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지 말아야 할 표현, “천민자본주의”

어떤 유명한 블로그에 들렀다가 대한민국의 ‘천민자본주의’를 비판하는 글을 만났다. 이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은 반체제 혹은 반정부적인 비판자들이 통상 자본주의 발달과정에서 볼 수 있었던 성장일변도의 경제정책, 승자독식과 금전만능의 사회체제 등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기 위해  애용하는 표현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표현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이유는 간단하다. 자본주의의 천박성을 비판하기 위해 쓰는 이 표현이 ‘천민’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고 그 단어가 명백히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면서, 자본주의의 천박성을 비판하는 이들이 현대 자본주의 시대까지 온존하고 있는 계급차별적인 선입견을 인정하고 있는 모순에 빠지기 때문이다.

또 하나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을 쓰지 않아야 하는 이유는 첫째 이유와 연결선상이기도 하거니와 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될 수도 있는데 요즘 이 표현을 쓰는 사람의 취지와 원래 이 말을 처음 사용한 막스 베버의 취지가 다르다는 것 때문이다. 천민자본주의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자.

賤民資本主義[독, Pariakapitalismus]
(상략)이와 같이 베버는 근대 이전의 자본주의를 근대자본주의와 엄격히 구분하여 비합리적 자본주의, 정치기생적 자본주의 등으로 불렀는데 천민자본주의도 이러한 표현의 하나이다. 베버가 이 기묘한 표현을 쓰면서 염두에 두었던 것은 중세에 ‘천민민족 Pariavolk’으로 불리며 주로 상업, 금융업에 종사했던 유태인이었지만, 보통은 근대 이전의 낡은 자본주의의 특징을 가리키는 말로서 사용되고 있다. ‘천민’이라는 표현이 붙은 것은 중세의 상인금융업자가 일반적으로 특수한 신분을 형성했으며 그 직업이 종교적, 도덕적으로 천하게 여겨졌었기 때문이다. 이 용어는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어로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으며 특히 자본주의를 시대를 초월한 현상으로 보는 입장에 대해서는 많은 비판이 가해지고 있다.(경제학 사전, 풀빛편집부 편, 조용범/박현채 감수)

막스 베버가 생각하는 자본주의에서의 직업윤리는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에서 찾은 것으로 자기 직업을 천직으로 생각하고 개인의 쾌락이나 영예를 희생시키면서 엄한 규율과 조직 밑에 직책에 헌신하는 금욕주의적인 직업윤리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금전욕에서 동기를 찾는 전근대적인 자본주의, 그리고 이러한 모습을 상징하는 유태인을 천민이라고 간주하였던 것이다.

Max Weber 1894.jpg
Max Weber 1894” by This file is lacking author information. – This file is lacking source information.
Please edit this file’s description and provide a source.. Licensed under Public domain via Wikimedia Commons.

한편 베버는 프로테스탄트들의 금욕적 절약에 의한 투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전형적인 청교도들은 많이 벌고 적게 썼다. 그리고 그의 소득을, 절약하고자 하는 금욕주의적 열정으로부터, 매우 합리적인 자본주의적 사업에 자본으로서 재투자하였다.[The typical Puritan earned plenty, spent little, and reinvested his income as capital in rational capitalist enterprise out of an asceticist compulsion to save.]”

요컨대 베버의 사상에서 자본주의의 이해집단은 ‘돈벌이에만 집착하는 유태인 금융자본’와 ‘금욕적인 기독교적 윤리를 통해 자본주의를 발전시켜나가는 산업자본’이 대결하고 있고 후자를 자본주의를 발전시키는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으로 비추어 보면 많은 사람들이 ‘천민자본주의’를 원작자의 의도에 맞지 않게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우리는 그 어원을 살펴봄으로써 ‘천민자본주의’라는 번역이 잘못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유태인들로 대표되는 중세의 금융업자들은 신분의 높고 낮음에 개의치 않고 금융업을 통한 치부를 몰두했던 이들을 가리키는 것이다.(주1) 결국 그들은 자산가였고 그들은 군주의 돈줄이었다. 그런데 ‘천민자본주의’에서의 천민은 말 그대로 “고려 ·조선 시대 양천제(良賤制)라는 신분관념하에서 양인(良人)과 대비되는 하급신분을 가리키는 말”로 이들은 유태인 금융업자와 닮은 구석이 없는 피착취 계급이었을 뿐이다.

