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孤獨のグルメ) 트윗 단상

# ‘고독한 미식가’ 시리즈를 즐겨 보는 이유로는 단연 주인공의 먹방이겠지만, 그가 즐겨 찾는 골목길 풍경도 한몫한다. 적어도 카메라에 잡히는 일본 도시의 골목길은 프랜차이즈에 포획되지 않은 순수 자영업자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골목이기 때문이다.

# 한국판 ‘고독한 미식가’를 찍을 때쯤이면 골목길이 젠트리피케이션 때문에 프랜차이즈에 점령당한 시점이라 이렇게 찍게 될지도 모르겠다. 주인공은 ‘혜리 도시락’을 먹으며 “오~ 이거 의왼데?? 마구마구 먹게 돼!”하고 ‘빽다방’의 커피로 입가심할지도??

# 시장자유주의의 주창자 아인란드는 소비에트가 유일한 주인인채로 모든 인민을 노예상태에 놓이게 만들기 때문에 절대악이라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그는 대자본이 골목 안까지 들어와 모든 소매점을 서열화하고 근로대중을 노예화하는 현 상황을 뭐라 할 수 있을까?

# 오늘 들른 편의점은 전에 중규모의 동네 슈퍼였다. 이제 그 공간은 대자본 프랜차이즈의 유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시스템에 편입됐다. 난 사실 이런 대자본을 효율성 측면을 본다면 무조건 반대할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 소유가 사유화되는 것이 우려될 뿐.

# 요컨데 우리는 점점 더 많은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유통, 소비가 사회화되고 있는 와중에 다만 그 소유권은 소수의 사적자본에 의해 독점되는 것이 신성화된 사회에 살고 있다. 이는 사실 시장경제와 그다지 관계도 없는 경제적 독점에 대한 신앙적 태도다.

# 그나저나 <고독한 미식가> 주인공은 원래 소식하는데 드라마를 위해 하루 전에 단식하고 촬영일 몰아서 마구 먹는다고 한다. 극을 보면 먹방을 위해 흰 쌀밥을 마구 먹는데, 그렇게 몰아서 마구 먹으면 배우의 위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이 되기도 한다.

The Big Short 영화화 소식

소설가가 아닌 넌픽션 작가 – 또는 경제평론가? – 중에 현재 할리우드에서 가장 사랑받는 이는 마이클 루이스(Michael Lewis)가 아닌가 싶다. 할리우드는 이미 그의 저서 중에서 The Blind Side와 Moneyball을 영화화했다. 물론 두 작품은 드라마적 요소가 풍부한 작품이기는 했다. 이번에는 The Big Short가 영화화됐다. 원저는 금융위기 이전 모두가 롱포지션에 미쳐가고 있을 때에 몰락을 예상한 소수가 숏포지션을 취했던 에피소드를 모아놓은 책이다.(관련 글 읽기) 영화 배역이 초호화판이다. 크리스찬 베일, 스티브 카렐, 브래드 피트, 마리사 토메이 등등. 기타 금융위기를 소재로 한 영화 리스트는 여기를 참고하시도록.

“빤하지만 멋진” 노래 All Out Of Love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 Poster.jpg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 Poster”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IMP Awards. Licensed under Wikipedia.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의역 : 존재감 없는 이의 행복)’1는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2012년 작품이다. 좋아하던 이모와의 말못할 트라우마에 시달리는 Charlie(Logan Lerman)와 자신을 존중해주지 않는 남자만 사귀는 Sam(Emma Watson), 동성애자로서 학교의 인기 스포츠 선수를 사랑하며 괴로워하는 Sam의 이복 오빠 Patrick(Ezra Miller)를 중심으로 한 에피소드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성장영화다. 1990년대 초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Charlie와 Sam 둘 다 The Smiths를 좋아하는 팬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라 80년대 인디 음악들이 많이 등장한다. 특히 The Smiths의 자살을 암시하는 내용의 Asleep은 Charlie의 주제곡처럼 쓰여 그의 불안한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

80년대 인디 음악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귀가 호사할 만한 영화인데, 한편 의외의 80년대 곡이 등장하기도 한다. 바로 인디와는 거리가 먼 전형적인 팝발라드 그룹 Air Supply의 All Out Of Love. 카셋테잎에 노래를 녹음해줘서 본인의 취향을 상대방에게 과시하던 80~90년대인지라 Sam은 Charlie에게 이 노래를 추천해준 것이다. Sam은 Charlie에게 “빤하지만 멋진(kitsch and brilliant)” 곡이라고 했고 Charlie는 헤드폰으로 노래를 들으며 감정을 넣어 따라 부르면서 Sam의 의견에 동의한다. The Smiths, David Bowie, Nick Drake를 즐겨듣는 주인공들에게는 Air Supply는 그런 존재였을 것이다. 나 역시도 이들의 의견에 동의한다. 빤한 멜로디에 빤한 가사, 그렇지만 그런 빤한 것이 또 우리 인생이다.

