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을 돈으로 환산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회

포털 사이트를 들락날락거리고 있는데 자꾸 눈앞을 괴롭히는 기사가 있었다.

“’우리별1호’ 개발자 200억대 거부로”

뭐 대충 이런 제목으로 같은 내용을 다룬 비슷한 기사제목도 여럿 이런 투였다.

‘500만원을 투자하여 몇 십억 대 부자로’ 이런 기사제목의 꼬임에 빠져 허탈한 기사 읽은 적이 몇 번 되는지라 애써 무시하고 넘어갔는데 끝내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기사를 열어보게 되었다.(아 이놈의 참을성 없음이란)

내용인즉슨 1992년 국내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를 우주에 올리는 데 성공했던 KAIST 출신 개발자들이 인공위성을 파는 회사를 설립하여 이번에 코스닥에 상장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경우 대주주인 박성동 사장의 보유주식의 평가액이 200억 원 대가 된다는 내용이었다.

‘500만원으로 몇 십억을 굴렸다는’ 허황된 이야기는 아니라 훈훈한 미담이어서 그나마 낫다. 정부의 인공위성 지원 축소로 한때 실업자의 위기로 몰렸음에도 인공위성 개발의 꿈을 버리지 않은 젊은 과학자들의 성공담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미담을 바라보는 언론의 태도다.

당초 이 기사를 열어보기 싫은 이유가 바로 언론이 그의 꿈을 돈으로 환산하였던 물신주의 때문이었고 결국 기사내용도 어떻게 치부를 하였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 영 마뜩찮다. 일전에 ‘양수경 주식대박’, ‘방미 땅부자’ 이런 제목만 봐도 삼천리 기사가 허공을 배회하더니 이번에는 한 과학자의 꿈조차 돈으로 환원해버린 기사까지 나온 것이다.

자본주의 세상에서 돈 많이 번 것이 미덕인 것에 대해 부인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땅 투자로 100억대 부자가 된 39살 아저씨나 주식투자로 떼돈을 번 양수경 씨에게 정도나 돈 이야기를 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 본인도 물론 부자 되는 것 싫을 리야 없겠지만 나는 박성동 사장이 돈을 뛰어넘는 그 어떤 꿈의 성취를 위해 회사를 차렸다고 본다. 그런 사람의 성공까지 꼭 화폐가치로 환원해야 직성이 풀리는 이 언론, 이 사회가 왠지 염증이 난다.

8 thoughts on “성공을 돈으로 환산해야 직성이 풀리는 사회

  1. 초하

    사실 야근 중인데, 주변 동료와 근로하는 친구들이 곁에 있어 글이 잘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다녀가신 보리밭길 따라 저도 다녀갑니다.
    밤새 비가 계속될 듯 합니다. 좋은 하루되시길 바랍니다~~

    Reply
    1. foog

      어제 비가 와서 그런지 오늘은 서늘할 정도로 춥더군요. 하늘은 연한 회색빛… 이런 날씨 좋아합니다. 🙂

      Reply
  2. Magicboy

    뭐. .. 그놈의 돈이 문제겠죠.. 기사 제목을 저정도는 적어둬야 트래픽이 유입될테니..-_-;;…

    Reply
  3. patrashu21

    이런 류의 제목이 지긋지긋한 사람은 소수인 반면, 대다수는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미디어가 이데올로기 전략의 첨병이라는 전제 아래, 대다수 사람들은 이런 기사 속에서 능력에 따라 누구나 부자가 되고, 내가 가난한 것은 능력이 부족해서라는 것을 무의식에 전제하게 되죠. 이런 류의 기사가 넘쳐나는 것은 바로 이런 류의 기사가 이런 식의 이데올로기를 효과적으로 전파하기 때문이라고 봐요.
    대다수 사람들에겐 체념의 미덕을 주고, 물신에 귀신들린 사람들은 범죄까지 가게 만들고, 결국 모든 문제가 개인의 능력, 개인의 노력, 개인의 행운의 문제로 돌려지는 것.

    Reply
    1. foog

      공감이 가는 의견을 주셨네요. ‘체념의 미덕’이라는 표현이 감칠 맛 납니다. 하여튼 뭐 자본주의 세상에서 돈 이야기하는거야 당연한 이야기고 그것이 결국 노동의 모티브를 제공하는 가장 깔끔한 잣대인 것도 인정할 수밖에 없는 사실이죠. 과거 사회주의권에서도 허울좋은 인민영웅 칭호 이외에는 딱히 바람직한 잣대가 없었을 정도로 난감한 문제이긴 한 것 같습니다.

      Reply
  4. j4blog

    연예인 쇼핑몰 대박, 박지성 1,000억대 갑부, 누가 얼마를 가지고 있다 등의 뉴스는 이제 일상인 것 같습니다. 오죽하면 제 블로그 최고 인기 검색어는 ‘가난한 연예인’입니다. 돈이 가장 중요한 시대가 되어버린 것이죠.

    친구가 교수를 한다니깐 교수 얼마버냐?라는 질문을 하시던 주변 분들이 이야기가 씁쓸하게 들립니다. 명예는 온데간데 없고 이제 남은 것은 파란 색 셀룰로오스 벌판…-_-a

    Reply
    1. foog

      맞아요.. “4억 소녀”란 말도 한때 유행어였죠.. 근데 연예인 쇼핑몰 대박 기사는 냄새가 납니다. 대박이 나려고 기사를 기획했지 않았나 하는 혐의가..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