결국 우리가 현대 물질문명의 부정적인 측면을 비판함에 있어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을 쓰는 순간, 그것은 원작자 베버의 의도에도 맞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그가 저지르고 있는 인종차별 혹은 계급차별에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동승하는 모순에 빠지게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주1) 그러므로 사실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의 샤일록을 우리는 고리대금업자로 알고 있지만 그는 그저 금융업자였을 뿐이고 기독교 사회는 이자를 받는 행위 자체를 죄악시, 금기시하여 왔다. 물론 그렇다고 수도원이나 기독교 성직자가 그런 짓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들은 가장 적극적인 금융업자였다.

41 thoughts on “쓰지 말아야 할 표현, “천민자본주의”

  1. 엔디

    유태인들의 이자에 대한 금지는 엄격합니다. 모세의 율법에 이자를 받지 말라고 하는 구절(출22:25)이 있죠. 또, 페르시아에 잡혀 있던 시절 이자를 받았던 적이 있었는데 느헤미야가 이를 준엄하게 꾸짖는 장면이 나옵니다(느5:10). 다만 유태인끼리가 아니면 취리가 가능했습니다(신23:20). 그러므로 샤일록은 비유태인에게만 돈을 꾸어주었겠죠. 그런데 기독교 사회에서 취리를 금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습니다…
    한편, 한국적 상황에서도 사농공상의 패러다임 때문에 상업을 천시했던 전례가 있어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이 낯설지 않았던 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저는 그 말이 옳지 않다고 봅니다. 기본적으로 자본주의라는 체제가 다름아닌 물욕에 기반한 것이 아니던가요…

    Reply
    1. foog

      모세는 유대교뿐만 아니라 기독교에서도 선지자로 나오니 당연히 기독교 교리 역시 이자수취를 금기시하겠지요. 어쨌든 중세교회뿐만 아니라 국가마저도 법으로 이자수취를 금지하였습니다. 이슬람 역시 같은 상황이었고 이슬람은 오히려 엄격한 율법적용으로 말미암아 현대에 이르러서까지도 이자를 금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이슬람론은 통상 이자가 없는 금융을 말하죠. 오늘날 이슬람의 국부펀드는 그래서 그들이 수취하는 이자를 교묘한 다른용어로 대치하기도 합니다. 여하튼 이 주제는 따로 글을 써도 재밌겠네요. 🙂

      어쨌든 자본주의 자체가 물질적 욕망에 기인하는 것이 본질이니 만큼 개인적으로는 천민자본주의에서 천민을 굳이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한다면 동어반복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Reply
    1. foog

      댕글댕글파파님도 다른 댓글에서 같은 지적을 해주셨는데 오류로군요. 살펴봐야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Reply
  2. 김태현

    계급차별적인 선입견이 만연하지 않나요? 이미 존재하는 것을 애써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도 이상한 것 같습니다.

    Reply
    1. foog

      말씀의 취지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만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여하튼 자본주의 비판론자들이 그 표현을 쓸 것 같으면 다른 표현을 생각해내는 편이 낫다는 것입니다. 건강한 자본주의가 가능하다고 믿는 보수주의자들이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크게 모순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Reply
  3. 다시만난날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베버가 의미한 것과는 다르게 쓰는데다가 베버가 그런 말을 했는지도 잘 모르는 듯 한데요. 되려 뜻은 잘 통하는 듯 싶습니다. 뭐 자본주의 체제가 원래부터 천민적이긴 하지만, 자본주의의 담지자들이 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 현대에는 ‘천민’을 붙여주는 게 더 잘 표현하는 게 아닐까 싶네요.

