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행복

초일류 직장인의 자살소식을 접하고

이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엘리트코스인 서울대 전자공학과, 미국 스탠퍼드대 전자공학 박사를 따고 일본 NTT에 근무하다가 1992년 삼성전자에 합류한 인재다. 삼성전자에 입사한 이 부사장은 주로 반도체 D램과 플래시메모리 분야에서 일 해왔으며, 2006년에는 그룹 내 최고의 엔지니어게 주어지는 ‘삼성펠로우’에 선정되기도 했다.[S급 인재 삼성전자 부사장, 업무과중에 투신자살]

직장인이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을 갖춘 “S급 인재”가 운명을 달리 하셨다. 경찰은 “업무가 과중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보아 이 씨가 투신자살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번 ‘우울한 슈퍼리치’라는 글에서도 적은 바 있지만 사회적 경제적 성공과 ‘행복’이 반드시 함께 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다.

언젠가 엄청난 돈을 버는 헤지펀드 투자 매니저에 관한 인터뷰를 읽은 적이 있다. 단위가 거의 천만 달러 단위였다. 그런 그는 인터뷰 와중에도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업무처리를 하느라 제대로 인터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바빴다. 그래서 멍청한 생각을 했다. ‘노동시간을 1/10로 줄이고 돈을 1/10만 벌어도 남들은 상상할 수도 없는 금액 아닌가?’ 하는…

물론 바보 같은 소리다. 월스트리트 금융업과 같이 전 세계의 금융시장이 실시간으로 전쟁터인 상황에서 그 친구는 24시간 내내 – 잠자는 시간만 빼고 – 긴장을 늦출 수 없을 것이다. 잠깐의 방심은 소득의 일부가 아니라 전액을 날릴 수도 있는 상황이 도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금융업 같지는 않겠지만 삼성전자의 저 부사장님도 순간의 과로나 좌절감이 삶을 빼앗아간 경우일 것 같다.

공장감독관들은 현재의 10시간 勞動法이 또한 자본의 단순한 화신으로서의 자본가에 내재하는 난폭성으로부터 자본가까지도 어느 정도 해방시켜 그에게 약간의 “敎養”을 위한 시간을 주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전에는 공장주는 돈벌이 이외의 다른 일을 위한 어떠한 시간도 가져본 적이 없고, 노동자는 노동 이외의 다른 일을 위한 어떠한 시간을 가져 본적이 없다.”[칼 마르크스 지음, 김수행 옮김, 자본론I[上], 비봉출판사, 1994년, p384]

노동해방은 동시에 자본해방이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행복비결

올바른 균형을 이루는 것이 이 나라(즉 덴마크)를 다른 나라들과 가장 다른 위치에 놓게 하는 것이라고 비지트덴마크의 Kiilerich가 설명했다. 가장 행복한 나라에 관한 두 연구의 리스트에 모두 상위에 올라있는 대부분의 북유럽 사회에서의 행복은 경제성장과 사회 프로그램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조화를 조건으로 하고 있다. 덴마크의 접근은 높은 세금과 부의 공격적인 재분배에 – 많은 자유시장 지향의 미국인에게는 저주이겠지만 –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헬쓰케어, 퇴직연금, 그리고 양질의 공교육과 같은 광범위한 공공서비스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두드러지게도 이 나라는 이 모델을 압도적인 경제성장이나 성공에 대한 인센티브 없이도 유지시키고 있다. “덴마크는 하나의 머리와 하나의 가슴을 가지고 있습니다.”(주1) Kiilerich 의 이야기다.

덴마크 시민들을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보호해주는 강력한 사회안전망은 외국인에게도 열려 있다. 미국 이민자인 55세의 Kate Vial는 30년 이상을 덴마크에서 거주하며 일하고 있는데 수년째 미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사양하고 있다. 그 대신 덴마크에서 세 아이들을 키우는 것을 선택하였다. Vial은 그녀가 결코 부자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가족과, 여행할 수 있는 능력, 무엇보다도 심플한 경제적 안전을 소중히 여긴다고 말한다. “나는 누구나 자전거를 타고 온종일 돌아다니고 살아남기 위해 거창한 삶을 살아야 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의 심플한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 것뿐이에요.”라고 이야기했다.

Achieving the right balance is probably what most sets the country apart, suggests VisitDenmark’s Kiilerich. Happiness in most Nordic societies, all of which ranked high on both studies’ lists of happiest countries, hinges on an ineffable combination of economic strength and social programs. Denmark’s approach relies on high taxes and aggressive redistribution of wealth – anathema to many free-market Americans – which results in a broad range of social services like health care, retirement pensions, and quality public schools. Yet remarkably, the country has managed to make this model work without crushing economic growth or incentives to succeed. “Denmark has a head and a heart,” Kiilerich says.

The strong social safety nets that cradle Danish citizens from birth until death are welcoming to foreigners, too. Kate Vial, a 55-year-old American expat who has lived and worked in Denmark for more than 30 years, passed up opportunities over the years to return to the U.S., choosing instead to raise her three children in Denmark. Vial knows she will never be rich, but says that she valued family, the ability to travel, and simple economic security above all else. “I just chose a simpler lifestyle, one where I could ride my bike all over and where I don’t have to make a great living to survive,” she says.

[There’s Something About Denmark, Business Week, August 20, 2008]

조중동이나 경제신문은 기사거리 없으면 이런 기사 좀 인용보도도 하고 그러세요.

(주1) 예전에 김종필 씨가 20대에 좌익이 아니면 가슴이 없는 것이고 40대에 우익이 아니면 머리가 없는 것이라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Kiilerich의 이 말은 덴마크가 두 관점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있다는 말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