 폴슨은 양쪽에 손을 댔다는 것?

    Reply
    1. foog

      존 폴슨의 수법에 대해선 저도 자세히 몰라 뭐라 말하기 어렵지만 하여튼 죄목은 골드만삭스가 저간의 사정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이를 적정하게 알리지 않았다는 명목으로 기소되었고 존 폴슨은 무사했다죠. 헤지펀드가 뭔 짓을 하건 쉽게 죄목을 밝히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안타깝지만~

      Reply
    2. foog

      관련기사를 읽어봤습니다.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world/view.html?cateid=100016&newsid=20100419060239534&p=akn&RIGHT_COMM=R6

      존 폴슨이 쓴 방법은 마이크 버리의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는군요.

      “SEC가 문제 삼은 골드만삭스의 내부자거래란 폴슨과 계약 사실을 CDO 투자자들에게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같은 구조화 증권의 하락에 베팅한 반대 매매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투자자들이 CDO를 매입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얘기다.”

      골드만이 CDO투자자에게 반대쪽에 베팅한 거래를 체결한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는 것이 SEC의 기소이유인데 과연 법원이 이를 단죄할지 조금은 우려되네요. 너무 죄목이 약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그리고 설사 그것을 롱포지션 들에게 고지했다고 그들이 겁먹고 기사처럼 포지션을 청사했을지는 의심되네요. 그냥 “웬 미친 놈이 숏포지션을 취했대~”하고 말았을지 않을까 하는 ㅋㅋ

      Reply
    3. foog

      좋은 기사가 하나 있군요

      “In its April 16 statement, Goldman said flatly that ACA “selected the portfolio.” Note: Goldman didn’t say that Paulson didn’t select the portfolio — only that ACA did. The bank tried to minimize Paulson’s role by saying ACA did so “after a series of discussions, including with Paulson & Co, which were entirely typical of these types of transactions.””

      http://www.businessweek.com/news/2010-04-18/goldman-s-abacus-spin-dodges-the-big-question-jonathan-weil.html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