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Federal reserve

Fed의 무제한 양적완화 도박은 성공할 것인가?

지난 3월 연방준비제도의 의장 제롬 파월은 한 TV인터뷰에 출연했다. 질문자는 파월 의장에게 “Fed가 경제에 투입할 수 있는 화폐량에 제한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했고, 파월 의장은 “우리는 계속 빚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의 주안점은 가계와 기업에게 경제에서의 신용의 흐름을 지원하기 위해서다”라고 발언하여 사실상 그런 제한은 없음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3월 23일 긴급성명을 통해 사실상의 무제한적 양적완화를 선언한 이후 최근까지 파월 의장은 자신의 인터뷰 발언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Fed의 자산을 거침없이 늘려 마침내 최근 7조 달러(!)까지 자산이 늘어났다.

이는 전년도 자산 대비 약 70% 증가한 것으로 아직까지는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의 151.4%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현재 반기가 채 지나지 않았음을 감안하면 연 증가세는 2008년의 추세를 따라잡을지도 모를 일이다. 혹자는 자산이 10조 달러까지 늘어날 수도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한편, 단순히 Fed 자체의 자산변동에서만 이례적인 것이 아니다. 주요 중앙은행의 행보와 비교 해봐도 Fed의 행보는 압도적이다. 팬데믹은 전 세계적인 재앙으로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양적완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인 만큼 다른 중앙은행의 자산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감히 Fed의 행보와 비할 바는 아니다.1

개인적으로는 제롬 파월의 그동안의 행보를 볼 때 이번 행보는 매우 이례적이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사태 전까지만 해도 파월은 그를 뽑아준 트럼프의 금리인하 요구 등 월권행위와 온갖 인신공격에도 꿋꿋이 저항해왔다. 이런 희한한 정황 덕택에 나름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지키고 있다며 초당적으로 칭찬을 들어온 터였다. 그런데, 물론 트럼프 좋으라고 한 일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파월은 팬데믹 사태가 닥치자 트럼프가 상찬을 늘어놓을 만큼 깜짝 놀랄 조치를 단행하였다. 나름 보수적 견지를 유지해온 그이기에 이번 양적완화가 유난히 획기적인 조치임은 틀림없다.

국내 증권사의 한 애널리스트는 파월의 전향적인 조치의 배경으로 주택저당증권(MBS) 시장의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Fed의 우려를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냉각되며 MBS 펀드에서 환매 요청이 급증해 MBS 매도가 이어졌다”고 지적하였다. 예전 글에서도 지적한 바 있는데 MBS의 직접매입은 금융위기를 계기로 Fed의 주업무가 된 분야다. 당시의 부동산금융시장의 붕괴로 사실상 미국의 부동산증권 시장이 국유화된 상황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며 팬데믹으로 말미암아 다시 그 시장이 요동치고 있기에 Fed는 신속하게 개입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패니메와 프레디맥은 2008년 당시 미국 내의 12조 달러의 모기지 시장에서 반절에 육박하는 금액을 보유하거나 보증하고 있었다. 2008년 9월 7일 연방주택금융청은 이들 회사의 실질적인 국유화를 선언했다. Fed의 MBS구입 프로그램은 이러한 배경 하에 시작되었다. 망할 회사에 정부가 주식을 취득하여 국유화시키고 그 회사의 대표적인 상품을 Fed가 구입해주는, 사상 초유의 업태가 시작된 것이다.[우리가 “자본주의”라 부르고 있는 어떤 경제 체제]

미국 채권시장 내 MBS 잔액은 약 9조7000억달러로 지난 2018년 기준 미 채권시장의 22%를 차지하며 전 세계 채권 시장에서 미국채 다음으로 중요한 채권이다. 이 채권을 Fed가 매입함으로써 미국의 집값은 안정을 찾게 되었다. 현재 Fed가 들고 있는 MBS 잔액은 전체 잔액의 1/3 정도로 알려져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채권을 중앙은행이 그렇게나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대단히 비정상적인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그간 서서히 비중을 줄여오던 Fed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시 대규모의 채권매입에 나서게 된 것이다. 늪에서 서서히 발을 빼왔던 Fed가 다시 발을 푹 집어넣은 셈이다.

