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도시

필자가 지난번에 “경제위기가 도시의 모습을 바꿀 것인가?”라는 글에서 고유가가 공공의 도시계획이나 민간의 도시개발에 영향을 미쳐 도시경관이 바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내비친 바 있다. 실제로 도시발전의 역사는 그 당시의 기술발전이나 자원가격에 의해 영향 받은 바 크다. 철도 등 대중교통망, 엘리베이터와 같은 발명품,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석유문명과 발전시설이 없었더라면 오늘날과 같은 광역권 도시나 도심의 마천루 등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여하튼 그 글 말미에 이렇게 적었다.

“예언컨대 광범위한 대중교통 시설의 정비와 직주근접(職住近接)식 도시계획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것 같다.”

솔직히 이 말은 예언도 아니고 당연한 소리다. 석유를 포함한 에너지 가격이 일정수준까지 올라가서 변곡점을 넘어버리면 당연히 물적(物的)계획은 그에 상응하여 수정되어야 한다. 각설하고 내가 저 말을 쓸 때에 염두에 둔 도시계획안 하나가 있었다. 바로 아래 그림이다.


Nikolai Miliutin 이라는 과거 소비에트 도시계획가가 주창한 ‘선형도시(linear city)’(주1)형의 스탈린그라드 계획이다.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도시가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도심을 중심으로 한 원형이 아니라 철도, 공업지구, 녹지대, 주거지구 등이 샌드위치처럼 차곡차곡 쌓여있는 형태다. 그리고 도시는 이렇게 좌우로 계속 같은 패턴으로 뻗어가면서 커간다. Miliutin은 이러한 도시건설을 통하여 도시와 농촌의 경제격차와 계층간 경제격차를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어쨌든 애초 이 도시계획안이 떠올랐던 이유로 돌아가 보자. 자 이보다 더 환상적인 직주근접이 있을 수 있을까? 녹지대만 지나면 바로 내가 근무하는 공장이다. 살벌한 고층 아파트밖에 안 보이는 베드타운에서 막히는 도로에서 매연 마셔가며 도심의 직장으로 출근하는 현대의 도시가 얼마나 비효율적인가를 한눈에 알 수 있지 않은가? 그래서 실제로도 아직도 이러한 선형도시를 주장하는 이들도 있는 것 같다. 어쨌든 나름 근사한 아이디어다.

그런데 무릇 모든 것이 그렇지만 이 도시는 하나의 약점이 있다. 바로 노동자들은 직장이나 주거 중 어느 하나의 자유를 포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내가 도시의 오른 쪽 끝의 직장과, 또 그곳에 인접한 주거지에서 살고 있었는데 도시 왼쪽 끝의 직장으로 옮기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전의 편리함에 비할 바 없이 불편한 직주분리 현상이 나타날 것이다. 그러한 면에서 이 도시는 어쩌면 사회주의 조국이 직장과 주거를 정해주고 일정정도 제약을 가했던 소비에트에서나 제대로 구현되었을 법한 도시다.

만약 새로운 선형도시를 계획하고 입안할 요량이라면 주거와 직장선택의 자유라는, 현대인이라면 포기할 수 없는 천부인권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주2)

(주1) 선형도시의 첫 주창자는 19세기 스페인의 Arturo Soria Y Mata라는 도시계획가다.

(주2) 사실 생각해보면 현대 자본주의 도시에서 살고 있는 노동자들이라고 뭐 주거와 직장선택의 자유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들에게는 시장과 가격이라는 보이지 않는 억압이 존재하니 말이다.

6 thoughts on “선형도시

  1. Ikarus

    예전 심시티란 게임을 할때 도시 계획에 나름대로 배운 이론이 있다고 도시 건설 초기부터 위의 그림 같은 식으로 도시를 건설하면 영락없이 적자에 허덕이다 파산하더군요. 초반에 공업지대와 주거지대를 혼재시키다가 도시 규모가 커지면서 여러 문제가 생길때 진화하듯 재편하는 것이 효율적이란 것을 발견하고 이론과 게임의 괴리를 느꼈던 기억이 나는군요.

    Reply
    1. foog

      저는 게임을 별로 안즐겨서 심시티 말만 많이 들었지 직접 해본 적은 없습니다. 암튼 그 유명한 게임에서 선형도시가 안 먹혀든다 이거죠? 선형도시의 문제점이로군요. ㅋㅋㅋ 일종의 복잡계 경제학인가요?

      Reply
    2. 이정원

      심시티 3000의 경우 안먹혀드는것 같은데요
      (물론 요즘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
      심시티4(러시아워)의 경우에는 저런식으로 하는것 본적이 있어요..

      Reply
    3. foog

      사람들이 심시티를 요즘도 하나봐요? 음… 이 기회에 게임을 한번 즐겨볼까나… :)~

      Reply
    4. 이정원

      아.. 심시티는 신도시를 만드는게 아니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신도시나 그런도시를 만드는것보다는 서울이나 경주나 그런 쪽의 도시를 만드는 개념이 강한것같아요.

      즉 처음부터 학교 짓고 병원 짓고 하면 적자가 나죠;

      처음부터 빌딩을 세우고 하려고 하기보다는..
      마을정도부터 시작해서 사람들을 모으는.. 그런쪽의 게임인것 같네요,.;

      Reply
    5. foog

      굳이 비슷하다면 문명게임을 해본 적이 있네요. 어느 한 부족을 정해서는 도시도 만들어가면서 다른 나라와 전쟁도 하는… 나름 열심히 한 게임이었다는 기억이… 여하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