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펀드

지분형 아파트 실효성 적다

모처럼 인수위원회에서 서민들을 위한 대책을 내놓았다. 이른바 ‘반값 아파트’, 혹은 ‘반의 반값 아파트’라 불리는 “지분형 아파트” 제도다. 이는 새로이 공급되는 아파트에 대해 51%는 수요자가 부담하고 49%는 투자자가 부담하여 수요자의 부담을 반으로 줄인다는 것이다. 또한 수요자의 부담 중에 반절은 정부가 융자해준다니 “반의 반값”이라는 셈법이다.

공급가격 절감에 관해서만큼은 이론적으로 이전의 저가형 주택공급 제도보다 더 진일보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기존의 제도들이 그 포장지에 비해 그 내용물이 초라하여 실효성도 떨어졌고 이로 인해 수요자에게 좌절감만을 안겨주었지만, 이 제도는 시행되어 시장에서 그것이 소화될 경우 공급가격이 떨어질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은 칭찬해줄만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론적인 모순과 실현가능성이다.

기본적으로 이전의 제도들이 공공이 재원조달 및 공급을 주도하는 것이었다면 이 제도는 시장이 재원조달을 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아직 제도적 보완은 이루어져야겠지만 인수위원회는 종합부동산세 등 각종 세금부담을 줄여 투자자의 수익을 지켜줄 참이다. 투자자들도 구미가 당길만한 제안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투자자들의 유인 동기에 내재되어 있는 모순이다.

인수위가 제시하는 복안은 결국 투자자들의 투자수익을 집값 상승을 통해 보전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는 집값을 안정시키겠다고 반값 아파트를 공급하는데 그 전제조건이 집값 상승이라는 이상한 순환논리에 빠지는 소리다. 즉 51% 소유란 집을 소유가 아닌 주거로 보라는  이야기인데 그 정책논리의 발화점이 시장에서의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이 이 제도의 모순이다. 이론적으로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거기에다 사실 실효성도 의심스럽다. 현재 금리가 7~8%대 접어들었으니 투자자들은 그 이상의 수익률을 얻는다는 확신이 있어야 투자를 할 것이다. 사실 아파트값이 폭등하기는 하였지만 한해 매년 7~8%를 상회하는 상승률을 보이는 아파트는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다. 더구나 공공주택용지에 국민주택규모로 공급하는 아파트가 그런 상승률을 보이리라는 것은 상당히 현실성 없는 이야기다. 요즘 유동성이 풍부하다고는 하지만 지분형 주택에 투자할 목적으로 설립될 펀드는 극히 드물지 않을까 싶다.

얼마 전에 모 은행의 실무자를 만났는데 전국에 미분양 아파트에 투자하는 펀드를 만들어볼까 한다고 농반진반으로 말하는 것을 들었다. 공식적으로 10만 채이니 비공식적으로는 두배 세배의 아파트가 미분양 상태일 것이고 펀드는 현금흐름이 급한 건설사로부터 그 아파트를 헐값에 넘겨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논리였다. 그리고 그렇게 싸게 넘겨 받은 아파트를 임대하였다가 시장상황이 호전되면 되파는 아이템이다. 그러니 생각해보면 이런 점에서 이미 ‘지분형 아파트’는 ‘땡처리 아파트’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 더 싸게 살 수 있고 임대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내가 투자자라 해도 후자가 훨씬 매력적인 제안이다.

[펌]금융의 세계화? 금융 오류의 세계화?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에서 작성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제작한 동영상입니다. 금융자본의 머니게임의 속성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 부작용을 짧은 동영상에서 잘 표현한 동영상입니다. 밑의 링크를 누르시면 관련 보고서가 있고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 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새사연’에서도 적극 권장하듯이 적극적인 퍼나르기와 활용을 바랍니다!!


다음은 원 글에 제가 단 댓글입니다.

참 정성스럽게 만든 동영상 잘 봤습니다. 국제금융의 폰지게임화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지만 갈수록 그 영향력이 증폭되고 있죠. 문제는 그것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고유한 현상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것이 문제일 것 같습니다. 전체적으로 동의합니다만 일부 이의를 제기하자면 ‘금융투기로 인한 피해를 아무 상관이 없는 기업과 노동자에게 전가된다’라고 한 부분이 그 말뜻은 이해되지만 실상은 좀 더 깊이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미래에셋 인사이트 펀드에 1조6천억이 모집되었습니다. 투자내용도 공개되지 않은 펀드에 말이죠. 이는 펀딩이라는 방식으로 금융자본이 기업과 노동자의 돈을 긁어모으고 있고 오늘날 이러한 투자게임에서 자유로운 이들은 그리 많지 않다는 사실이 더욱 비극이라고 생각합니다. 노조에 속한 노동자마저 자신의 돈이 투입되어 있는 기업의 수익극대화,, 심지어 인원감축을 해서라도.. 를 바라는 모순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굴뚝 기업들도 속내는 투자게임이나 부동산 투기에 몰두하고 있고요.

이 모든 것이 자본이 자본을 낳는다는 ‘노동가치설’을 부정하는 속류경제학의 유산이라고 생각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앞사람 돈을 뒷사람 돈으로 틀어막은 들 상품이 생산되지 않으면 과잉유동성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밖에 유발되는 것이 없는데 말이죠. 결국 또 인플레이션은 자산가의 액면가치를 높여서 양극화를 부추기게 되겠지요. 암튼 앞으로도 좋은 자료 계속 부탁드리겠습니다. 🙂

http://play.tagstory.com/player/TS00@V000112752

 

<금융의 세계화, 금융오류의 세계화> 보고서 보러가기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www.epl.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