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 전파에 있어 판화가의 역할

승리를 거둔 전투나 왕의 대관식, 혹은 축제의 현장이나 발레 공연, 군주가 주관한 공연 등 상상력을 자극하는 중요 행사를 기념하기 위해 판화를 사용한 것은 아닐까? [중략] 이제 그런 현장을 나가게 된 것은 화가가 아닌 판화가들이었다. 판화는 여러 장을 찍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이들은 오늘날의 사진가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가령 프랑스의 판화가인 자크 칼로Jacques Callot(1592~1635) 역시 브레다와 라로셸 진지에 가서 그곳의 주요 상황들을 사람들에게 판화로 알렸고, 박람회장의 풍경을 판화로 담아내는가 하면 전쟁의 공포와 집시들의 떠도는 삶도 판화로 새겼다.[책의 탄생, 뤼시앵 페브르/앙리 장 마르탱 지음, 강주헌/배영란 옮김, 돌배게, 2014년, pp185~186]

책의 탄생과 발전에 관한 역사를 서술한 이 책에서 판화에 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다. 그림이 가진 자의 것이라면 판화는 덜 가진 자의 것이었다. 그림은 한 폭밖에 그릴 수 없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왕과 귀족이 자신의 모습을 남기는 용도로나 쓰였지만, 판화는 여러 장 찍어낼 수 있기 때문에 다량으로 생산되는 책의 삽화로 쓰이기도 했고 독립적인 판화가 그림보다 저렴한 값에 소장용으로 팔리기도 했기 때문이다.

The Hanging by Jacques Callot.jpg
The Hanging by Jacques Callot” by Jacques Callotartgallery.nsw.gov.au. 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전쟁의 고통들 ; 작품 11. “교수형”

이렇듯 대량생산과 복제가능성은 소수만이 향유하던 재화와 서비스를 보다 많은 이들이 향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 이는 또한 책이나 판화 등 문화적 상품에 대한 시장이 보다 커짐을 의미하기도 한다. 루벤스는 자신의 그림을 확산시킴으로써 인기가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판화작업실을 따로 두어 자신의 작품을 복제하게 했다고 한다. 이렇듯 복제는 사실을 알리고, 명성을 가져다주고, 지식을 퍼트렸다.

오늘날의 풍경에 대해 생각해보자. 자크 칼로가 특정 상황을 알리기 위해 동판화에 그림을 새겨 찍어낸 후 사람들에게 그것을 퍼트렸던 그 상황에서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인스타그램에 올린다. 어느 날 저녁의 노을이 아름다우면 트위터나 인스타그램에 순식간에 아름다운 노을사진이 퍼진다. 당시 사람들은 상상을 할 수 없는 속도로 정보를 전파하고 수용하는 세상이다. 때로는 너무 빠른 감도 없지 않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