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령하고 저항하고 생산하라”

“회복된 회사(recovered companies)” 운동은 규모면에서 놀랄 정도는 아니다. 아르헨티나에서 약 170여개 1만 여명의 노동자 정도다. 그러나 6년 동안 지속되었고 이 나라의 다른 새로운 운동들과는 달리 살아남았고 이 나라의 뿌리 깊은 불평등한 “회복”의 가운데서도 조용한 강함을 쌓아가고 있다. 그 완고함은 실용주의의 한 요소다. 이것은 말이 아닌 행동에 기초한 운동이다. 그리고 그것이 규정하고 있는 행동은, 노동자 통제 하의 생산수단을 다시 일깨우면서 강력한 상징주의가 실려 있긴 하지만 결코 상징적이지 않다.(즉 상징 이상의 것이다.:역주) 그것은 가족을 먹여 살리고, 조각난 자존심을 다시 세우고, 강력한 가능성의 창을 열었다.[“Occupy, resist, produce”, New Statesman]

2001년 경제위기 이후 도산한 기업들을 인수하여 노동자 자주관리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현황에 대한 신문기사에서 발췌.

6 thoughts on ““점령하고 저항하고 생산하라”

  1. Adrian Monk

    음 제가 알고 있는 어느 나라와는 매우 다른 실용주의 노선을 걷고 있나보군요.
    요즘 실용이 뭔지 정말 생각을 많이 거듭해봅니다만, 다른 여느 개념들도 그렇듯, 생각하면 할수록 아리송해져요.

    Reply
    1. foog

      그 어느 나라 “실용주의”는 사실 “막가파주의”의 다른 말에 불과할 따름이라서요

      Reply
  2. LieBe

    프래그머티즘만큼 듣기에 그럴듯하면서도 건설적인….그러나 파괴적인 단어도 드물다고 생각 들어요.
    정말 모든 현상과 개념, 주의가 다 그렇겠지만 재전축이나 막가파 철거냐를 구분 짓는건 그걸 휘두르는 사람들이겠죠….ㅡ.ㅡa

    Reply
  3. 永革

    작년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에서 이런 형태의 회사에 관한 기사를 읽은 기억이 납니다. 에스파냐의 사례가 소개되었던 것 같은데… 여튼 주식회사의 효용에 대해서도 이제 슬슬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Reply
    1. foog

      회사의 주인이 누구냐 하는 문제는 회계학에서조차도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이슈죠. 주인, 소유, 이해관계자… 어려운 주제들입니다. 🙂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