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브러더스 해프닝, 그리고 외환보유고

처음 산업은행이 리만브러더스를 인수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들었던 느낌은 그저 1) “세상 많이 좋아졌구나.” 2) “민유성이 리만 출신이라더니 그래서 리만 애들이 거기 쫓아갔구나.” 3) “그거 인수한다고 하루아침에 세계가 인정하는 투자은행이 되겠냐?” 하는 정도의 생각이었다. 솔직히 그냥 별 감흥이 없었다.

그런데 미국 애들은 적잖이 흥분했다. 처음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를 연합뉴스가 받아 베끼면서 시작된 소문은 조선일보가 이를 취재보도하고 블름버그나 AFP등이 또 조선일보를 받아 베끼는 과정을 거쳤다. 그리고 이 소식을 접한 미국인들은 꽤 인상적인 반응을 보였다. 리만의 주가는 폭등하는 와중에 해당 기사에는 ‘미국인들의 정신은 어디 있는가?’라는 댓글이 달렸고 ‘정신이랄 만한 게 있었나?’라는 냉소적인 댓글도 잊지 않고 달렸었다. 십년 전에 우리가 이런 이야기를 했었는데 원인이야 어찌 되었든 상전벽해다.

뭐 이에 대해서 딱히 나 같은 변방의 하찮은 블로거가 코멘트할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던 차에 이에 대해 글을 써야할(!?) 이유가 생겼다. 내가 출근하는 두 블로그의 구루께서 이 문제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보여주셨기에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우선 포카라님의 견해다.

오늘은 산업은행이 리먼 브러더스를 인수 검토중이라고 나왔다. 말도 안되는 짓거리다. 부도 일보 직전인 부실 금융회사를 왜 우리가 인수해야 하나?  지금 우리 나라는 달러가 태부족이어서 환율이 급등하고 있다. 하루에 1원만 움직여도 엄청난 변동인데 오늘만 17원 가까이 올랐다. 호기롭게 환율을 방어하던 강만수는 시장에 없었다. 방어할 달러가 없는 것이다. 무역적자는 8월말까지 100억 달러가 예상된다. 올해만 외국인 주식 순매도 규모가 26.7 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달러 환산하면 280 억 달러가 넘는 규모. 무역 적자와 외국인 매도만 합해도 무려 380억 달러가 언제든지 시장에서 빠져 나갈 수 있는 돈이다. 강만수가 환율 방어한답시고 200억달러를 허공중에 날려 버렸다. 금년 들어서만 이 세 부문에서 달러증발 요인이 무려 600억 달러에 육박한다. 이러니 환율이 급등하지 않을 수 없다. [리먼브러더스 — 부실덩어리를 산업은행에서 인수?, 포카라]

다음은 알파헌터님의 견해다.

멋진 신세계라 생각합니다. 인수가 이루어질지 이루어지고 나서 손익이 어떻게 될지는 소생으로서는 알길이 없으나… 일단 한국토종자본이 미국의 머니센터뱅크까지는 아니라 해도 일류 IB를 인수하는 국면이 오리라고는 별로 생각해 본 일이 없기에… 만일 실패해서 자본금을 말아먹는다 해도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면 그렇게 대단한 손실일까요? 인수해서 그들과 뒤섞이면서 제대로 배운다면 얻는게 더 많을 것입니다. 외환보유고는 쌓아두면 좋은 줄만 아는 분들도 있으나… 외환보유고는 매우 비용이 많이 든다는 사실도  아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또한 외환보유고는 결국 그 나라의 실력을 말하는 것도 아무것도 아닌 자본의 흐름을 반영할 뿐입니다. 80년대에 외환보유고를 무지막지하게 쌓아온 일본의 몰락에서 배워야 합니다.[KDB의 리먼브라더스 인수가능성에 대해서, 알파헌터]

알파헌터님의 글에는 포카라님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리만브러더스에 대한 견해뿐만이 아니라 외환보유고에 대한 언급이 있다는 점, 그리고 시간상으로 포카라님의 글 뒤에 올린 글이라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알파헌터님의 포카라님의 글을 읽고 올린 글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여하튼 그러건 아니건 간에 내가 좋아하는 두 분이 꽤나 중대한 문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나의 구미를 당겼다. 포카라님은 외환보유고, 넓게 봐서는 국내 달러여유분의 증발에 대해 염려하고 있고 알파헌터님은 그게 그렇게 금과옥조는 아니라고 이야기하고 있다.(사실 리만의 문제보다도 이에 대한 관심 때문에 인용한 것이다)

Lehman Brothers Times Square by David Shankbone.jpg
Lehman Brothers Times Square by David Shankbone” by David ShankboneDavid Shankbone. Licensed under CC BY-SA 3.0 via Wikimedia Commons.

