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다운로드

레코드회사들이 저지른 뼈아픈 실수 1위는?

Blender.com 은 최근 “20 Biggest Record Company Screw-Ups of All Time”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레코드 회사가 저지른 가장 멍청한 실수 20가지를 선정했다. 흥미로운 실수 몇 개를 살펴보자.

17위에 에디슨이 세운 레코드 회사에 관한 이야기가 소개되고 있다. 축음기의 발명가 에디슨이니만큼(사실 발명가라기보다는 사업가지만) 당연히 그는 National Phonograph Company(나중에 Edison Records 라고 개명)라는 이름의 레코드 회사를 소유하고 있었다. 처음에 이 회사는 관련업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회사였다. 하지만 치명적인 두 가지 실수는 이 회사의 수명을 단축했다. 첫 번째, 에디슨 회사의 레코드는 오직 에디슨의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들을 수 있었다. 호환성이 없었던 것이다. 두 번째로 그는 당시 유행하던 재즈를 지독히 싫어했고(주1) 이러한 사적인 감정이 비즈니스에 반영되어 재즈 음반을 전혀 내지 않았다 한다. 결국 이차저차해서 회사는 1929년에 문을 닫았다고 한다.

8위로는 워너뮤직 Warner Music 의 뼈아픈 실수를 소개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음악은 그 장르적 속성 자체가 정치적 성향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흔한데 대표적으로 보수적인 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음악은 바로 랩이나 힙합으로 불리는 흑인음악일 것이다. 힙합이 한창 인기를 끌고 있을 때 이 음악의 최고의 수혜자는 워너뮤직이었다. 그들의 계열사 중 하나인 Interscope label 이 부분소유하고 있는 Death Row 사에 당시 최고의 힙합 아티스트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화당의 대통령 후보 Bob Dole 이 한 연설에서 이러한 이유로 워너뮤직을 비난하자 그들은 서둘러 Interscope 을 라이벌인 유니버셜에게 팔아버린다. 그뒤 유니버셜은 Interscope 이 배출한 Tupac, Dr. Dre, Eminem 등의 놀라운 성공에 힘입어 가장 큰 레코드사로 성장한다. 워너뮤직은 서서히 사그러져 가다가 2004년 매각되었다.

그럼 대망의 1위는?

“Major labels squash Napster”

메이저레이블의 냅스터 진압작전이 선정되었다. 냅스터가 처음 서비스를 개시했을 적에 그 인기는 정말 상상을 초월할 정도였다.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컴퓨터를 아예 켜놓고 자는 이들도 상당수 있었다. 모르긴 몰라도 이 때문에 하드디스크가 엄청나게 팔려나갔을 것이다. Blender.com 은 이 P2P의 원조 사이트가 기존 기업들에게 자본조달을 요청했을 때 이를 무시하고 무력 진압한 것을 실수로 뽑고 있다. 왜냐하면 “냅스터의 사용자들은 사라지지 않고 수많은 대체 시스템으로 흩어져 버렸기 때문이다(Napster’s users didn’t just disappear. They scattered to hundreds of alternative systems)”

그리고 이제는 냅스터를 찾는 이들은 극소수에 불과하지만 여전히 온라인을 통한 영상 및 음악의 불법 다운로드나 판매의 문제는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 채 레코드 회사는 DRM이라는 있으나마나한 기술을 도입했다가 폐기했고, 여전히 온라인 다운로드에 익숙해있는 수많은 사용자들은 범법자로 낙인찍히고 있고, 이 와중에 저작권을 미끼로 법률 브로커가 용돈을 벌고 있는 실타래처럼 꼬여있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겠지만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서비스가 RCRD LBL(발음 그대로 “레코드레이블”) 이라는 블로그다. 이 블로그는 아티스트들에게 저작권이 제한되어 있지 않은 음악을 공짜로 제공하면서 벌어들이는 광고수익을 아티스트들과 나누는 구조다. 블로그의 운영자 Rojas 씨는 꼭 음악 자체가 팔릴 필요는 없으며 광고처럼 선전되어 아티스트들과 이 수입을 공유하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서비스의 가능성은 아마도 그 정도의 수익공유로도 만족하는 독립 아티스트들이 자신들의 음악을 알릴 수 있는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지는 선에서의 시장에 국한될 것이다. 하여튼 이러한 다양한 실험적 시도가 많아질수록 우리는 보다 다양한, 그리고 보다 건설적인 논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음악 산업계들이 그러한 실험을 거부한 채 자신들만의 이익추구에만 몰두한다면 다음에 Blender.com 이 선정할 리스트에는 아마 그때 일어날 실수가 1위로 선정되지 않을까 싶다.

