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배트맨

뉴욕과 고담, 두 도시 이야기

민주당은 지난 20년 동안 뉴욕시장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다고 한다. 미국의 금융 권력을 상징하는 뉴욕이란 도시답다는 생각이 든다. 얼핏 생각나는 시장들이 루디 쥴리아니나 마이클 불름버그인데 이들은 모두 자본가였고 엄청난 부자였다. 그런 와중에 월스트리트저널이 민주당의 뉴욕시장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진보적인 후보 빌 드블라시오(Bill de Blasio)에 대한 장문의 기사를 내놓았다.

다른 것보다, 드블라시오 씨는 50만 달러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뉴욕 시민에 대한 세금인상을 제안하고 있다. 그는 계속하여 부자와 빈자 간의 소득격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뉴욕을 하나의 “두 도시 이야기”라 묘사하고 있다. 드블라시오 씨의 대변인 댄 레비탄은 후보가 “이 도시의 불평등으로 인한 위기가 부자와 빈자를 포함한 모든 뉴욕시민에게 해를 끼친다고 믿고 있다. 이 도시가 연대하는 유일한 방법은 우리의 학교와 근린에 투자하여 모든 뉴욕 시민들에게 성공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New York Mayor Race Worries Business]

뉴욕, 두 도시 이야기, 빈부격차 등 키워드가 얼마 전 상영됐던 The Dark Knight Rises를 연상시켜 흥미롭다. 그 영화에서는 혁명주의자(좌파?)를 악당으로 그려 상당히 보수적인 시각을 견지했었다. 드블라시오는 영화속 베인과 같은 혁명주의자는 아니지만 어떤 면에서는 뉴욕의 자본가들에게 베인 못지않은 극좌주의자로 여겨질지도 모르겠다. 좀 과한 비유 같지만 아래의 발언을 들어보면 과장은 아닌 것 같기도 하다.

로타 씨(공화당 측 후보 – 역자주)를 돕기 위해 최근 만들어진 정치단체 대변인 마이클 맥큰은 “사람들이 단지 그가 이 도시를 얼마나 극단적으로 좌측으로 몰고 가려는지 이해하고 그것이 암시하는 바들이 그들의 주머니란 사실을 이해할 때, 내 생각에 그들은 상황을 좀 더 면밀히 주시할 것입니다.” 라고 이야기했다. ‘검증된 리더십’이라는 이름의 이 그룹은 오랜 기간 공화당원과 보수적 운동단체들을 지원해왔던 억만장자 데이빗 코크(David Koch)의 재정지원을 받고 있다.[같은 기사]

데이빗 코크는 미드 The Newsroom을 즐겨본 이라면 이름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기사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데이빗 코크는 각종 보수단체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억만장자다. 그는 형 찰스 코크와 함께 석유, 가스, 광물 등을 취급하는 코크 인더스트리를 운영하며 큰돈을 벌었고 이제 그 돈을 밑천 삼아 ‘미국번영재단(Americans For Prosperity)’이라는 단체를 직접 설립하여 티파티 등을 배후조종하고 있다.

다시 The Dark Knight Rises가 생각난다. 배트맨은 어떤 인물인가? 배트맨은 초인적인 힘을 가진 무술인 이기도 하지만 그를 다른 슈퍼히어로와 구분 짓게 하는 특징은 그가 막대한 재산을 가진 자본가 부르스 웨인이라는 점이다. 그는 적어도 영화에서는 데이빗 코크처럼 보수단체를 지원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그의 재력을 이용하여 그만의 정의를 실천하는 행동주의자로서의 면모가 데이빗 코크와 유사하다.

빌 드블라시오는 베인이 아니고 데이빗 코크는 부르스 웨인이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소수의 (정치적 신념이 매우 확고한, 또는 현실을 직시하지 못하는) 몇몇에게는 빌 드블라시오가 베인으로, 혹은 데이빗 코크가 부르스 웨인으로 여겨지기도 할 것이다. 오세훈이라는 불세출의 인물을 통해 어느새 우리에게도 익숙해진 도시 내에서의 이념전쟁이 뉴욕이라는 세계 자본주의의 심장에서 벌어질 것인지 자못 흥미로워진다.

영어로 쓴 The Dark Knight Rises 감상문

그저께 “The Dark Knight Rises”를 아이맥스로 감상했다. 전작보다 실망스러운 작품이라 특별히 리뷰를 쓰지 않을 생각이었는데 영작 연습 사이트에 글 쓸 주제를 찾다보니 결국 리뷰를 쓰게 됐다.(그것도 영어로!) 원어민의 도움으로 수정된 글을 여기에 (귀찮아서) 재번역 없이 올려둔다. 