둘 중 어느 것이 답이라고 할 수 없을 듯하다. 이성적으로야 요즘과 같이 하루에도 천문학적인 자금이 전 세계적으로 왔다 갔다 하는 시대에 적정외환보유고라는 것이 있을 수 있는 것인가 하는 데까지 생각이 미치면 알파헌터님의 의견이 더 합리적이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경제라는 것이 또 심리인지라 하루가 다르게 달러가 영토 밖으로 술술 빠져나가는 상황을 마냥 ‘아 괜찮아 적정외환보유고란 환상일 뿐이야’라고만 이야기하며 모른 체할 수도 없는 노릇인 것 같다. 시장참여자들이 모두 알파헌터님처럼 – 고전경제학의 이상론처럼 – 지극히 합리적인 참여자들만 존재하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리만브러더스 이야기하다 외환보유고로 우회전해버렸는데 애초에 그러려고 쓴 글이니 뭐… 두 문제 모두 어찌되었든 이제 우리나라 경제가 외부경제와 떼려야 뗄 수 없을 정도로 얽혀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동안 수출로 쌓아놓은 외환을 비용을 들여가며 관리했었고 금융의 세계화(또는 미국화)가 진행되면서 외부금융시장에도 돈을 묻고 자본시장통합법으로 투자은행도 본격화될 것이고 뭐 그런 일련의 과정이 한밤중의 은밀한 안개처럼 국내시장을 가늠하는 판단근거들이 된 것이다. 문제는 그것을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관계당국, 전문가, 학자들이 있어야 할 것인데 그것이 걱정이다. 금융은 인재가 중요하다는 말을 어디서 들은 것 같은데….

26 thoughts on “리만브러더스 해프닝, 그리고 외환보유고

  1. Jayhawk

    벗어나는 코멘트가 될 것 같습니다만,

    1. 리만의 인수에 관련된
    저는 포카라님의 견해에 가깝습니다. 주요한 내용은 http://globaleconomicanalysis.blogspot.com/2008/08/lehman-treasury-fed-have-lost-control.html 의 생각과 일치하는데, 좀더 정확히는 해당 포스트의 Is This Good News? 이하 문단입니다.

    2. 환율
    실은, 이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었는데, 알파헌터님께서는 자본시장 추세정리 업데이트란 포스트에서 환율에 대해서는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음. (중략) 있다면 올라도 걱정 내려도 걱정 우왕좌왕하는 군중심리만 있을 뿐.” 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알파헌터님의 생각과는 달리, 언급하신 포카라님의 견해처럼 현재의 상황을 매우 우려하고 있는 입장이거든요. 이에 대한 생각은 또한, http://booklog.kyobobook.co.kr/afewbird/B3957467/63606 와 같이 합니다.

    정리하자면, 저의 견해는

    1. 현재의 고환율의 상황이 매우 우려하는 입장에서,
    리만브라더스의 인수는 득보다 실이 훨씬 크다라고 생각하는 것이고,

    2. 더 나아가, 한국의 특수한 상황하(특히 경상수지)에서는 외환보유고 통제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Reply
    1. foog

      1. 이에 관해 이야기하자면 다소 복잡한 관점을 차근차근 풀어가며 이야기하는 것이 순서일 같으나 일단은 저는 리만 인수 가능성을 매우 낮게 보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선 별도로 코멘트하지 않겠습니다. 🙂

      2. 외환보유고 통제에 관해서는 저는 적어도 현재와 같이 금융자유화로 외화출입이 자유로워진 상태에서의 외환보유고 ‘통제’는 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영토 안팎의 통화의 출입에 통제가 있고나서야 외환보유고의 통제가 의미가 있겠죠. 그런 관점에서 90년대의 외환보유고 고갈로 인한 공포감이 여전히 적정외환보유고라는 잔상으로 남아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

      Reply
    2. Jayhawk

      1. 리만브라더스 관련 건의 논의는 제외하도록 하고…

      2. 저는 근본적으로 “외환”보유고 자체는 다다익선이 아닌가? 라고 계속 생각하고 있습니다. 달러든 유로든, 미국채든 SDR이든…

      예전에 이정환닷컴에서 이정환님께서 작성하신 “달러화 가치 추락하는데 외환보유액은 왜 계속 늘릴까.”라는 글(2007-11-20)을 읽은 적이 있는데, 작금의 상황에서, 어떤 해석이 가능할까라고 다시 한번 읽어 볼 만한 내용이었습니다.