(주1) 그는 “나는 언제나 재즈 레코드를 거꾸로 돌려서 들어. 그 편이 훨씬 나아”라고 망발을 서슴지 않았다고 한다.

거물가수가 말하는 신참음악가가 돈 버는 방법

최근 Wired.com 에서는 미국의 어느 고참 가수의 글이 화제가 되었다. 그의 이름은 David Byrne 이다. 우리나라에는 그리 익숙하지 않은 인물이지만 영미권의 펑크, 뉴웨이브 계에서는 전설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바로 전설적인 펑크락 클럽 CBGB를 통해 데뷔한 이래 펑크/뉴웨이브의 전형이 되어버린 그룹 Talking Heads의 리더이자 프론트맨이었기 때문이다.(한국어 팬페이지 가기)

그런 그가 최근 몇 년 동안 기술혁신과 불법다운로드 등으로 망해간다고 아우성치는 음악 산업계에 일침을 놓는 글을 Wired.com에 올린 것이다. 어떻게 보면 스스로 이미 기득권인 그이지만 ‘총체적 폭로(total disclosure)’라는 단어로 시작하는 이 글을 통해 음악 산업계의 감춰진 기득권의 일면을 보여주면서 현재의 기술혁신 등의 상황이 음악가들에게는 오히려 기회임을 말하고 있다.

전체적인 내용이 그동안 관련 산업계에서 회자되어온 내용이 많지만 그 산업에 직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거물급의 인사가 한 말이기에 무게감이 한층 크다. 불법 다운로드, 음악의 거대산업화, 신인의 등용문 등 여러 주제가 많지만 글이 무척 길기에 편집자 마음대로 요약 발췌하였다. 원문의 의도와 다른 내용이 있다면 가차 없이 지적해주시기 바란다.

원문보기

Radiohead가 최신앨범을 온라인을 통해서 발표했고 Madonna는 워너브로스에서 콘서트홍보 회사인 라이브네이션으로 망명했다.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음악산업의 형태가 종말을 맡고 있음을 알려주는 사례들이다. 오늘날 비즈니스를 하는데 있어 독보적인 방법은 없다. 적어도 내 계산으로만도 여섯 가지의 방법이 있고 음악가들은 이러한 방법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음악이란 무엇인가?
과거에는 음악은 우리가 듣고 경험하는 무엇이었다. 그것은 순수한 음악 그 자체가 아니라 사회적 행사였다. 녹음기술이 존재하기 전에는 음악과 사회적 콘텍스트를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교회, 술집, 군대 등에서 불리는 음악들은 각기 그 사회적 기능을 위해 만들어진 것들이다. 그것을 집으로 가져오기란 불가능한 일이었다. 더군다나 상품으로 만들어 파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음악은 그저 경험이었다.

그런데 20세기 들어 기술이 이러한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 녹음을 통해 음악은 생산물이 되고 팔리고 거래되고 재생되었다. 이로서 음악은 경제가 되었다.

그렇다면 레코드회사가 음악을 경제로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하는지 알아보자.

  • 자금조달
  • 상품제조
  • 상품유통
  • 상품홍보
  • 음악가들의 경력과 녹음의 조언 및 가이드
  • 회계정리

이것이 오늘날 상품을 내놓기 위해 시스템이 하는 일이었다. 그들이 레코드, 테잎, 디스크 등이 음악을 실어 날랐다. 그런데 오늘날 이와 똑같은 것들을 실어 나르는 데에 그 서비스의 가치가 줄어들고 있다.

