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화(無人化)의 그림자

이전 글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지금 자본은 또 다시 도래한 인플레이션 시대 등에 대비하여 노동자의 노동력을 대체하기 위한 갖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본은 무인화를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이는 제조업이 대공장으로 재편되던 시기에 기계화를 통해 노동력을 대체하려던 시도와 동일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1 특히 주목할 만한 현상은 제조업에 비해 일관된 공정이 아니고 고객과 직접 대면하여 응대를 해야 하는 서비스업에서 이러한 무인화가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비스업 노동 중에서도 소비자가 요즘 가장 빈번하게 접하게 되는 무인화 서비스는 소위 “키오스크“라 불리는 무인단말기다. 언제부터인가 우리는 무인단말기 앞에서 커피나 음식을 주문하고 직원에게 완성된 제품을 받는 서비스에 익숙해져가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커피나 음식의 제조마저 로봇이 제조하는 매장이 등장하고 때로는 이 과정도 눈요기로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완전한 무인화 매장에서 우리는 종업원의 도움도 없이 제품을 받는 행위가 일상화될 것이다. 지금의 현재가 어쩌면 과거 사람들이 꿈꿨던 미래세계다.

그러면 이러한 무인화 서비스의 신세계는 과거의 SF영화가 그렸듯이 아름답고 깔끔한 미래의 세계에 부합하는 그런 세계일 것인가? 불행하게도 그러한 세계에는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그림자가 몇 겹 짙게 드리워져 있다. 첫 번째 그림자는 그 세계는 당연하게도 노동자의 일자리를 뺏는 사회라는 점이다. 두 번째 그림자는 그 세계는 무인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소수자를 배제하는 사회라는 점이다. 세 번째 그림자는 그 세계는 자본이 부담해야 할 각종 비용을 공공에게 전가시키는 사회라는 점이다.

An automat in Manhattan, New York City in 1936.
By Berenice Abbotthttps://digitalcollections.nypl.org/items/510d47d9-4f4a-a3d9-e040-e00a18064a99, Public Domain, Link

첫 번째, 어떤 면에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며 필수 노동인력이 줄어드는 마당에서 무인화 노동은 어쩔 수 없는 대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릇 모든 기술 발전이 그렇듯 무인화 기술 역시 친자본이냐 친노동이냐에 따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소비자에게 결재노동을 전가시키는 “셀프 결재” 기능의 도입에 따라 대규모소매점에서 지난 몇 년간 많은 노동자가 해고당했다는 주장이 있다. 노동자의 해고를 용이하게 하는 셀프 결재의 도입이 상당 부분 소비자의 양심적인 결재에 의존한다는 사실이 아이러니하다.2

두 번째, 무인화 노동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장애인 등 소수자 소비자를 배제하고 있다. 며칠 전에 시각장애인이 한 햄버거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무인단말기를 이용하여 제품을 구매하는 시위(!)를 벌여 한 매체가 보도하기도 했다. 시각장애인 혹은 휠체어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는 것 자체가 시위로 둔갑할 만큼 단말기 이용은 장애인에게는 엄청난 도전이다. 이렇듯 많은 서비스 노동자를 배제한 무인화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이나 다른 소수자에게는 또 다른 도전이 되는 그런 신세계다. 차별적인 서비스라 아니할 수 없다.

세 번째, 소위 “공유경제”가 그렇듯 무인화 서비스 역시 주요한 이윤의 원천 중 하나는 여태의 기존 서비스가 치러야할 치안, 안전, 보건 등 기본적인 서비스에 소요되는 비용을 공공에게 전가시키는 서비스라는 심증이 짙어지고 있다. 매장 이용자가 범죄나 사보타주와 같은 행동을 할 때 이전 같으면 상주하고 있는 직원이 그러한 상황을 통제하겠지만, 무인화 매장에서는 행정력에 의존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당연하게도 자본이 부담해야할 비용을 부담하지 않은 결과다. 무인화 매장의 지속 가능성에 회의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정도에서 살펴보듯이 서비스 노동의 무인화는 인구구조 적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는 동시에 소수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대안을 찾고 있다고 하지만, 아직도 해결해야할 장벽이 많은 그런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 맑시즘적 입장에서 보면 노동력이라는 가변자본이 기계라는 불변자본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의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현상도 가속화될 소지도 있을 것이다. 거칠게 보아도 노동자는 기계와 달리 감가상각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단기적인 비용절감을 넘어선 이윤율 저하는 소자본에게 특히 치명적일 것이다.

  1. 언뜻 생각나는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의 무인화는 바로 회전초밥!
  2. 여하튼 이 지점에서 우리는 노동소득이 아닌 기본소득을 통해 구매력을 지탱하는 그런 사회에 대한 필요성을 다시금 고민하게 된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