      제가 언급한 “통제”의 의미는 외환의 통화(달러/유로 등) 및 포트폴리오(유가증권/예치금/금 등)의 통제를 지칭한 것이었습니다.

      저의 관점은 외환의 증가는 좋은 것이긴 한데, (언급하신 것처럼) ‘금융자유화로 외화출입이 자유로워진 상태’에서는 통화나 포트폴리오의 상대적 가치변동으로 인해 그 가치가 평가절하될 수 있기 때문에, 헤지나 스왑 등의 고도의 기술을 통해 통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저는
      1. 외환의 총량이 증가하는 것은 곧 국부의 증가이며 이롭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점.
      2. 그러나, 외환의 통화 및 포트폴리오의 구성은 적절히 통제되어야 한다.
      라고 생각합니다.

      PS: 한국은행 2008년 7월말 외환보유액http://www.bok.or.kr/contents_admin/info_admin/main/home/bokdb/release/press/info/0807311.pdf
      과 언론에 따르면, 한국은행이 통화스왑으로 환율방어를 위한 외환소모분을 실제액보다 줄였더군요. 또한 알파헌터님의 통화스왑에 관련된 글도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Reply
    3. foog

      Jayhawk 님 제시하신 외환보유고 다다익선 론은 여러 시사점이 있는 것 같아 따로 글로 한번 써보겠습니다. 언제 올릴지는 장담 못하지만요… ^^;

      Reply
  2. 이정환

    외환보유액에 대해서는 저도 정확히 판단이 안 서지만, 이번 기회에 미국 국채 비중을 줄이고 다른 투자상품으로 갈아탈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이왕이면 금을 좀 많이 사두는 것도 좋을 것 같은데요.

    Reply
    1. foog

      윗글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결국 외환보유고의 관리 또는 통제, 적정외환보유고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국내, 즉 원화통화권에서의 외환의 출입에 대한 어느 정도의 통제권이 전제가 되어야 하지 않는가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금융자유화로 인해 그런 고삐가 풀린 상태에서 외환보유고를 논의하는 것은 어느 은행의 예금의 성격이 어떠한 것인지 관심도 없는 상태에서 지급준비금을 쌓아두라는 이야기나 같겠죠. 한미FTA에서 송금자유화 조치가 강화되면 그 흐름은 더욱 거세지겠죠.

      여하튼 그렇고요. 🙂

      국채 비중을 줄여야 하는 것에는 십분동의하지만 그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구성하여야 하는가는 정말! 어려운 문제같습니다. 이 부분이 제가 가지고 있는 끊임없는 호기심의 대상인데요. 결국 한국투자공사처럼 메릴린치에 돈을 쏘던가 패니매에 돈을 꼴아박든가 이정환님 말씀처럼 금을 사던가 아니면 막말로 헤지펀드에 쌈지돈을 보태던가… 결국 전 세계의 금융자본의 유동성을 강화하는 쪽으로 가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아니면 나랏돈을 그렇게 투기적으로 쓰면 안된다면서 사회책임투자펀드에 돈을 넣을 수도 있고요. 어느 게 정답일까요? 계속 고민하면서 이 블로그에서 졸문으로라도 글을 남길 수밖에요. 🙂

      Reply
  3. 알파헌터

    트랙백을 따라서 왔습니다. ^^

    우선 한가지 해명을 한다면 포카라님의 글을 보고 글을 쓴 것은 아니고 어느 분이 메일로 질문을 해주셔서 그에 대한 답변차 올린 글입니다.

    현재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미국의 금융기관을 인수하는데 대해서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일이며 저의 의견은 소수의견이라고 생각을 합니다만…
    한국의 금융위기때 한국의 은행들을 인수해서 대박을 터트린 외국자본들의 경우도 있으니까요.

    외환보유고에 대해서는 기회가 되는대로 저의 블로그에 견해를 써볼 예정입니다.