예를 들면

녹음비용은 거의 비용이 들지 않는 수준으로 가고 있다. 음악가들은 녹음을 위해 레이블이 필요했다. 대부분의 음악가는 직업적인 스튜디오, 엔지니어, 프로듀서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최소자금인 1만5천불을 지불할 돈이 없다. 그러나 이제 앨범은 이메일을 확인하는 노트북으로도 만들 수 있다.(주1)

제조와 유통비용도 제로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다. LP나 CD는 기본적으로 드는 제조단가, 수송단가가 있다.(사실 우리는 음악에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그 플라스틱에 지불하는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을 통한 유통은 거의 공짜다. 이 방법을 통하면 100카피건 100만 카피건 비용 차이가 거의 없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레이블에는 어떤 변화가 생길까?
몇몇 레이블은 사라질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이 전통적으로 수행하던 역할이 보다 혁신적인 방법으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이다. 최근 나는 Brian Eno(주2) 와 이야기를 나눴는데 그는 I Think Music 이라는 인디밴드들의 온라인 네트웍에 열광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통적인 제작방식에 회의감을 표시했다.

“구조적으로 그들은 너무 크다. 그리고 그들은 현재 전적으로 수세적인 위치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라고는 음악가에게 큰 금액의 선금 – 이제 막 시작하는 젊은 밴드에게는 여전히 매력적인 – 을 줄 수 있다는 것 정도이다. 그러나 그게 다다.”

라고 Eno는 이야기했다.

여섯 가지 음악유통 모델
현재 음악유통 모델은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모든 것이 기획사에 의해 기획되는 방식이다. Pussycat Dolls, Korn, Robbie Williams 등이 이러한 방식인데 이들은 일종의 브랜드가 된다. 회사는 이들을 이용해 음악, 티셔츠, 팬시상품 등 수많은 관련 상품으로 돈을 번다. 때로는 음악가들도 많은 돈을 벌지만 대부분의 돈은 자본투자가들에게 흘러간다.

2. 전통적이고 표준적인 유통 모델이다. 과거의 Talking Heads 가 이런 식이었는데 레코드 회사가 녹음, 제조, 유통, 홍보를 하고 음악가는 로얄티를 받는다. 이 방식은 레이블이 녹음한 것들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소유한다.

3. 라이센스계약은 표준적인 방식과 비슷하나 이 경우는 음악가가 지적재산권과 마스터레코딩의 소유권을 가진다. 재산권들을 향유할 권리가 레이블에 주어지나 일정기간이 지나면 음악가에게 귀속된다. 만약 음악가들이 기업에게 재정적 지원을 받지 않아도 된다면 이 방식을 살펴볼만 하다. Arcade Fire가 인디레이블인 Merge와 맺는 관계가 이런 식이다.

4. 이익분배 모델인데 내가 2003년 Lead Us Not Into Temptation를 내놓을 때 Thrill Jockey와 일하면서 사용한 방식이다. 레이블에게 최소한의 선금만 받고 이익은 분배하였다.

5. 음악가가 제조, 유통만 빼놓고 다 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역할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인센티브도 적다. 이 모델에서 음악가는 창의성을 보장받지만 도박이기도 하다. Aimee Mann이 이 방식을 채택했다. 그녀는 “많은 음악가들이 그들이 벌 수 있는 많은 돈들이 소유권과 라이센싱을 포기함으로써 날아가는지 알지 못한다.”고 이야기한다.