2020년 5월 27일 현재 Fed의 MBS 매입현황은 1조8천5백만 달러로 연초의 1조4천만 달러 대비 무려 32% 증가한 상황이다. 즉, 전임자들이 언젠가는 청산하겠다고 했던 MBS 포지션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었고, 팬데믹이 도래하자 그 자산은 일시에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 것이다. 이번 위기의 심각성은 어쩌면 이전 금융위기에서 입은 깊은 상처가 치유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더욱 깊은 상처를 입게 된 상황이라 할 것이다. 미국에서 모기지를 갚아나가야 할 노동자들이 또 다시 대규모 실업으로 내몰리면 Fed가 사들인 증권은 다시 부실채권이 되는 악순환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한 트위터 계정에서 이번 양적완화와 지난 금융위기의 양적완화에 관한 차이점을 분석한 흥미로운 트윗을 올렸는데, 이 분석에 따르면 이번에는 지난번과 달리 미재무부 채권 포지션이 엄청나게 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재무부가 이 채권을 여러 프로그램에 사용하게 되면 시중에 통화량이 증가하여 경기부양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지난 3월에는 이런 부양책이 당파적인 입장차이로 미의회에서 부결된 바 있다. 그리고 실제로 그 엄청난 돈이 “재난자본주의”를 이용하려는 자본가를 위한 잔칫상에만 쓰인다면, Fed의 유례없는 자산과 자본주의의 모순은 청산할 길이 없을 것이다.2

한편 파월은 Fed의 양적완화 조치가 불평등을 심화할 것이라는 주장에 반박하며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이 대량실업을 방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실상 그다지 설득력있는 사례도 아니고 결국 Fed가 직접 모기지 채무자의 부실채권을 매입하는 프로그램이라도 만들지 않는 한에는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는 조치는 행정부와 의회의 몫일 것이다. 현재 미네소타 살인사건으로 말미암은 인종폭동까지 겹체 최악의 상황으로 몰린 상황인지라 기득권층이 혁명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에는 난국타개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 불행히도 트럼프는 그 와중에 발포 운운 트윗, 골프 라운딩, 중국 때리기에나 골몰하고 있는 상황이다.

2009년 가장 장사를 잘한 은행

작년 한해 미국에서 가장 돈을 많이 번 은행은 어딜까? 골드만삭스? 제이피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정답은 연방은행이다. 워싱턴포스트의 집계에 따르면 연방은행은 위 세 기관의 이익을 합친 것보다도 많은 450억 불의 이익을 거두었다 한다. 연방은행 자체로도 사상 최고의 이익이다. 워싱턴포스트는 이로써 “최소한 현재까지는 납세자들의 돈을 지키는데(at least so far, in protecting taxpayers)” 성공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렇다면 연방은행은 어떻게 돈을 벌었을까?

더 많은 돈벌이의 상당부분은 경제전반의 이자율을 낮추고 성장을 도모하려는 것에 목적을 둔 Fed의 공격적인 채권매수 프로그램 덕분이다. 2009년 말까지 Fed는 미국정부의 부채와 모기지 관련 채권으로 1조8천억 달러를 소유하고 있었는데 이는 1년 전의 4천9백7십억 달러에서 치솟은 금액이다. 이러한 투자에 대한 이자소득이 Fed의 이익의 주요원천이다. — 비록 리스크와 연계되어 소득이 따라왔지만 중앙은행은 만일 통화 공급을 줄이기 위해 그들의 채권을 나중에 팔게 되면 돈을 잃을 수도 있다.

Much of the higher earnings came about because of the Fed’s aggressive program of buying bonds, aiming to push interest rates down across the economy and thus stimulate growth. By the end of 2009, the Fed owned $1.8 trillion in U.S. government debt and mortgage-related securities, up from $497 billion a year earlier. The interest income on those investments was a major source of Fed profits — though that income comes with risks, as the central bank could lose money if it later sells those securities to reduce the money supply.[원문보기]

즉 연방은행이 돈을 많이 번 이유는 이들이 전통적인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리스크가 크고 그에 상응하여 기대수익이 큰 채권들 – 특히 모기지 연계 채권을 – 직접 매입하였기 때문이다. 즉 전통적인 최종대부자에서 – 그럼으로써 상업/투자은행이 돈을 벌 수 있게 하는 기능에서 – 몸소 최종투자자로 나섰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수익률은 운용자산을 기준으로 보면 450/18000=2.5%로 일반은행의 순이자마진 추이와 비교해보자면 크게 나쁘지 않은 수치로 보인다.