영화에서 The Smiths의 Asleep이 자신의 새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Charlie의 마음을 대변하는 것이고, David Bowie의 Heroes가 그 새장을 벗어나서 느끼는 자유를 대변하는 것이라면, All Out Of Love는 Sam을 그리워하면서도 데이트 신청도 못하고 쭈뼛대는 Charlie의 우유부단함을 대변하는 노래일 것이다. 비록 앞서의 두 개의 곡의 비해 비중은 작고 작가의 의도가 그것이 아니었다 할지라도 영화 속에서 볼 수 있는 빤하지만 공감이 가는 애정관계의 복선은 – Sam과 Charlie 사이를 부단히 끼어드는 노이즈들 – ‘인생은 원래 삼류’라고 말하고 있고 당연히 그 배경음악은 All Out Of Love가 제격이다.

이 노래는 미국에서는 1980년 발표되어 당시 빌보드 핫100 차트 2위까지 올랐다. 이 곡은 Air Supply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 Lost In Love에 수록되어 타이틀곡과 함께 큰 인기를 얻었는데 앨범 수록곡 중에서 가장 높은 차트 순위에 오르기도 한 곡이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VH1은 2003년 이 곡을 ‘100곡의 가장 위대한 러브송’ 리스트에서 92위에 선정하기도 했다. 리듬 기타와 백킹 보컬을 맡았던 Graham Russell이 전반부를 부르고 메인 보컬을 맡았던 Russell Hitchcock이 후렴구를 부르는 형식으로 이루어진 이 곡은 홍콩의 Alan Tom이 리메이크 하는 등 많은 이들이 다시 부르기도 했다.

Air Supply의 노래 듣기
영화의 주요장면 보기
Alan Tom 버전으로 듣기

The Wolf of Wall Street 오피셜 트레일러

마틴 스콜세지가 월스트리트에 관한 영화를 만들었다. 주연은 레오나도 디카프리오. 트레일러만 봐도 어떤 식으로 이 거리를 묘사하려는 것인지 대충 감은 잡힌다. 미국에선 11월 쯤 개봉한다니 우리나라도 그쯤이 될 듯. 올리버 스톤의 월스트리트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보는 것도 재밌을 듯. 아~ 개인적으로는 좋아하는 배우인 조나 힐이 출연해서 더 반갑다.

오피셜트레일러

용서받지 못한 자의 변명으로써의 예술의 효용성

말론 브랜도(Marlon Brando) 주연의 ‘워터프론트(On The Waterfront)’라는 영화가 있다. 부도노동자인 테리 멀로이(Terry Malloy; 말론 브랜도)가 항구의 부패한 노조의 끄나풀로 일하다가 양심과 사랑을 위해 불의에 맞선다는 내용으로, 강렬한 스토리텔링,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 충격적인 사회적 메시지 등에 힘입어 미국 영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걸작에 늘 꼽히는 작품이다.

한편 이 영화의 좀 더 깊은 속내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면 감독과 제작년도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 이 영화를 감독한 이는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에덴의 동쪽’ 등 작품성과 상업성 양쪽에서 최고의 영예를 얻은 엘리아 카잔(Elia Kazan)이다. 제작년도는 1954년이다. 감독과 제작년도가 중요한 이유는 이 영화가 감독이 그 이전인 1952년에 겪은 일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Elia Kazan.JPG
Elia Kazan” by Unknown – http://mythicalmonkey.blogspot.com.au/p/katie-bar-door-award-nominees-and.html. 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엘리아 카잔

1952년 엘리아 카잔은 당시 미국사회를 광풍으로 몰아넣은 매카시즘의 진원지인 하원비미활동위원회(House Un-American Activities Committee:HUAC)에 증인으로 참석해야 했다. 이 자리에서 카잔은 자신이 16년 전에 공산당 당원이었음을 밝힌다. 당시 동료들의 이름을 대라는 요구에 처음에는 거부하다, 결국 Group Theater의 멤버였던 공산주의자 여덟 명의 이름을 댄다.