6. 셀프유통모델이다. 자신이 음악을 만들고, 생산하고, 연주하고, 판매한다. CD는 공연이나 웹사이트에서 판다. 홍보는 MySpace 를 이용한다. 음악가는 총체적으로 창의적인 권리를 부여받는다. 실제로는 거리에서 CD를 팔고 라이브를 하는 신참 음악가에게는 의지할 곳 없는 자유, 대단히 추상적인 독립이긴 하다. Radiohead 가 이 DIY 모델을 채택했다. 소비자들은 음악을 다운받고 그들이 지불하고 싶은 가격으로 지불하면 되는 방식이었다. 이들과 같은 유명밴드에게는 상대적으로 위험이 덜한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는 진정한 변화의 초석이기도 하다. Radiohead의 매니저 Bryce Edge는

“이 업계는 종말이 다가온 것처럼 반응한다. 그들은 음악을 평가절하시키고 무료배포한 것처럼 말한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우리는 사람들에게 우리 음악을 평가해달라고 부탁했다. 이는 전혀 다른 의미다.”

라고 이야기했다.

자유 VS 실용주의
어떠한 모델이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그러나 앞으로 점점 더 많은 음악가들이 위의 모델들을 혼합하고 적응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음악 산업이 종말을 고하고 있다고 읽은 적이 있는가? 실은 좀 더 많은 기회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대스타들에게는 여전히 그들의 신보를 작업해주고 홍보해줄 전통적인 대규모 기획사를 필요로 하겠지만 다른 이들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소규모 회사들을 통한 작업도 진행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여하한의 모델은 단일한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야 하다. : 우리가 음악으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 어떻게 음악이 우리를 이끄는 우리 머리와 가슴 속의 대지(大地)로 이끌 것인가. 우리는 음악을 통해 그곳으로의 여행 티켓을 얻을 수 있는가.

(주1) 이를 두고 어떤 누리꾼은 원 사이트 댓글에 ‘어떻게 메일확인하는 노트북으로 음악을 만드느냐’라고 항변하기도 했다. 난독증이다. 이것은 일종의 비유일 뿐이다.

(주2) 또 하나의 거물음악가로 Roxy Music의 멤버이기도 하였으며 프로듀서로서 수많은 명반을 제작하였다.

RIAA 공갈죄로 고소당하다

RIAA sued under gang laws
Last modified: February 18, 2004, 1:39 PM PST
By John Borland
Staff Writer, CNET News.com

레코드회사 간부가 알카포네에 비유된 적이 처음은 아니겠지만 이번에는 판사가 그에 동의할지 말아야할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미음반산업협회(RIAA : th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로부터 저작권 침해로 고소당한 수 백 명 중 하나인 뉴저지에 사는 어느 여인이 거대 레코드 레이블들을 맞고소했는데 이들이 연방 공갈금지법(the federal antiracketeering act)을 위반하였다는 죄목이다.

Michele Scimeca라는 이 여인은 그녀의 변호사를 통해 주장하기를 파일 교환자들을 저작권 침해로 고소함으로써, 그리고 수십만 달러의 벌금을 물 소송을 진행하는 대신에 합의를 보도록 권유함으로써 RIAA는 갱단과 조직범죄단체에게서 전형적으로 적용될 그 법을 위반하였다는 것이다.

“이런 겁주기 전술은 거대 기업과 싸우는 것이 두려워 자신들을 희생양인양 여기는 개인들로부터 막대한 양의 합의를 유도해냈고 이를 통해 그들에게 합의금을 내도록 강요받는 것으로 느끼게 만들었다.” Scimeca의 변호사 Bart Lombardo는 뉴저지 연방법원에 제출한 서류에 이렇게 적고 있다. “이런 타입의 겁주기 전술은 허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거의 협박에 가깝습니다.”

Scimeca는 비록 그녀처럼 창조적인 법률전략을 구사하고 있지는 않지만 레코드 회사의 파일 교환자에 대항한 저작권 침해 캠페인에 반대하고 투쟁하는 사람들 중 하나이다.

RIAA에 따르면 531명의 익명인들(as-yet-anonymous individuals : 더 적합한 표현있으면 지적바람)을 대상으로 한 최근의 소송에서 실지로 아직 그들에게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던 몇몇을 포함한 381명과 합의를 보았다. 이제까지 약 1,500명이 고소를 당했다.

해당 산업의 그룹은 ‘극히 일부분’의 사람들이 다양한 클레임 수단을 써가며 맞고소를 했다고 말했다.