I saw “The Dark Knight Rises” the day before yesterday. I concluded that the movie has been somewhat overvalued. The film surely is a great movie for entertainment purposes. Once you, however, try to read some metaphors being reflected from the real world, you would have difficulties with the work because the points of view of the director are not so profound and are shallow. Although Christopher Nolan currently is one of the hottest movie directors in the industry around the world and has made some great films like “The Dark Knight” and “Inception”, his latest work failed to reach the level that his previous works archived in my humble opinion. The weakest point of the film is the disappointing character of the enemy of Batman. Without Heath Ledger, Nolan had to give up on the ‘Joker’ character and create a new character. The result is ‘Bane’, who came from an underground prison and argued that he tried to liberate the people of Gotham City. This character looks like a heroic revolutionary leader of the 3rd world or ‘Occupy Wall Street’ movement. Bane’s purpose is surely different from that of ‘Joker’ because Joker only wanted to create chaos in Gotham City for fun. But Bane’s actions and intentions are getting confused as he obsesses about a neutron bomb to blow up the city. His contradictory actions resulted from the director’s obsession with giving the movie a unique twist. As a result, a character which could have been a fantastic one in the trilogy of Batman became an ordinary character. Also, the movie became just a normal action film just like ‘Die Hard’ revoking an old-fashioned patriotism.

미네르바 현상

미네르바 현상. 재미있는 현상이다. 이것은 일종의 가면놀이다. 부르스 웨인이 가면을 쓰고 배트맨이라는 수퍼히어로가 되는 이유는 세상에 정의를 실현하겠다는 목적도 있겠지만(?) 가면 쓰고 정체를 감추면 부르스 웨인이라는 자연인으로는 할 수 없는 사회적 일탈을 즐길 수 있다는 매력도 있기 때문이다. 미네르바는 이를테면 다음 아고라의 배트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재계인사라는 설도 있고, 심지어 김정태 전 국민은행장이라는 설도 있지만 여하간에 그 자신이 평소에 자신의 이름을 내걸고는 그렇게 과격한 주장을 할 수 없을 것이기에 ‘미네르바’라는 필명을 벗 삼아 가면놀이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인터넷에서 아예 실명을 걸고 실생활과 온라인을 일치시켜 활동하는 이들도 있지만 또 나를 포함해 많은 이들은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이와 같은 이중적 캐릭터로 – 반드시 행동이 이중적이지는 않더라도 – 활동하고 있다. 굳이 인터넷 시대에만 해당되지 않는 것이 많은 유명인 들은 – 특히 반사회적 활동을 하던 – 자신들의 주장을 알리는 수단으로 필명을 활용하였다. 레닌이니 트로츠키니 하는 이름들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필명이었고, 우리사회에서도 어두운 시절 사회과학 도서를 필명으로 썼고, 걸리버 여행기로 유명한 조다산 스위프트 역시 당시 권력층의 화폐 장난질을 비판하는 글은 필명으로 써야만 했다.

배트맨이 꼭 영웅으로 대접받은 것도 아니다. 많은 이들은 – 특히 권력층 – 이 안티히어로적 행태에 불만을 느꼈고 비겁하다는 비난도 했다. 미네르바도 우리나라의 만화 같은 권력층으로부터 동일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실명 걸고 주식사면 오른다고 유언비어 유포하는 이장로 님은 멀쩡하지만 필명 걸고 주식 폭락한다고 유언비어 유포한 미네르바는 체포의 위협(?)에 시달려야 했다. 안티히어로의 필연적 운명인지도 모르겠다. 사람들은 또 그런 순교자적 이미지에 매달린다. 어느 주장이 옳은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대척점의 캐릭터가 상징하고 있는 현실이 드라마틱하기에 더욱 주목을 받게 되는 상황이다.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는 이가 성공하면 디벨로퍼고 실패하면 양아치라는 말이 있다. 안티히어로도 비슷한 길을 걸을 것이다. 그의 예측이 성공하면 혁명가이고 실패하면 역적이 될 것이다. 나는 그의 예측이 맞기를 기대하지도 않지만 그가 역적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도 없다. 다만 우리나라가 너무 많은 미네르바가 설치는 고담시가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을 뿐이다.

뒤늦게 본 Batman Begins

Batman Begins Poster.jpg
Batman Begins Poster” by May be found at the following website: IMP Awards. Licensed under Wikipedia.