    Reply
    1. foog

      말씀하신대로 그 표현을 쓰면 요즘 사람들은 대충 그가 말하고자 하는 의미로 받아들이겠지요. 귤이 탱자로 변하였고 다들 그게 탱자인지 아는 상황이라고 할까요? 🙂

      스피노자가 이야기했다고 전해지는 ‘내일 지구가 멸망하더라도 나는 오늘 사과나무를 심겠다’가 나약한 인간은 지구멸망 과정에서 할 일이 없다는 일종의 염세론에 가까운 발언인데 오늘 날 사람들은 그것을 조그만 희망이라도 가꾸겠다는 덕담으로 받아들이는 것처럼 말이죠. 🙂

      Reply
  4. 신해수

    천민자본주의는 말씀하신 베버의 용어도 있지만, 한국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말이기도 합니다. 자본주의 자체를 비판하는 용어는 아니고, 잘못하면 천민자본주의로 빠질 수 있다정도로 사용되지요. 자본주의의 천박성이 아니라, 천박한 자본주의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물론 고등학교 교과서 자체가 잘못 되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이미 국내에서는 그런 의미로 고착되어버렸기 때문에, 굳이 잘못된 용어 사용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부정적인 형태의 자본주의를 하필이면 ‘천민’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점에는 동의합니다. 미처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좀 더 좋은 표현을 찾으면 좋겠네요.

    Reply
    1. foog

      제가 그 교과서를 보지 못했지만 그 교과서의 표현의 어원도 아마 막스 베버가 아닐까요? 제가 알고 있기로는 여하튼 막스 베버가 처음 쓴 표현이니까요.

      어느 정도 사람들에게 뜻이 통해버리게 된 표현이라도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면 바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도 gender편향적인 표현을 다 바꾸고 있지요. policeman 을 police officer로 바꾸는 것처럼 말이죠.

      Reply
  5. 미투

    천민 자본주의의 어원에 대해 많이 궁금했었는데 잘 알게 되었어요
    쓸데 쓰더라도 알고나 쓰자 이상입니다.

    Reply
  6. beagle2

    이게 정치적 공정성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씀하신대로 자본주의의 비판자라면 천민 자본주의라는 말을 쓰지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천민 자본주의’ 운운하는 순간 있지도 않은 ‘고상하고 귀한 자본주의’를 따로 성립하게 되니까요.

    (이미 읽어보셨을 듯 하지만 리오 휴버먼의 ‘자본주의 역사 바로 알기’엔 이자를 금했던 중세 유럽의 변화상에 대한 깔끔한 설명이 실려있죠.)

    (근데 저도 불여우에서 글을 입력했는데 저는 잘 되네요.)

    Reply
    1. foog

      – 제가 말하고자 하는 취지를 정확히 캐치하셨군요! 🙂
      – 리오휴버만의 나름팬인데 못들어본 책이라 검색해봤더니 원제가 Man’s Worldly Goods.. 바로 제가 ‘경제사관의 발전구조’라는 제목으로 가지고 있는 책이로군요. 제 블로그에서 리오휴버만이 언급되니 웬지 기분이 좋은데요~~
      – 파폭에서 되다가 안되다가.. 아무래도 스킨에 뭔가 문제가 있긴 있나 봅니다.

      Reply
  7. 빨간여우

    우리들이 미처 모르고 쉽게 얘기하는 천민자본주의에 이런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었군요. 계급을 인정하진 않으려 하지만 이미 인정하고 무시한다는것과 같은 말이겠네요. 그리고 언젠가 유태인과 그들의 돈에 대한 의미를 얘기한 적이 있는데요. 그들의 돈은 신앙과는 아무 상관이 없이 그저 나라없이 떠도는 그들이 마지막으로 가질 수있는 기적의 끈과 같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애매모호 하기만한 그들의 자본에 대한 집착은 계급에 상관없이 자신들을 보호하는 마지막 수단이었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Reply
    1. foog

      유럽에서는 유태인뿐만 아니라 나라없는 몇몇 민족들이 명예와 권력을 포기하는 대신에 이렇게 돈장사로 자신들의 입지를 확보하였다고 하더군요. 여담으로 그러한 견지에서 극우적인 음모론에서는 오늘날의 금융자본주의화 현상을 바로 전 세계가 유태인의 습성을 본받아 물신화되는 과정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

      Reply
    1. foog

      스피노자 이야기는 제가 알고 있는 한에는 그렇습니다. 저 이야길 스피노자가 한 이야기가 아니라는 설도 있느니 만큼 한번 뒤져봐서 포스팅해도 재밌을 소재같네요.