문제점을 살펴보자면 – 돈을 번 것이 문제라기보다는 돈을 번 원인이 문제지만 – 첫째, 그들이 상업은행의 흉내를 내서 돈을 버는 것은 전통적인 Fed의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그들은 지금 언제 부실화될지 모르는 채권들을 손에 들고 돈을 벌었다. 일반은행들도 비록 부실자산으로 염려되는 여신일지라도 작년 한해 이자율 상향조정을 통해 많은 돈을 벌었다. 워싱턴포스트의 지적대로 연방은행이 해당 채권들을 팔려고 할 때 자본이득(capital gain)을 취하기는커녕 시장에서 소화가 될지도 모르는 채권이 상당수라는 것이 문제다. 결국 미래의 예상손실을 현재 따먹고 있는 것일 뿐일지도 모른다.

둘째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수익이 별로 많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연방은행의 자산은 금융위기 이전까지는 1조 달러 미만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왔었다. 워싱턴포스트의 그래프를 보면 이 와중에도 2005년 이래 가장 낮아도 210억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였다.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는 미재무부 채권을 들고서 말이다. 그런데 이제 자산이 2배가량 늘어났는데 수익도 역시 2배가량 늘어났을 뿐이다. 세계에서 가장 불안한 모기지 채권을 들고서 말이다.(주1) 만약 연방은행 내부적으로 위험조정수익을 따로 염두에 둔다면 그들의 성적은 별로 화려하지 않을 것이다.

출처 : research.stlouisfed.org

현대 자본주의 시스템 하에서의 대의민주주의의 발전은 “자본소유 평등주의”와 궤를 같이 했다 여겨도 무방하다. 20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인민은 자산, 특히 자기 집을 소유하지 못하였다. 영미권 공히 자가 소유율은 기껏해야 30~40%였다. 국가는 이것이 자본주의에 해롭다고 보고 집 소유를 장려하였다. 이를 촉진하기 위해 미국의 경우 대공황 와중에 Fannie Mae를 설립하여 주택매입을 위한 대출을 지원한 것이다. 국유화를 통해 소유의 모순을 해결하려 한 현실 사회주의 블록과 반대방향의 노선이었다.

그 결과는 – 적어도 위기 이전까지는 – 성공적이었다. 인민들의 주거안정성은 빠르게 개선되었고(물론 거의 백인 노동자에게 국한되었지만), 은행들은 새로운 돈벌이 수단을 찾게 되었고(자신의 집이라 생각하지만 실은 은행에 집세를 내는 임대주택), 계급갈등은 줄어들고 유권자는 보수화되어 양당제의 보수정치를 강화시킬 수 있었다. 연방은행은 예금보험공사 등과 함께 이러한 선순환(?)의 경제순환을 유지시켜주는 핏줄의 역할을 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연방은행은 드디어 핏줄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피를 뿜어내는 심장을 자처하고 나선 것이다.

연방은행의 수익이 크다는 사실은 좋은 일이다. 그만큼 투입되어 앞날을 기약할 수 없었던 세금을 회수한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앞서도 말했듯이 이 수익창출의 기반은 향후 지속가능성 여부가 불투명한 빚을 끼고 집을 사는 “부채 평등주의”의 온존을 위한 미봉책이라는 것이 문제다. 이 과정에서 美연방은행의 재무제표는 후진국 중앙은행의 재무제표나 다름없이 온갖 잡다한 악성자산으로 메워져 버렸다. 더 나아가, 중앙은행이 모기지 채권 등 기타 소비 관련 채권을 쟁여놓고 있다면 과거 소련과 특별히 다른 것도 없지 않을까? 유료라는 점?

(주1) 부동산 조사업체 리얼티트랙은 올해 300만~350만 건의 주택 압류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발생한 주택압류는 282만 건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