고백하건데 지난번 The Dark Knight 에 대해 제법 거창한(?) 리뷰를 적었는데 사실 그 전편격인 Batman Begins 는 어제서야 봤다.(이게 뭐 고백해야할 거리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 그래도 지금 돌이켜보니 좀 읽을 만하다 싶은 리뷰들은 거의 Batman Begins 를 보신 분들이나 아예 초기 Batman 의 캐릭터에 대해 꿰뚫고 계신 분들의 리뷰였다는 점에서 뒤늦게 수퍼히어로 문외한으로서의 리뷰가 약간은 낯부끄럽기도 하다.

어쨌든 어제 감상한 Batman Begins 를 토대로 다시 감독의 의도나 그의 철학(?)을 반추해보자면 The Dark Knight 까지 폄하할 필요는 없겠으나 감독의 전체적인 세계관은 약간은 과대평가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마저 들 정도로 Batman Begins는 실망스러운 작품이었다. 뭐 물론 The Dark Knight 을 너무 재밌게 봐서 겉멋만 들어서 그럴지도 모른다. 또한 팀 버튼 작품 이후로는 Batman 을 안 봐서 그 전의 Batman 시리즈가 얼마나 후져졌는지, 그에 비하면 놀란의 작품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안 겪어봐서(?) 그런지도 모른다.

하지만 모든 선입견을 배제한다고 가정하고 – 그렇게 하려고 무진장 애를 쓰고 – 이 작품을 보자면 나에게는 그저 짝퉁 사무라이 영화 내지는, 그 일본무사도의 잔상이 짙게 드리워진 스타워즈의 Batman 외전(外典)에 가깝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영화를 보신 분들은 왜 내가 이런 말을 하는지 잘 아실 것이다.

극 초반 브루스 웨인은 자신의 부모를 죽인 범인에 대한 씻을 수 없는 증오감, 그리고 이로부터 연역되는 범죄에 대한 혐오감을 어떻게 배출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느라 중국 어느 교도소에 갇혀 있었다. 그러던 중 난데없이 헨리 듀카드라는 인물이 나타나 그에게 이정표를 제시한다. 결국 그를 찾아가 고도의 무술수련을 쌓는데 이 부분에서 닌자의 수련기법이랍시고 흉내 내는 것이 영락없이 스타워즈의 일본 모방과 판박이였던 것이다. 게다가 듀카드 배역을 리암 니슨이 맡았으니 결국 브루스 웨인은 오비완 케노비(이완 맥그리거)와 사형 지간 아닌가 말이다.

결국 듀카드가 또 구루로 모시고 있는 – 국적 불명의 – 라스알굴은 수련을 마친 브루스 웨인에게 살인자를 처단하라는 본 얼티메이텀에서 제이슨 본이 겪었던 상황과 똑같은 상황을 강요한다. 하지만 웨인은 본과 달리 일말의 갈등도 없이 이를 거부하고 여태 그를 가르친, 그리고 그의 수련을 묵묵히(!) 도와준 수많은 고수들을 정말 어이없을 정도 가볍게 물리치고, 수련장까지 홀라당 불태워버리고는 고담으로 날아와 정의의 사도 Batman이 된다. 물론 최후의 악당이 누가 될지는 안 봐도 비디오겠지.

여기까지 특별한 스포일러 없었다고 자위한다. 뭐 도입부까지만 이니까.

이후 스토리는 대강 짐작할 수 있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물론 이번에도 The Dark Knight 에서처럼 세상을 구원할 수 있는가 아닌가, 인간은 구원받을 자격이 있는가 아닌가 하는 약간은 철학적(?)인 문제로 두 큰 세력이 갈등한다. 구원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세력은 강력한 무기를 바탕으로 총공세를 펼치고 Batman 은 이를 스릴감 있게 막아낸다. 끝나고 난 후의 느낌은 그런대로 무난한 작품이었다. 애초의 실망감은 당초 기대감이 컸기 때문이다. 코믹스를 앞에 두고 철학서를 대하는 마음자세였던 것이 문제다.

영화를 보면서 그 안의 메타포나 시대적 맥락을 훑어보는 것도 의미가 있는 작업이지만 이것도 어떨 때에는 과유불급이다. 그러다보면 영화 자체에 매몰되어 그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오류를 범할 수도 있다. 그런 예를 한번 살펴보자. The Dark Knight에서 조커가 유사 ‘죄수들의 딜레마’ 게임 같은 복잡한 짓을 하지 않고도 Batman 을 이길 수 있는, 즉 자신의 인간관을 증명시킬 확실한 방법이 있었다. 그런데도 그는 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것은 어떤 방법이고 왜 그 방법을 쓰지 않았을까?