이 일로 인해 카잔은 밀고자로 낙인찍힌다. 아마도 카잔의 인생에서 가장 치욕적인 순간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영화 ‘워터프론트’는 2년 후에 제작된다. 한편 흥미롭게도 영화의 아이디어는 원래 아서 밀러(Arthur Miller)의 것이었지만 아서는 카잔의 배신을 비난하며 대본 집필을 거부하고, 그 작업은 카잔과 함께 HUAC에 협조했던 버드 슐버그(Budd Schulberg)가 맡게 되었다.

영화 줄거리를 보자. 항구의 부패한 노조는 그들의 방해자를 살인도 불사하며 제거한다. 멋모르고 동참했던 테리는 차차 사건의 실상을 알고 갈등한다. 노조가 간부였던 친형마저 죽이자 마침내 청문회에 나가 진실을 증언한다. 이로 인해 밀고자로 욕을 먹지만 노조 위원장 자니 프렌들리(Johnny Friendly)와 담판을 지으며 영웅으로 거듭난다. 뭔가 이야기가 겹치는 느낌이 든다.

이것은 명백히 카잔 자신의 심정을 테리에게 투영한 것이다. 자니는 어쩌면 자신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던 아서를 설정한 것일지도 모른다. 카잔은 자서전 ‘인생(A Life)’에서 ‘워터프론트’가 아카데미 8개 부문을 석권한 날 “복수의 달콤한 맛을 봤고, 나를 비판하는 놈들이 처박혀서 엿을 먹어야 할 곳이 어디인지를 큰 소리로 외쳐대는 기분”이었다고 썼다. 통쾌한 복수극인 셈이다.

이 때문에 영화가 비판받기도 했다. 몇몇 평론가들은 결국 좌익을 범죄자로 치부하는 반공영화였다고 비판하거나, 영화를 자기 변호수단으로 쓴 사실을 비판하기도 했다. 평론가 수잔 손택(Susan Sontag)이라면 카잔을 옹호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예술작품은 그것이 예술작품인 한 어떤 것도 옹호하지 않는다. 위대한 예술가는 숭고한 중립성을 획득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On the Waterfront poster.jpg
On the Waterfront poster” by http://www.movieposterdb.com/poster/84aa1bc0. Licensed under Wikipedia.

이 반공영화스러운 포스터를 보라~

평론가도 아니고 영화도 잘 모르는 내가 보기에 둘 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예술은 그 자체로 “자기완결적”이기 때문에 그 메시지가 무엇이건 간에 감상자에게 전해지는 그 쾌감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어떤 예술작품이 반인륜적일 경우에도 보존할 가치는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묘한 문제는 그것이 가지는 영향력이 현실세계에 막강할 경우에 발생할 것이다.

한편, 여기 다른 영화가 있다. ‘굿나잇 앤 굿럭(Good Night, and Good Luck)’. 2005년 조지 클루니(George Clooney)가 감독한 이 영화는 카잔과 아서가 반목했던, 조지프 맥카시(Joseph McCarthy) 의원이 활개 쳤던 당시를 그리고 있다. 맥카시즘의 공포 분위기에 모두가 숨죽이고 있던 시절, 용기 있게 맞선 CBS 언론인 에드워드 머로우(Edward R. Murrow)에 관한 영화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에서 에드워드는 동료 프레드 프렌들리(Fred Friendly; 조지 클루니)와 함께 ‘사람 대 사람’이라는 쇼를 통해 맥카시즘에 정면으로 맞선다. 그들이 옹호했던 것은 공산주의나 “사상의 자유”라기보다는, 한 개인을 단죄할 때에는 정해진 절차와 증거에 근거해야 한다는 인권적 차원에서의 저항이었다. 우리식 표현으로 말하자면 진정한 “자유민주주의”적 발상이다.

