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금융복합기업 모델에서의 딜레마 한가지

금융위기 이후 투자은행 모델과 상업은행 모델 간의 우월성 논쟁에 관한 재밌는 글이 있어서 옮겨 적는다.

글로벌 투자은행의 위기와 관련하여 제기된 하나의 중요한 논의는 과연 이것이 투자은행이라는 형태의 금융회사의 실패, 혹은 투자은행이라는 금융회사 모델에 대비한 상업은행(CB) 모델의 우월성을 시사하는 것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
이번에 어려움을 겪은 투자은행들이 예금의 수취(수신)라는 상업은행 기능을 갖지 않은 독립계 투자은행들이라는 점, 그리고 살아남은 Goldman Sachs와 Morgan Stanley가 모두 금융지주회사로의 전환을 위기 타개책으로 선택하였다는 점 등을 들어 일각으로부터 독립계 투자은행이라는 사업모형은 더 이상 경쟁력이 없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
상업은행은 예금자들로부터 예금을 받아 기업에 대출이라는 부채(debt) 형태의 자금을 제공하는 금융회사이다. 따라서 상업은행은 기업의 미래성장성보다는 현재의 안정적인 상환능력의 보유여부가 우선적인 고려사항이 되는 “debt culture”의 대표적인 금융회사이다.
..
투자은행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수익에 대한 기대를 기반으로 현재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equity culture”가 요구된다. 따라서 debt culture를 기반으로 하고, 또 가질 것이 요구되는 상업은행이 equity culture가 요구되는 투자은행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이 사이에서 이해상충이 발생하게 된다.
..
상업은행이 예금을 자금조달원으로 하여 투자은행업무 부문에서 위험을 부담하는 영업을 하는 경우, 예금자로부터 은행 주주에게로 부의 이전(wealth transfer)을 발생시킨다. 그런데 대개의 경우 개별 예금은 소규모로서 무임승차의 문제를 안고 있을 뿐 아니라, 원금보장이 되기 때문에 예금자의 입장에서 자신이 예금계좌를 갖고 있는 상업은행의 이와 같은 형태를 감시, 규율할 유인이 약하다.[금융위기가 주는 투자은행 자금조달에의 시사점, 부원장 조성훈, 자본시장 Weekly, 한국증권연구원, 2008-45호, pp1~2]

이 글의 의도는 전체적으로 순수한 투자은행 모델의 옹호에 가깝지만 그럼에도 이른바 “은행(bank)”이라는 도구가 원천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는 것인가에 대한 원칙적인 문제를 화두로 던지고 있다. 즉 상업은행이 투자은행의 행태를 따라간다는 것은 ‘자금의 원천’의 리스크와 ‘자금의 운용’ 상의 리스크의 괴리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가 B은행에 1천만을 4% 예금금리로 저금하면 B은행은 그 예금을 C기업에 건네줄 때에 자금의 원천 성격에 부합되게 대출의 형태로 빌려줘야 합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대출금리가 6%면 2%의 예대마진을 취한다. 그런데 B은행이 C기업에 대출이 아닌 출자(principal investment)의 형태로 건네주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만약 C기업이 사업이 잘 되어 대출과 비슷한 스케줄을 가정하여 10%의 배당을 주었다면 바로 위에서 말했듯이 주주에게 ‘부의 이전’이 발생한다. 반대로 C기업이 망하게 되면 예금자는 여전히 원리금을 보장받을 것이므로 ‘무임승차’의 문제가 발생한다. 더불어 지금과 같은 금융위기 상황에서 국가가 예금보장을 해줄 경우 상업은행에게 ‘모럴해저드’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좌파는 물론이고 – 오히려 더 강하게 – 시장주의자들이 싫어하는 상황일 것이다. 그들은 “망할 기업은 망하게 하라”라고 주장한다. 이 말은 망할 사업을 영위한 주주들이 책임을 지라는 의미다. 이른바 ‘원인자부담원칙(polluter pay principle)’이다. 그런데 앞서의 경우 은행의 예금자는 주주들이 아니므로 망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딜레마가 발생하게 되어 예금보장을 해주어야 하고, 결국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혼합은 시장주의자들의 논리가 무색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소위 유럽의 유니버설뱅크가 예금보장에 더 적극적인 이유가 이것일 것이다.

결론 : 투자은행은 “은행(bank)”이 아니라 투자회사다

8 thoughts on “소위 금융복합기업 모델에서의 딜레마 한가지

  1. Adrian Monk

    은행의 본연적 기능에 대해 다시금 생각할 기회를 던져주는 글이군요.
    IB가 사실 진정 은행이 되었어야할 모델이었는지 지금 이 사태에 와서야 전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아직 한참 멀었군요, 전;
    좌우간 시장에서 돈놀이는 적절하게 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Reply
  2. 포카라

    foog님 / 이라는 책에 대해 요즘 말이 많네요. 제가 누구와 논쟁 하는지는 아실 것입니다. 좀 답답하네요. 포그님은 을 어떻게 보시는지요? 제가 이 책을 완벽하게 오독했는지요? 혹시 읽으셨다면 개인적으로 메일 부탁드립니다. 제가 그렇게 비난받을 만큼 오독했는지와 이 정말 쓰레기 같은 책인지 저로서도 헷갈리는 군요.

    저는 에서 연준의 실질적인 주인이 누군가를 파헤친 부분에 대해서 상당히 충격 받았습니다. 금본위제를 파기하려는 자들과 달러발행 권한을 민간은행이 가졌갔다는 부분이 진실인지 아닌지도 더욱 궁금 합니다. 어렵군요…..

    Reply
  3. sonofspace

    이런 논리 구조라면 (예금 보호를 받는) 은행이 대출이 아닌 투자를 하는 것이 애시당초 문제가 되는군요. 흥미롭네요. 이런 문제를 전문가들이 이제까지 눈 감고 있었던 것도 재밌고요. 손해가 난다는 상황을 가정 안 한건가…

    Reply
    1. foog

      여태까지는 손해가 안났었으니까요. 전후 미국에서는 한번도 집값이 하락한 적이 없었고 이번이 처음이라고 하니 손해가 난다는 가정이 안되었던 것이죠. 🙂

      Reply
  4. Pingback: 오바마의 금융개혁안에 대한 느낌 | foog

  5. Pingback: 현재의 부동산PF 시장 단상 | foog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