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황식이 힙스터의 문화가 된 세상

사실 패전 후 일본의 분식에는 밀가루뿐만 아니라 호박이나 감자류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런 분식까지 포함한 ‘중앙분식협회’였습니다. 그럼 당시 어떤 분식이 소개되었을까요? ‘생활과학’ 1946년 9월호에서 발췌해봅니다.

  • 고구마순 당고 : 고구마의 잎과 덩굴의 가루가 베이스
  • 쌀겨 찐빵 : 쌀겨가 주재료
  • 소바네리 혹은 소바가키(메밀국수 반죽떡) : 메밀가루가 베이스
  • 이소노카오리무시(바다향찜) : 해초의 감태 가루가 베이스

여기서 말하는 분식은 ‘먹을 수 없다고 취급되던 것까지 가루로 만들면 배를 채울 수 있다’는 헝그리 정신에 기초한 음식인 듯합니다.[일본요리 뒷담화, 우오쓰카 진노스케 지음, 장누리 옮김, 글항아리, 2019년, pp130~131]

분식(粉食)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이 있어 가져왔다. “가루로 빻은 음식”라는 의미의 분식은 우리가 평소에 먹거리로 삼지 않던 것들, 즉 쌀겨나 고구마의 잎 등까지도 먹을 만한 음식으로 만들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러한 시도는 역시 처참한 가난에 시달리던 한국에도 그 표현 역시 그대로 가져다 쓰며 고스란히 이어졌다. 우리나라는 그 빈곤의 시절이 일본의 그것보다 더 오래 이어졌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그 ‘분식 장려의 문화’를 경험한 세대라 할 수 있다.

Budae jjigae (28587380901).jpg
By T.TsengBudae jjigae, CC BY 2.0, Link

즉, 한동안 쌀이 귀했던 우리는 박정희 집권 시기에도 여전히 쌀과 잡곡을 섞어 먹는 혼식(混食)과 분식을 장려했었고, 특히 주말에는 분식을 권장하기까지 했다. 그래서 아직 토요일이 근무일이었던 그 시절, 직장인들은 토요일이면 회사 근처 중국 음식점에 가서 짜장면이나 짬뽕을 사 먹는 것이 습관이었다. 이러한 습관은 마치 ‘파블로프의 개’의 행동처럼 박정희 이후의 시기에도 90년대쯤까지도 이어져 토요일이면 업무 단지 근처 중국 음식점은 손님으로 붐비곤 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제는 과거 구황식(救荒食)이었던 그 한국화된 분식이 일종의 한식(韓食)으로 자리 잡았고 동시에 한류의 붐을 타고 해외에 Korean Food Culture로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이다.1 본래 의미의 분식이라고는 하기 어렵겠지만, 대표적으로 한국식 라면, 부대찌개, 떡볶이, 한국식 핫도그 등이 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싼 맛에 칼로리 보충을 위해 먹던 음식이 힙한 음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재밌는 시절을 살고 있다.

  1. 이런 점은 일본도 비슷한데 대표적인 음식이 오코노미야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