    Reply
    1. foog

      친히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멋대로 포카라님의 글에 대한 반론이라고 추정해버리고 글을 쓴 점 널리 양해바랍니다. ^^;

      “한국의 금융위기때 한국의 은행들을 인수해서 대박을 터트린 외국자본들의 경우도 있으니까요.” 이 말씀의 취지에 심정적으로 공감이 가네요. 아니할 말로 사람일 모르는 것이니까요. 그만큼 사회적 합의도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요. 다만 저는 산업은행의 리만 인수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생각하는 편이고요. 🙂

      외환보유고에 대한 글 기대하겠습니다.

      Reply
  4. 늦달

    글쎄요.
    리만을 인수한다고 우리나라가 갑자기 금융 선진국이 되는 것도 아니고,
    뭐든지 일단 덥석 물고보는 중국이 리만을 포기했다는 사실은 좀 염려스럽네요.

    전 다른 것은 잘 모르겠는데, 중국의 한 업체가 리만을 인수하려고 실사까지 벌였다가
    위험성이 너무 크다고 포기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을 보면 사실 너무 위험한 것이 아닌가 싶기는 해요.

    Reply
    1. foog

      사실 Deal이란 협상하기에 다른 것 아닐까요? 우리나라가 협상력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

      Reply
  5. 궁금이

    그러고보니 ‘만수가 외환보유고 대폭 날려먹었다!’ 는 의견에 대해

    http://impetuous.egloos.com/2027819

    다음과 같은 반론 글도 있던데, 일견 수긍이 가는 면이 있거든요.

    여기에 대해 foog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글 너무 잘 보고 있다가 염치없게 질문까지.. ^^>;;

    Reply
    1. foog

      200억 달러가 홀랑 없어졌다고 생각하는 주장은 난감하군요. ^^; 일단 impetuous님이 사실관계에 보다 접근하신 것 같고요. 제 의견으로는 중과부적이라고는 하지만 정부가 환율에 개입하는 것을 꼭 비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지나치게 자유주의적인 발상이죠. ‘시장을 이기려 하지 마라’ 뭐 이런… 더군다나 서민생계를 위해서는 달러가 더 떨어져야 하는 것이 당위겠고요.

      Reply
  6. Ha-1

    안녕하세요 그간 눈팅하다 댓글 남김니다 ^^;

    저는 알파헌터님 견해에 한표 겁니다. 외환은 오히려 이런 데 쓰라고 있는 거지요. 해외의 ‘자산’을 우리가 활용하는 데. 환율을 ‘정책적’으로 잡아가는 것도 물론 의미는 있지만 그것이 꼭 현금으로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그게 가능하지도 않은 반면 자산은 좀더 확실하죠,

    리먼브라더스의 상황에 대해서 자세히 알지는 못합니다. 그렇지만 돈은 쓰여야 하는 것이고, 무언가를 사들여야 합니다. 쌀이든 석유든 자동차든 사람이든 기업이든. 그중에서 우리는 리먼을 택한 것이고, 리먼이 겉보기에도 잘나갔을 시점에는 우리가 손댈 수 없을 만큼 비쌌죠. 시점에 대해 비판을 하기 시작하면 우리는 아무 것도 살 수 없을 겁니다. 왜 하필 이때? 라는 질문은 언제든지 할 수 있는 법이라는 걸 우린 알고 있지 않습니까?

    우리는 경기불황기에 있는사람들이 가격이 떨어진 자산을 긁어모아 더욱 부자가 되는 것을 목격해 왔습니다. 이제 우리가 거기에 숟가락을 놓을 때지요. 물론 날려먹을 수 있겠습니다만, 그러나 그렇지 않은 부자들은 또 어디 았는지. 환율은 어차피 오를 것이고, 원화는 지금 상황에서 그다지 비싼 통화가 아니라는 걸 인정하고, 미래에 우리가 얻을 자산에 투자하는 게 나쁠 것이라고 보진 않습니다.

    Reply
    1. foog

      맞아요 지금 한번 도전해볼만하죠. 🙂
      그런데 그 성사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저는 생각하는 편인데 그 이유는 아래 하느니삽님 글에 댓글 달았으니 참고바랍니다.

      추.