      Reply
  8. 민노씨

    의미있는 지적이네요. : )

    추.
    그런데 본문 첫 줄에 ‘유명한 블로그’는 어디인가요?
    궁금합니다.
    링크라도 살짝 걸어주시지..

    Reply
    1. foog

      그 블로거의 잘못이라기보다는 그냥 잘못된 관행 비슷한 것이기에 일부러 블로그 이름을 밝힐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기에 밝히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거기 민노씨 댓글도 보이더군요. ^^

      힌트를 드리자면 주소가 닷컴으로 끝납니다.. –;

      Reply
  9. yoda

    재미있는 글이군요.

    모든 자본주의는 강약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천민자본주의’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막스 베버의 원래 의도와는 달리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개념이 자본주의의 본질이라고 생각됩니다.

    Reply
    1. foog

      여하튼 천민자본주의라는 안 좋은 표현을 대체할만한 다른 표현을 찾아야겠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Reply
  10. 그리스인마틴

    아.. 저는 그냥 이말의 의미보다는 껄끄러운 어감이 싫었는데
    좋은 지적이시네요.
    올때마다 여러가지를 배우고 가네요.
    감사합니다.

    Reply
  11. 민노씨

    매우 의미있는 지적임에 분명하지만… ^ ^
    소박한 독자이자, 또 foog 블로그의 나름 애독자의 입장에서 먼저 댓글에서 미처 남기지 못했던 말씀을 올리자면….(괜한 짓 아닌가 싶어서.. 그랬는데 말이죠)

    댓글창을 통해 말씀해주신 바의 어감이나 강도(?), 그러니 ‘권유’ 혹은 ‘설득’의 수사들이 글의 메시지와 좀더 잘 어울리는 것이 아니었나 싶은 생각도 없지 않습니다.

    베버의 인용은 매우 유효하고, 또 독자들의 교양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권위처럼 어떤 ‘생명’과 ‘진화'(혹은 그 반대의 의미라고 할지라도)을 갖는 언어적 사용 습성을 억압하거나, 혹은 너무 강한 어조로 ‘계몽’하려는 느낌도 살짝 느껴져서요.. ^ ^;

    추.
    말씀하신 블로그를 드디어(씩은 아니고, 구글링해보니 1분이면 알겠더만요.)찾았다는..
    기쁜(?) 소식을 전하러 왔다가… 겸사 겸사.. ^ ^

    Reply
    1. foog

      저도 아닌게 아니라 좀 세다 싶더군요. 그런데 X개도 자기 동네에선 50점 먹고 들어가는지라 그냥 세게 써봤습니다. 🙂 언제 한번 쓴소리 하고 싶던 소재였거든요.

      Reply
  12. Pingback: 중앙은행의 독립은 “신자유주의적”인가? | foog

  13. Pingback: foog.com » “헤지펀드의 권리는 人權이다”

  14. yesman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이 자본주의 자체를 비판하기 위해 쓰여진 표현이라는 소리는 오늘 처음 듣네요.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는 수많은 글들을 보시다보니 뭔가 생각에 착오가 있으셨던 모양입니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은 극심한 배금주의를 비판함에 근간을 두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덧붙이자면, 용어를 그 당시에 해석되었던 부분으로만 이해하려고 하면 곤란합니다. 단어나 기호의 모양은 변하지 않지만, 그 의미나 쓰임은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하기 때문에 그것을 인정하지 않고 무시하려 든다면 안되겠지요.

    Reply
  15. sticky Post author

    제가 본문에 ” ‘천민자본주의’라는 표현은 반체제 혹은 반정부적인 비판자들이 통상 자본주의 발달과정에서 볼 수 있었던 성장일변도의 경제정책, 승자독식과 금전만능의 사회체제 등의 어두운 면을 비판하기 위해 애용하는 표현이다”라고 쓴 것은 yesman님이 말씀하시는 뉘앙스와 별로 다르지 않은데요?

