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ff-balance sheet

현재 진행되고 있는 월스트리트의 위기에 대해 차베스나 그린스펀만큼이나 할말이 많으실 것 같은 – 또는 논평을 집요하게 강요당하실 것 같은 – 장하준 교수께서도 한겨레21에서 평소 그의 지론에 입각하여 현 사태를 비판하셨다. 역시 평소의 그답게 깔끔하고 명쾌한 해석이 돋보이므로 일독을 권한다.(포카라님의 글까지 함께 읽을 수 있는 이곳으로 가실 것)

인터뷰 중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관련해서는 파생상품·복합상품이 너무 많고 손실 보고가 안 되는 ‘오프 밸런스 시트’ 같은 것도 있어서 금융사 자신도 정확한 피해규모를 모른다.

파생상품이니 복합상품이니 하는 단어는 여기저기서 조금씩 들어보셨을 것으로 판단되어 “오프 밸런스 시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이 단어는 off-balance sheet, 우리말로 표현하자면 부외금융(簿外金融)이다. 우리말이 더 어렵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A기업이 돈 100억 원을 빌려 부동산 개발 사업을 하고 싶다. 한데 부채비율이 300%여서 돈을 빌리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러면 이 회사는 자본금을 5천만 원의 B라는 부동산 개발 전용 회사를 설립한다. 그리고 C은행에 가서 부동산 사업의 사업성을 담보로 돈을 빌린다. 이른바 ‘프로젝트파이낸싱(project financing)’인 셈이다. 물론 은행이 사업성만을 담보로 돈을 빌려주진 않는다. A의 지급보증 등이 채권보전책으로 강화된다.

이제 한번 살펴보자. A는 C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렸을까? 아니다. B가 차주이고 A는 지급보증만 선 것이다. 그러므로 A의 대차대조표(balance sheet)에는 100억 원이 부채로 잡히지 않는다. 다만 지급보증을 주석에 기록하면 된다. 이것이 바로 off-balance sheet 효과다. 그리고 B라는 부동산 개발 전용 회사는 일종의 도관체(conduit)다. 정작 A가 사업을 한 것인데 B라는 도관을 이용한 것이다.

결국은 ‘뒷구멍으로 호박씨 깐 거네!’라고 비난할 일은 아니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가 유망한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좋은 구조이기도 하다. 은행입장으로서는 대출금이 엉뚱한 곳에 쓰이지 않고 – 회장님의 술값 등 – 자신들이 경제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업에 올바르게 쓰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이기도 하다. B라는 회사의 재무제표만 감시하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게 부실한 업체나 투자은행 등에서 남발되면 금번과 같은 대형사고의 진원지가 된다는 것이다. 부실한 업체 D의 부실한 회계감사에서 드러나지 않는 온갖 파생상품과 부실사업들은 곪아 썩어문드러질 때까지 투자자의 시야에 잡히지 않는다. 2000년대 초반에 엔론이 이런 식으로 사세를 고질라처럼 불려나가다가 빵하고 터져버렸다. 물론 이번 월스트리트가 사고 친 걸 보고 있자니 그때의 사건은 자그마한 해프닝처럼 느껴진다.

어쨌든 사후약방문이긴 하지만 회계규칙은 이러한 off-balance sheet를 차단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 투자은행들의 경우 바젤2 등을 통해 위험가중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으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다. 언제나 하는 말이지만 규제 없는 시장은 없다. 규제가 나쁜 것이 아니라 시대를 못 따라잡거나 비합리적인 규제가 나쁜 것이다.

13 thoughts on “off-balance sheet

  1. beagle2

    음… off-balance sheet 라는 말을 어디선가 줏어듣기 했는데 “먹는 건 아닌가보다…” -_-; 하고 넘어갔습죠. 덕분에 약간이나마 개념을 챙깁니다.

    Reply
  2. xarm

    이번호 기사 읽으면서 ‘이건 뭔 말이야.’하고 지나갔었는데 이런 거였군요.
    (사실 지하철에서 읽었던지라 찾아볼 생각도 못 했고 기억에서 사라진 용어였습니다.ㅎㅎ;)

    그나저나 이런 것들 보면 금융 하는 사람들 참 머리 잘 쓴다는 생각과 함께,
    복잡함 때문에 점점 더 금융과 멀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_@;;

    Reply
    1. foog

      말씀대로 금번 금융위기는 실물경제에서 멀어진 자신들만의 머니게임에서 증폭된 측면이 크죠. 일종의 금융상품 과잉생산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Reply
  3. foog

    “최근 선진국들이 도입한 바젤Ⅱ(용어설명) 자기자본 규제는 이번 위기에서 허수아비였다. 바젤Ⅱ는 은행이 보유한 자산의 부실을 평가해 그에 걸맞은 자기자본을 요구하는 규제다. 하지만 금융권의 유동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자산의 부실화 위험에만 집착하고, 부채의 안정성은 등한시한 제도이다. 쉽게 말해 자신이 투자한 돈이 떼일 가능성은 면밀히 따지는 반면, 자신이 빌린 돈에 대해 갑자기 상환 요청이 닥칠 경우의 위험 부담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번 위기로 바젤Ⅱ는 죽었다고 봐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감독체계의 등장은 이제 시간 문제일 뿐이다. 중앙은행의 역할이 대폭 강화될 것이다. 미국의 경우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역할은 소비자 보호나 내부자 거래, 영업 행위 문제에 주력하는 최소한의 감독기구로 축소될 것이고, 연준의 역할이 시장 전체의 유동성 조절, 금융시스템 안정 등으로 크게 확대될 것이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9/26/2008092600658.html

    Reply
  4. 흐음..

    SPC를 세워서 진행하는 project financing 기법은 나쁜 게 아닙니다. 해운산업 같은 경우에는 거의 모든 배가 이 방법으로 financing이 이루어지는 걸요. Project가 high-risk일 때에 이에 걸맞는 이자율을 부담하는 대신 risk가 모회사까지 잡아먹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이기도 하고 말이죠. 그리고 엔론의 경우에도 risk가 숨겨진 주 이유는 off-sheet financing이라기 보다는 mark to market accounting이 문제였다고 보는게 타당한 것 같습니다.

    Reply
    1. foog

      쓰신 내용에 동의합니다. 제 글도 그런 취지고요. 엔론사태로 인해 시가평가법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도 있었지요. LJM이란 부외금융을 통한 장난질도 엔론의 몰락에 한 몫해서 예로 든 것입니다.

      Reply
  5. Pingback: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공기업의 역할 | foog

  6. Pingback: foog.com » 독일의 핵폐기 전략과 관련한 국제중재 소식과 그 의미

  7. Pingback: foog.com » “보수당이 보건 시스템을 해체하고 민영화하려 하고 있다!”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