“만약 누군가가 합의를 원치 않을 경우 그들은 물론 법정에서 이의를 제기할 기회가 있는 겁니다.” RIAA의 대변인이 말한다. “우리는 우리에 대한 클레임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경우든 현재까지 진행된 것은 거의 없다. 그러나 RIAA의 개인들에 대한 첫 법정소송은 5개월 전부터 쌓여오고 있다. 비록 타격 대사인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년의 익명인이 아닌 John Doe의 캠페인이였긴 하지만 말이다.(역자주 : 이 부분 잘 이해가 안가는데 아마도 추상적인 개인들을 공격하는 게 John Doe[주로 피의자가 궐석하거나 이름을 밝히기 꺼릴 때 쓰는 우리나라로 치면 홍길동 같은 이름] 캠페인이었고 그 대신 구체적인 개인들을 무차별로 집어내어 고소를 한게 익명인들에 대한 소송으로 보임)

몇몇 개인과 회사들은 음악 교환자들을 그들의 인터넷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s : ISPs)들을 통해 신원을 확보하려는 RIAA의 시도와 싸울 태세에 들어갔다.

가장 잘 알려진 “Nycfashiongirl” 이라고 불려지는 한 파일 교환자의 경우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그 컴퓨터 사용자의 일시적인 승리로 귀결되었다. 워싱턴 D.C. 법원은 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ISP에게 가입자의 신원을 공개하도록 소환장을 보낸 RIAA의 첫 법적 조치는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왜냐하면 “Nycfashiongirl”은 이 과정(역자주 : 우선 소환장을 발부해서 ISP를 뒤져서 조지는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보임)에서 타겟으로 지목되었고 RIAA가 그녀의 신분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일시적인 집행유예에 불과하다. 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에 따르면 한 시민 자유 그룹은 거의 RIAA의 캠페인을 지지하고 있다. “Nycfashiongirl”에 의해 사용된 인터넷 주소는 그녀가 법정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익명의 개인들에 대항하는 화요일의 법적소송의 한 묶음으로 귀결되었다.

소환장에 대항하여 싸우려는 별도의 시도들은 상대적으로 전미시민자유연합(the American Civil Liberties Union)과 ISP 면허업자 커뮤니케이션(ISP Charter Communications)이 상대적으로 RIAA의 정보요청에 도전하고 있는 북캘리포니아와 세인트루이스에서 진행중이다.

샌프란시스코에서 Raymond Maalouf라는 컴퓨터 사용자는 RIAA의 소송에 대응하는 첫 단계를 밟았다. 그의 딸들은 음악을 다운받는 Kazaa를 이용하는 사용자였다. 그리고 딸들 중 하나는 지난달 펩시의 iTunes 홍보를 위한 수퍼볼 광고에서 RIAA의 저인망에 걸린 몇 명의 십대들의 하나로 등장함으로써 상처를 받기까지 했다.

샌프란시스코 법정에 접수된 소장에서 Maalouf의 변호사는 Kazaa를 통한 다운로드가 Maalouf의 딸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교사들에 의해 공개적으로 논의되었고 그들은 학급에서 노래들을 다운받았다. (그러므로) 그것은 보호될 음악의 공정한 사용이어야 한다. 변호사들의 말이다.

2월에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논의된 Maalouf의 케이스는 RIAA가 함께 묶어 법원으로 넘겨질 다섯 건의 소송 중 하나일 뿐이다. 그러나 변호사 Ted Parker는 그들 중 몇몇은 거의 합의에 동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RIAA의 비판자들조차 Scimeca의 공갈을 당했다고 주장되는 맞고소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시도될만한 가치는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내가 들은 바에 한해서 그러한 시도를 한 첫 사례로 알고 있다.” EFF의 법률이사 Cindy Cohn의 말이다. “짐작컨대 그것은 RIAA가 너무나 많은 사람들을 고소하고 있고 많은 변호사들이 민중들을 보호할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희망의 전조이다.”

http://news.com.com/2100-1027_3-5161209.html?tag=nefd_le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