에드워드 머로우의 실제 방송 장면

이 영화를 ‘워터프론트’와 함께 놓고 보면 흥미롭다. ‘워터프론트’의 영웅은 테리 – 청문회에서 용감히 공산주의자를 고발한 카잔 – 이고, ‘굿나잇 앤 굿럭’에서는 공산주의자 사냥에 나선 맥카시에 대항한 에드워드다. ‘워터프론트’에서의 악의 세력은 카잔을 밀고자라 비난한 항구의 노동자들인데, 에드워드는 거꾸로 그들이 정당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결국 ‘워터프론트’를 네거티브 필름처럼 색깔을 바꾸어 볼 때 두 영화는 잘 포개진다. 악당 자니가 맥카시, 테리가 맥카시에 저항한 에드워드일 경우 두 영화의 영웅주의는 크게 차이가 없다. 그런데 이 둘 간의 가치를 전복한 것이 누구인가 하는 의문에 있어서, 적어도 현재까지의 역사의 평가에 따르면 조지 클루니 보다는 엘리아 카잔이라는 점에서 큰 이의는 없을 것이다.

‘워터프론트’에서의 악인들은 살인이라는 범죄를 저질렀지만, 현실에서의 악인들은 – 몇몇은 간첩행위로 고발당했음에도 – 그렇지도 않았는데 정당한 절차 없이 단죄 받았던 것이 차이다. 불의(不義)에 맞서는 행위가 용기 있는 행위임은 두 말할 나위 없지만 사상의 자유를 침해하는 청문회에 가서 공산주의자라 고발하는 행위가 불의에 맞선 행위라 칭해지긴 곤란한 일이다.

앞서 말한 ‘현실에서 발생하는 미묘한 문제’에 대해 말해보자. 이 이슈는 세기말까지 헐리우드를 짓누르는 민감한 주제였고 어쩌면 여전히 그렇다. 체제순응적인 아카데미조차 한참을 머뭇거리다 1999년에야 엘리야 카잔에게 평생공로상을 준 것이 그 반증일 것이다. 당시 배우들의 반응도 다른 공로상과는 달리 엇갈렸다. 어떤 이는 기립박수를, 어떤 이는 침묵을 지켰던 것이다.

엘리아 카잔의 아카데미상 수상 장면

당시 워렌 비티와 메릴 스트립 등은 기립박수로 환영했지만, 에드 해리스와 닉 놀테 등은 묵묵히 앉아 있었다. 이런 상황으로 인해 그 후 서로의 인간관계가 소원해지기도 했다. 더 중요한 점은 조지 클루니 등이 여전히 당시를 소재로 영화로 만들만큼 미국사회에 미친 영향이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반대 측에서는 부지런히 당시 고발당한 이의 간첩행위를 들추어내고 있고.

우리 역사에도 엘리아 카잔과 비슷한 행동을 한 이가 있다. 남로당 당원으로 몸담았다가 동료를 고발하고, 결국 대통령이 된 박정희가 그다. 박정희가 한반도에 미친 영향은 엘리아 카잔이 미국사회에 미친 영향보다 훨씬 크고, 스토리는 ‘워터프론트’보다 훨씬 방대하다. 그 여파는 이번 대선까지 미치고 있다. 거기에다 그 스토리에는 비극적이게도 ‘워터프론트’와 같은 예술도 없다.

예술을 자기변명의 도구로 쓴 엘리아 카잔 정도는 애교로 봐줄 수 있을 것 같다.

“아버지를 위한 노래” 후기

영화 전체적으로는 그다지 후한 점수를 주고 싶지 않은 작품이다.

30년간 아버지를 만나지 않았고 자신의 노래 때문에 자살한 이들 때문에 더 이상 노래를 부르지 않은 흘러간 팝스타 셰이언이 아버지의 죽음에 즈음하여 그의 임종을 목격하고, 그가 생전에 집요하게 찾아 헤매던 한 나치 군인을 찾아 나선다는, 그럼으로써 결국 일종의 영혼의 치유를 받는다는 흔하고 상투적인 가족영화, 로드무비 스타일이다.

중간 중간에 극 전개와 별로 관련 없는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잔재미를 주는데, 이런 캐릭터들은 바로 영화의 원제 This must be the place와 같은 이름의 곡을 만들었고, 음악감독과 카메오를 맡은 David Byrne의 영화 True Stories에서 등장하는 괴상한한 캐릭터들을 흉내 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상투적인 스토리와는 어울리지 않았다.

