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정상이윤

케인즈의 책을 읽다가 드는 상념 – 두번째

“용기가 있는 사람은 만일 자기보다 상류에 있는 사람이 운좋게 도박으로 재화를 획득했다고 믿는다면, 자신이 가난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기업가가 모리배로 변신하는 것은 자본주의에 타격을 가하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불평등한 보수의 연속성을 허용하는 심리적인 균형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이 막연하게 인정하고 있는 정상이윤에 관한 경제이론은 자본주의의 정당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기업가는, 그의 이득이 대체로 또 일정한 의미에서 그의 활동이 사회에 기여한 것과 일정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 한, 관용될 수 있는 것이다.”[貨幣改革論 26p, J.M.케인즈, 이석륜譯, 1993년, 비봉출판사]

소위 이 ‘정상이윤’은 경제학에서 그리고 현실 사회에서 가장 예민한 화두라 할 것이다. 자본가들이나 주류경제학자들은 이윤이란 각고의 기업경영, 고도의 기술개발 등을 실천한 이들에게 주어지는 원가(原價)를 뛰어넘는 대가라고 주장한다. 한편 Karl Marx는 원가+이윤 이라는 모습은 사실 허상 일뿐이며 노동가치에 대한 착취라고 주장하였다.

이 두 화해할 수 없는 입장은 단순한 학술적인 논쟁을 넘어 정부의 가격규제 혹은 조세, 소비자 운동, 계급투쟁 등의 양상으로 사회에 투영된다. 이런 과정 속에서 케인즈가 지적한 바와 같이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상식선을 – 즉 정상이윤 – 뛰어넘는 상품의 가격에 대해서 분노하면서 서서히 자본주의의 유용성을 의심하기 시작한다. 예를 들자면 아파트 시공원가, 의료서비스의 민영화, 유가폭등에 따른 차량유지비 증가, 곡물가격의 상승 등등.

어릴 적 리더스다이제스트에서 읽은 콩트 한편이 생각난다. 어느 제조업 회사의 사장이 왜 원재료값이 자꾸 오르는지 궁금하여 그 원인을 찾고자 거슬러 올라가보니 결국 자기 회사의 제품가격의 인상 때문이었다는 내용이다. 뱀이 자기꼬리를 먹고 들어가는 꼴이다. 진실에 접근하지는 못했지만 결국 인플레이션, 또는 정상이윤에 관한 진실의 한 토막을 암시하고 있다. 그것들의 실체는 며느리도 모른다는 것.

시장의 자유방임이 우리를 그 실체의 진실로 인도하리라는 환상은 UFO와 함께 일종의 현대인의 미신에 불과한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