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헝그리 정신

구황식이 힙스터의 문화가 된 세상

사실 패전 후 일본의 분식에는 밀가루뿐만 아니라 호박이나 감자류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런 분식까지 포함한 ‘중앙분식협회’였습니다. 그럼 당시 어떤 분식이 소개되었을까요? ‘생활과학’ 1946년 9월호에서 발췌해봅니다.

  • 고구마순 당고 : 고구마의 잎과 덩굴의 가루가 베이스
  • 쌀겨 찐빵 : 쌀겨가 주재료
  • 소바네리 혹은 소바가키(메밀국수 반죽떡) : 메밀가루가 베이스
  • 이소노카오리무시(바다향찜) : 해초의 감태 가루가 베이스

여기서 말하는 분식은 ‘먹을 수 없다고 취급되던 것까지 가루로 만들면 배를 채울 수 있다’는 헝그리 정신에 기초한 음식인 듯합니다.[일본요리 뒷담화, 우오쓰카 진노스케 지음, 장누리 옮김, 글항아리, 2019년, pp130~131]

분식(粉食)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이 있어 가져왔다. “가루로 빻은 음식”라는 의미의 분식은 우리가 평소에 먹거리로 삼지 않던 것들, 즉 쌀겨나 고구마의 잎 등까지도 먹을 만한 음식으로 만들기 위한 과정을 의미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러한 시도는 역시 처참한 가난에 시달리던 한국에도 그 표현 역시 그대로 가져다 쓰며 고스란히 이어졌다. 우리나라는 그 빈곤의 시절이 일본의 그것보다 더 오래 이어졌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도 그 ‘분식 장려의 문화’를 경험한 세대라 할 수 있다.

Budae jjigae (28587380901).jpg
By T.TsengBudae jjigae, CC BY 2.0, Link

즉, 한동안 쌀이 귀했던 우리는 박정희 집권 시기에도 여전히 쌀과 잡곡을 섞어 먹는 혼식(混食)과 분식을 장려했었고, 특히 주말에는 분식을 권장하기까지 했다. 그래서 아직 토요일이 근무일이었던 그 시절, 직장인들은 토요일이면 회사 근처 중국 음식점에 가서 짜장면이나 짬뽕을 사 먹는 것이 습관이었다. 이러한 습관은 마치 ‘파블로프의 개’의 행동처럼 박정희 이후의 시기에도 90년대쯤까지도 이어져 토요일이면 업무 단지 근처 중국 음식점은 손님으로 붐비곤 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제는 과거 구황식(救荒食)이었던 그 한국화된 분식이 일종의 한식(韓食)으로 자리 잡았고 동시에 한류의 붐을 타고 해외에 Korean Food Culture로 인기를 얻고 있다는 사실이다.1 본래 의미의 분식이라고는 하기 어렵겠지만, 대표적으로 한국식 라면, 부대찌개, 떡볶이, 한국식 핫도그 등이 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싼 맛에 칼로리 보충을 위해 먹던 음식이 힙한 음식으로 인정받고 있는 재밌는 시절을 살고 있다.

한국에 헝그리 정신이 사라졌다는 연합뉴스

한국에 ‘헝그리정신’이 사라졌나…노동의욕 61개국중 54위

오랜만에 추억의 걸작 ‘넘버3’를 생각나게 하는 신문기사를 접했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최근 발표한 ‘2015 세계 인재 보고서'(IMD World Talent Report 2015)의 내용을 전하면서 국내 전문가들의 분석을 함께 엮은 연합뉴스의 이 기사는 노동의욕이 저하된 트잉여들을 빡치게 하는 기사 제목 덕택에 아침부터 트위터 타임라인에 핫이슈로 등장하였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넘버3의 “헝그리 정신” 일화도 다시 화제다.

“전문가”에 의해 순위가 낮은 것은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받은 항목은 ‘노동자 의욕(Worker Motivation)’ 항목이다. 한국은 이 항목에서 조사국가 61개국 중에서 54위로 최하위권으로 머물렀다. 그런데 그 의욕은 누가 측정한 것일까? 바로 기업 임원의 설문을 통해 측정된 것이다. 고용주 입장에서의 주관적인 의견이다.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에 노동 의욕이 없다는 말은 누가 했을까? 임상혁 전국경제인연합회 상무다.

한편 가장 자발적으로 일한다는 평가를 받은 국가는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의 나라다. 이 나라들은 세계 최고의 부국인데도 불구하고 전경련 상무의 분석에 따르면 “헝그리 정신”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는 국가랄 수 있다. 한편 전경련 상무는 “선진국이 아닌데 선진국인 줄 안다”는 말도 덧붙였다. 요컨대 우리 노동자들은 선진국이 아닌데도 선진국인줄 알고 헝그리 정신이 없어져서 기업 임원들 보기에 노동 의욕이 없어져 버린 것이다.

한편 이와는 다른 분석을 하는 이의 의견도 기사에 언급돼있다. 허대녕 기초과학연구원 전략정책팀장은 “고급 일자리가 없는 것이 문제. 기업과 연구소의 환경도 미국 같은 나라보다 너무 열악하다. 야근이 잦은데다 고용 불안도 심하다”고 말했다. 이 의견은 앞서 전경련 상무와 반대되는 의견이다. 허 팀장의 분석에 따르면 우리 노동자는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헝그리하기 때문에 노동 의욕이 없다는 의견으로 들린다.

실제로 보고서의 조사항목 중에서 한국이 ‘노동자 의욕’과 비슷한 순위에 머물러 있는(56위) 항목이 ‘생계비(Cost-of-living) 지수’다. 이 항목에서 우리와 비슷한 순위를 차지한 국가는 앞서 노동 의욕이 강하다는 스위스나 덴마크가 있다. 그런데 이들 나라는 임금이 우리나라보다 높다. 우리나라는 그 나라보다 임금도 낮고 노동시간은 더 긴데도 생계비는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면 전경련 상무보다 허 팀장의 분석이 더 설득력 있는 분석이 아닐까?

기업임원이 노동자의 의욕이 없다고 평가하고 기업이익대변단체 임원이 헝그리 정신이 없어서 그렇다고 비아냥거리고 그걸 그대로 기사제목으로 쓰는 상황. ‘넘버3’보다 더 웃긴 코미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