아버지가 그토록 찾아 헤매던 그 나치군인을 찾아내어 그를 통해 왜 아버지가 그토록 그를 찾아 헤맸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장면과 (여기에서 그 늙은 나치군인이 보여준 연기는 맘에 들었다) 연출에서 오버한 감이 보이지만 그에게서 셰이언만의 복수를 하는 장면은 그래도 볼만 했다. 하지만 말미에서는 공항장면에서 다시 상투성을 재연한다.

p.s. 1. Talking Heads의 팬으로서는 당연히 극의 백미는 This must be the place를 부르는 David Byrne 의 막간 공연.

p.s. 2. 극중 David Byrne과 셰이언이 대화를 나누는 장소는 David Byrne이 실제로 그의 예술품으로 만든 연주가 가능한 빌딩.

p.s. 3. 셰이언의 분장은 많이들 아시겠지만 The Cure의 Robert Smith를 흉내 낸 것.

p.s. 4. 국내 출시명 “아버지를 위한 노래”는 정말 재앙이다. 아버지를 위한 여정도 아니었고, 셰이언은 노래를 부르지도 않는다.

p.s. 5. 영화를 상영하는 시네큐브 홈페이지에는 Talking Heads가 “1981년 해체한 것”으로 나온다. 실제로는 1991년.

올해의 발견

인간이 시간의 흐름을 특정한 방식으로 측정하기 시작한 이래, 특히 지구의 공전 1회를 1년이라는 용어로 칭한 후부터 인간들은 그 주기의 끝 무렵에 묘한 상념에 빠져들곤 한다. ‘올 한해를 잘 마무리하자’는 다짐을 한달지, 아쉬웠던 부분을 후회한달지, 즐거웠던 추억을 되새김한달지… 이 글도 그러한 “인간적인” 습성의 일환으로 올 한해 어리석은 나의 뇌리를 스쳐지나간 각종 좋은 것들에 대한 회고형식의 글이랄 수 있다. 각각의 것들은 굳이 올해 처음 선보인 것들은 아니다. 무지한 내가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다가 올해 발견하였고 그에 감화를 받은 것들이다.


엔론스캔들 : 세상에서 제일 잘난 놈들의 몰락

이 책의 원전 ‘Enron: The Smartest Guys in the Room’은 포츈紙의 기자인 Bethany McLean와 Peter Elkind의 공저로 2003년 발간되었고 번역서로는 2010년에 발간되었다. 개인적으로는 올해 신촌의 한 헌책방에서 구입해서 읽게 되었다.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차곡차곡 쌓여 있는 엔론이 망한 이유에 대한 알찬 정보들이다. 知人은 작가들의 서술이 약간 지루한 측면이 있어 보일 정도로 사건이 아닌 정보 위주란 표현을 하던데, 이에 동의하고 그 점 또한 이 책의 미덕이라 생각한다.

엔론은 “에너지기업”이란 외피를 둘러쓰고 규제완화와 금융세계화에 편승하여 사세를 확장하다가 고꾸라진 기업이다. 이들의 興亡은 미국 자본주의가 반복하고 있는 실수가 어쩌면 일시적 버그가 아닌 태생적 한계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엔론이 시도한 각종 신종 파생상품 거래, 개발도상국에서의 민영화, 회계처리 방식 변경과 규제완화를 위한 로비, 캘리포니아 정전사태의 정황, 경영진들의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도덕적 불감증 등 현대 자본주의를 종단면으로 잘라 보여주는 듯한 책이다.

영화
8 1/2

이탈리아의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이 1963년 만든 작품이다. 많은 이탈리아 감독이 그렇듯 펠리니도 사회성 짙은 메시지를 담은 리얼리즘 영화를 제작하곤 했는데, 이 영화는 이채롭게 감독의 직업과 삶에 대한 자전적 요소가 담긴 몽환적인 분위기의 작품이다.

펠리니의 분신으로 여겨지는 영화감독 구이도는 아내와의 갈등, 애인과의 무미건조함, 영화제작의 난항 등 이러저러 중년으로서의, 남편으로서의, 감독으로서의 위기를 겪고 있는 중이다. 이 모든 에피소드들은 시간순서와 관계없이 뒤섞여 꿈처럼 엮어 진행된다.

영화는 모순되고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구이도의 모습에 별로 동정심을 갖지 않는다. 다만 그의 그러한 어리석음이 어린 시절부터 켜켜이 쌓아져온 인습, 기억, 경험이라는 정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할 뿐이다. 물론 기억은 때로 왜곡되게 반영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영화에 관한 영화’이자 ‘삶에 관한 영화’다. ‘한 개인의 삶의 거울’로써의 영화가 여러 변수에 따라 어떻게 삶을 다시 규정하고 왜곡하는지 –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 보여주지만, 그게 또 삶에 녹아들어가 또 하나의 의미를 가진다.

