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보호무역주의

“미국에 좋은 것은 GM에도 좋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는 아직도 유효한 발언일까?

이 생각에 대한 실험을 위해, 무역적자가 1년에 6,000억 달러라고 가정해보자. 만약 모든 기업들이 그들이 초래한 “적자”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한다면, 그리고 그들이 기여한 “흑자”에 대해 세금혜택을 받는다면, 창업가, 기업가, 그리고 제조업자들의 목표와 열정은 국가의 그것과 일치할 것이다.[America’s Fiscal Cliff Can Be a Catalyst for Growth]

미국의 “재정절벽”의 해법에 관한 이 글을 쓴 이들은 다트머쓰의 교수와 전직 관리 컨설턴트다. 미국의 경제계에서 주류라 할만하다. 그런데 그 실효성은 제켜두고라도 흥미롭게도 이들이 제안한 것은 보호무역주의적인 세금이다. 여태 WTO, NAFTA, FTA 등을 통해 주류가 관철시키려 했던 자유로운 무역 및 투자에 대한 원칙과 배치된다.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물리는 대신 수입을 하는 기업 자체에 과세하겠다는 것은 결국 관세와 유사한 효과를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그들의 문제의식에 대해서는 좀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들의 고민은 무역적자가 계속되는 나라에서 세금과 재정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나라살림이 온전히 돌아가지 않는다는 단순한 사실에서 출발하고 있다. 글에서 예로 든 월마트는 엄청난 수익을 올리고 있지만 미국의 무역적자에 악영향을 끼치는 기업이다. 자본의 이익과 나라의 이익이 배치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국민국가와 자본의 이해관계 조정은 현재와 같은 자유무역 시대에 국가가 풀어야 할 큰 과제다.

예전에 GM의 CEO 찰리 윌슨이 “미국에 좋은 것은 GM에도 좋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이 대답은 자신의 국방장관 임명 청문회에서 기업의 이익과 국익이 상충할 때 어떻게 하겠냐는 질문에 대한 오만한 발언이었다. 하지만 그 발언을 할 당시의 기업은 지금의 초국적 기업보다 더 국익과 일치한 것도 사실이다. 이제 구글이나 월마트의 이익이 미국의 이익과 일치한다고 보는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이런 고민을 단순히 보호무역주의라 욕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This is a job for Uncle Sam

비록 자유 시장이 왼쪽 신발과 오른쪽 신발을 얼마나 많이 생산할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좋지만 집단행동의 심리학에서 기인하는 시스템 리스크를 방지할 수는 없다. 이 일은 샘 아저씨가 해야 할 일이다.
Although the free market is very good at deciding how many left and right shoes to produce, it cannot prevent systemic risk that arises from the psychology of herd behaviour. This is a job for Uncle Sam.[출처]

이글을 읽으면서 드는 느낌은 이렇다. 왜 일반적으로 시장참여자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시스템 리스크를 방지하는 엄청난 역할을 수행하는 정부가 신발 생산량을 결정하는 정도의 사소한 역할은 시장보다 더 잘하지 못한다고 여겨질까? 예를 들어 서구의 집값 폭락은 신발 생산량 결정에 뛰어난 능력을 보였던 시장이 집을 과잉 공급하였기 때문에, 그리고 이 과잉 공급된 집들을 팔기 위해 대부를 늘렸기 때문에 발생된 일이다. 한국 시장 역시 과잉 공급된 주택이 대규모 미분양 사태를 유발하면서 국가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즉 국가주도의 공급 시스템이 열등하였다면 시장의 그것도 지금 상태로는 그리 낙관적일 수 없다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여태의 시장의 역사는 사실 그러한 과잉 공급으로 인해 거품이 터지면서 그것을 수습하는 수축의 시기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왔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는 수요와 공급이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결정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지만 사실 현실은 수요에 대한 공급이 그 결정지점의 위와 아래로 급격하게 요동쳤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한 변동성은 주기적인 파괴적 경기후퇴를 통해 완화되곤 했다. 좋게 말해서 시장의 자율조정이고 나쁘게 말해서 시장의 무정부성이다.

또 하나 언급할 것은 그나마 우리가 시장에서 공급되는 것들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아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제 엄밀하게 말해 시장에서 공급되는 중 영향력이 큰 상품의 상당수는 그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와 판단을 타인에게 위탁하고 있다는 사실을 상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번 사태의 또 하나의 공모자 신용평가기관이 바로 그들이다. 모기지 채권이라는 시장영향이 엄청난 상품의 품질을 거짓으로 보증한 이들이 바로 그들이다.

결국 앞으로도 이러한 상태의 시장경제가 유지되는 한에는 과잉 공급으로 인한 가격폭락, 공급 축소로 인한 가격폭등, 시장참여자의 그릇된 행동으로 인한 정보오류 또는 더 다양한 변수가 결합된 시장의 변동이 계속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변동으로 인한 영향은 이번 사태에서도 보듯이 금융의 세계화와 증권화 경향으로 말미암아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전 산업적으로 폭넓고 무차별적일 개연성이 크다. 금융시장은 그러한 여러 변동성을 파생상품으로 해소하려 노력해보았지만 이번에 별무소용임이 어느 정도 증명되었다.

지금 각국 정부가 엄청난 자금을 풀어대고 금리를 인하하면서 케인즈의 부활이니 New new deal 이니 하며 포장하고 있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그것은 ‘신종 보호무역주의’이고 ‘서브프라임 거품’을 ‘재정 거품’으로 대체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현재 각국의 경제정책은 모순의 근본적인 치유와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요는 전 세계의 소비자, 다른 말로 노동자들이 막대한 부채에 의해서가 아닌 실질적인 구매력을 통해 소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하는 것이 관건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