      자주 댓글 달아주세요. 8D

      Reply
  7. 하느니삽

    foog님 덕택에 좋은 블로그를 두개나 알게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저는 KDB의 리먼 인수에 대해서는 외환보유고와 상관없이 반대입니다. 금융기관 M&A에서는 book이 얼마나 깨끗한지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지금 상황에서 리먼의 부실도를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 보입니다. JPM이 Bear Stearns 인수했을 때처럼 시가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매입하고 FRB에서 일정 수준의 indemnity를 제공한다면 몰라도요. 😉

    Reply
    1. Ha-1

      사실 그렇게 말씀하시면 ‘가격에 따라 찬성할 수도 있’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 대부분의 M&A는 사실 ‘가격’이 전부 아닐런지요

      Reply
    2. foog

      하느니삽님 말씀대로 듀딜리전스를 한다고 해도 제대로 사태를 파악하는 것은 지극히 어렵겠죠. 베어스턴스가 전격적으로 인수된 것은 그들이 인너써클이기에, 듀딜리전스를 뛰어넘은 유대관계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고 우리는 그런 고리랄까 하는 게 유일한 것이 민유성 행장의 리만 근무경력 뿐이죠. 리만이 현재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서는 초스피도로 자산매각이 불가피한데 결국 산은으로서는 상당한 정도의 풋옵션 아니면 사기 어려울 테고 미국 행정당국이 이 딜을 승인할 확률도 희박하고..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그냥 깨몽… 정도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

      Reply
    3. 하느니삽

      리먼 같은 경우에는 얼마나 싸게 사야 적절한 가격일지를 판단하기 어렵다는 얘기였습니다. 베어 스턴스가 주당 2불(나중에 10불로 올라갔지만 여전히 원래 주가보다 훨씬 낮았죠)에 겨우 팔릴지 누가 알았겠습니까.

      그리고 부실회사의 경우 인수 후 거액의 부실이 발생하면 인수인이 인수가액 이상의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에 보통 매도인으로부터 indemnity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한 가격 만의 문제는 아니죠.

      Reply
    1. foog

      심심하니까 별 농담을 다하는군요. 미국친구들이 꽤나 충격적인 모양입니다. 아직까지 화제가 되고 있는 걸 보면.. 🙂

      “In related news, Lehman has agreed to sell all of its level III capital, including CDOs, ABSs, pet rocks, baseball cards, slightly used condoms”

      이 부분이 압권이군요. 야구카드는 투자가치가 있는 것 같지만 조금 쓴 콘돔을 어떻게??

      Reply
    2. Jayhawk

      Treasury Secretary Hank Paulson issued a statement: “I am delighted that SWFs (Sovereign Wealth Fairies) continue to express confidence in the terrific values represented by American financial institutions. As I have been saying since August of 2007, this shows that the crisis is now over.” 요정국부펀드 정도될까요…^^

      행크 폴슨(헨리 폴슨의 우스개인듯) 재무부 장관은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저는 SWF(요정국부펀드)가, 미국의 금융제도가 구현하는 훌륭한 가치에 대해 신뢰를 표시한 것에 대해 무척 기쁘게 생각합니다. 제가 지난 2007년 8월부터 쭉 언급해 온 것처럼, 이번 거래로 이제 위기는 끝났음을 보여준다고 하겠습니다.”

      Reply
  8. 장군

    미국은 늘 경제 위기가 왔을 때 외국의 자본을 끌어들여 보란듯이 경제를 살려온 사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높은 가격에 부실은행을 인수하고 결국은 미국에 다시 팔게되는 상황이 오는 경우가 예전에 많았습니다. 미국 부동산거품 시기에 일본이 부동산 투자를 했다가 거품이 빠지면서 바닥에서 미국자본에 팔고 나온 경우도 한경우라고 생각합니다…어리석은 소견이라 올리기 죄송합니다…ㅎㅎ

    Reply
    1. foog

      리만의 경우도 그렇게 되지 말라는 보장은 없겠죠. 그럴 기미도 보이고 말이죠. 여하튼 그런데 예전에도 미국 금융기관을 다른 나라에서 매입하였다가 되판 사례가 있었나요? 제가 과문해서 잘 모르는데 아시는 사례가 있으면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Reply
  9. 초하(初夏)

    국가에서 통제하려는 상황까지 되었는 걸 보면, 추측이나 예견이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덕분에 생각하며 댓글들도 함께 읽었습니다.

    Reply

Leave a Reply to 장군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