음악
The Great Beautician in the Sky by Magazine

Magazine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자면 이들의 前身은 The Buzzcocks라는 펑크밴드로 봐야 할 것 같다. 음악적 키를 쥐고 있는 Howard Devoto가 이 밴드 출신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소위 포스트-펑크로 분류되지만 사실 좀 더 다채롭고 특이한 음악영역을 개척했다.

전신인 The Buzzcocks가 Sex Pistols나 The Clash와 함께 펑크의 개념을 규정하는 직선적인 음악을 구사했다면, 이들은 여러 음악장르를 수용하여 다양한 악기를 도입한, 매우 연극적인 분위기의 음악을 내놓았고, 이 곡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 곡이 수록된 Real Life란 음반은 1978년 출시되었고 비평가들의 호평을 얻었다. 앨범의 대표곡은 밴드의 유일한 히트곡이랄 수 있는 Shot By Both Sides다. 이 곡은 The Buzzcocks 시절을 연상시키는 직선적이고 단순한 멜로디의 펑크락 넘버다.

반면, The Great Beautician은 전통적인 락밴드의 악기편성에서 벗어난 다양한 악기편성과 몽환적인 분위기의 가사, 그리고 무엇보다도 환상적이고 퇴폐적인 분위기 뮤지컬이나 서커스의 한 장면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멜로디가 일품인 곡이다.

웹사이트
venezuelanalysis.com

이 사이트는 베네수엘라의 정치적 상황에 대한 뉴스와 분석을 전달하는, 그 나라의 변혁운동에 호의적인 입장을 가진 개인들이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다. 사이트 소개에 의하면 다른 나라의 학자, 저널리스트, 지식인, 정치인, 대중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한다.

글을 제공하는 이들은 베네수엘라, 미국, 또는 그 외 지역의 다양한 저술가들로 스스로 소개하고 있는 것처럼 외국의 대중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이유는, 역시 미국을 중심으로 한 매스미디어가 베네수엘라의 상황을 왜곡하여 전달하고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다.

그러한 관계로 이들이 전하는 소식은 자연히 베네수엘라 정부나 차베스에 호의적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개별사안에 대해서는 – 예를 들어 게이퍼레이드 소식을 전할 때처럼 – 현 체제의 부족한 부분을 지적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는 객관성을 잘 유지하고 있다.

이 사이트의 가장 큰 미덕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反자본주의 실험’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전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막연히 이념서적의 추상적 언어나 과거 소비에트 블록의 실험 정도로만 짐작하고 있는 체제변혁의 사례를 생생히 전해주고 있으니 말이다.

팟캐스트
타박타박 세계사

친구의 소개로 알게 된 팟캐스트다. 일요일 오전 MBC FM에서 전파를 타는 프로그램을 팟캐스트로 제공하고 있는 것인데, 남경태 씨의 구수하고 활달한 진행과 패널들의 심도 깊은 역사지식, 그리고 시의성 있는 다양한 이슈가 잘 조화를 이루는 프로그램이다.

이 팟캐스트를 소개하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빅뉴스라는 우익매체가 이 팟캐스트에 이념적 잣대를 갖다 댔는데, 청취자의 한 명으로서 이 사실을 부인하고 싶은 생각은 별로 없다. ‘그러면 안 되는가’라고 되묻고 싶을 정도로 이런 팟캐스트가 흥했으면 할 뿐이다.

전체적으로 서너 개의 꼭지로 진행되는데, 주제는 다양하다. 올림픽의 역사, 음식의 역사, 그림의 역사 등등 역사적 배경을 제공하는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해석은 반드시 이념적이지는 않지만 그러한 해석이 필요할 경우 주저하지는 않는다.

친구가 내게 이 팟캐스트를 소개해준 이유가 ‘찾은 노래 숨은 역사’란 꼭지를 좋아해서일 것 같아서라는데, 역시 이 꼭지가 가장 맘에 든다. ‘와이낫’이라는 밴드의 리더 전상규 씨가 진행하는 꼭지인데, 락음악에 담겨져 있는 역사적 배경을 감칠 맛나게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