    Reply
  16. Saaramiya Lee

    애초에 태어날때 가졌던 의미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말이 세상에 얼마나 될까요… 세월이 흐르면 살아있는 생물처럼 시대상황에 따라 변하는것인데 현재 어떤 의미를 갖느냐가 관건이지요…

    Reply
  17. dustabit

    여러가지 깊은 고민의 글을 잘 읽어보았습니다. 많은 배경지식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언어가 사회적 의미를 갖고 변화를 하기 때문에, 지금 사용되는 이 말의 뜻은 예전과 다르고,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천민자본주의라는 것이 ‘자본주의룰 추구하면 옛날의 노비나 못배운사람과 같은 천한사람이 된다’라는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가장 우선시하면 가치관이 천박해진다’ 정도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굳이 사용하지 말아야할 것이라고 할 것도 아닌 것 같습니다.

    Reply
  18. 박준철

    예수님이 하신 말씀중에 달란트 이야기가 있습니다. 종 3명에게 각각 10달란트 5달란트 1달란트를 주고 시간이 지나 그걸 받으러 왔을 때, 1달란트를 쥐어준 종은 그것으로 어떤 이윤행위도 하지 않고 그져 땅 속에 꼭꼭 묻어두고 예수님이 돌아오자 그냥 1달라 그대로 돌려주기에 예수님께서는 나는 이자라도 취해야 겠다 라고 하시며 화내셨습니다. 신약도 읽어보지 않고 금리 취하는 것을 금지했다는 식의 종교의 이중성을 비판하는 것은 우매해 보이는 군요. 그리고 언어라는 것은 살아있는 것입니다. 고지식하게 틀에 박힌 것이 아닙니다. 대중이 쓰는 표현이 곧 그 의미가 되어버리는 것입니다. 천민자본주의의 유래와 그 어원이 막스베버 학자로 부터 나온 것이지만 오늘날에 우리가 이 단어를 쓰는 의미는 그 유래와는 다르게 영리를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현시대의 잘못된 자본주의를 낮추어 보는 의미인 천민이라는 표현을 빌려쓴 표현입니다. 다시 말하지만, 언어라는 것은 살아있는 것이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그 표현과 의미도 달라지고, 시대를 반영합니다. 언어적 지식이 부족하십니다.

    Reply
  19. 박준철

    잘못된 자본주의라 함은, 자본주의의 기초가 되는 저서인 에덤스미스의 국부론에서 기인합니다. 그의 저서에서 단 한 번 나오는 보이지 않는 손은 유명하지요. 그것은 자본주의의 자기통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국부론이 나오기 이전에 도덕감정론이라는 그의 저서가 있습니다. 그것은 인간의 공감능력을 말하고 있습니다, 자기통제가 되는 자본주의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공감능력 즉, 인간성이 밑받침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시대는 그러한 인간성은 상실하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윤추구행위를 하고 있으니 이것이 어찌 천민자본주의가 아닐 수 가 있습니까? 얼마나 유하게 표현을 해야하나요? 에덤스미스가 주장한 것은 정말 고귀한 자본주의였습니다. 그러나 지금을 보세요. 이익을 위해서라면 성매매도 불사하는 현 시대를. 자본주의가 발전해야합니다. 이건 정상적인 자본주의가 아닙니다.

    Reply
  20. All

    도구적 자본주의 어떨까요? 의미가 확장되는 면이 없잖아 있어 보이지만요

    Reply
  21. yuri

    저는 굳이 지양해야 할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천민자본주의는 돈이면 다 된다는 식의, 자본주의에 이기주의가 더해져 생겨난 폐해 중 하나로 , 정반대 개념으로는 노블리스 오블리주가 아닐까 싶습니다. ‘천민’이라는 단어는 사실 신분의 고저에서 유래됐다기보다는, 천박하기 짝이 없는 행동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여서 그대로 사용해도 문제 없다는 의견입니다.

    Reply
  22. 축구

    막스베버가 말한 저 참의미는 어차피 경제학전문가가 아닌이상 잘모를겁니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천민자본주의는 황금만능주의,물질만능주의처럼 모든 욕구중 천박하게 돈만 밝혀 사람을 사회적 혹은 도덕적으로 타락시키게 만든행동을 뜻하므로 사용제한에있어서 전혀 상관없다고 생각됩니다.

    Reply
  23. Anonymous

    위험한생각을 갖고 계시군요. 천민자본주의는 지양해야 하는데 글대로라면 조폭 양아치 범죄자들이 남의눈에 피눈물나게 해서 돈버는게 좋다는건가요?

    Reply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