극중에서 산더미처럼 쌓아놓고 태워버린 돈을 헬기로 공중에서 뿌리면 되었을 것이다. 사람들은 의리고 애정이고 간에 돈 줍느라 피터지게 싸웠을 것이고 도시는 과잉유동성 공급으로 인해 시장이 마비되었을 것이고, 이 와중에 잘 하면(?) 브루스 웨인의 사업체도 망했을지도 모른다. 문제는 그렇게 되면 영화가 액션물이 아닌 경제 드라마인 찰리 쉰이 주연한 월스트리트 같은 작품이 되어버렸을 것이다. 조커는 자신의 승리 대신 영화를 살린 것이다. 빛나는 희생정신!

The Dark Knight

WARNING!! 스포일러 만땅

히스레저의 급작스러운 죽음과 그가 이 영화에서 보여준 광적인 연기가 입소문으로 퍼지면서 개봉도 하기 전에 준(準,quasi)신화적인 존재가 되어 블록버스터 컬트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버린 영화.  The Dark Knight을 오늘 화면발 죽이는 아이맥스로 감상했다.

보통 이런 액션영화는 좀 근사한 크레딧타이틀이나 큰 줄거리와는 상관없지만 보는 이의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는 호쾌한 액션씬을 첫머리에 집어넣기도 하는데 – 007시리즈의 특기지 – 이 영화는 어영부영하지 않고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 조커가 은행을 털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장면부터 시작한다.(주1)

영화는 이후 배트맨과 조커, 그리고 또 하나 외연을 확장하자면 정의감 넘치는 검사에서 투페이스로 전락해버린 하비 덴트의 삼각구도로 진행된다. 이 셋은 기묘하게도 서로 서로 공유하는 것들이 겹친다. 배트맨과 하비 덴트는 정의감을 공유한다. 배트맨과 조커는 어둠을 공유한다. 그리고 조커와 하비 텐트(정확하게는 투페이스가 되어버린 하비 덴트)는 광기(狂氣)를 공유한다.

이렇게 한 인물이 다른 두 인물의 공통점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셋은 끊임없이 반목하게 된다. 조커는 알량한(!) 정의감이 없어서 도시를 휘젓고 다닐 수 있다. 하비 덴트는 어둠 속에 존재할 수 없는 시스템의 남자여서 배트맨에게 불법적인 납치를 부탁한다. 배트맨은 어쩔 수 없는 냉정함 때문에 조커의 광기와 하비 덴트가 투페이스가 되면서 폭발한 광기를 말리기 위해 혼자 오지랖 넓게 동분서주 바쁘기만 하다.

그러면서도 정작 조커를 죽일 수 있는 순간이 되어도 정의감이라는 후천적 뇌종양 증세 때문에 무슨 아시모프 소설에 나온 인간을 죽일 수 없는 로봇이라도 되는 마냥 주먹을 거둔다. 게리 올드맨이 열연한 고든 경찰서장은 아들에게 이런 배트맨을 ‘어둠의 기사(Dark Knight)’라고 칭송하지만 내게는 왠지 냉소적인 조롱으로 느껴진다.(주2)

조커는 비이성(非理性)과 비합리(非合理)가 무기인 녀석이다. 그의 행동반경은 랜덤하고 생각역시 그러하다(물론 계획은 치밀하다. 이러한 점에서 그 역시 절대적인 혼돈 그 자체는 아니다). 오죽하면 돈을 산더미처럼 쌓아놓고 불을 질러버린다. 전통적인 악당들에게도 경악 그 자체다. 오직 하나의 동기가 있다면 배트맨과 재밌게 놀고 싶었을 뿐이다.(주3)

그래서 조커는 배트맨이 모토사이클을 몰고 달려드는 순간에도, 빌딩에서 집어 던져버려도 재밌어서 깔깔 웃어대기만 한다. 죽일 테면 죽여보라는 심산이었다. 그저 재밌어서 배 두 척을 상대로 ‘죄수의 딜레마’게임을 벌이기도 했고(주4), 하비 덴트를 투페이스로 만들어버렸다. 그런데 결국 배트맨은 그런 행동반경이 파리 같은 녀석 하나 처치를 못했다. 결국 어찌 보자면 패자는 배트맨이다.

결국 이 영화는 수많은 명배우들의 연기경합, 제이슨 본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낮은 톤(low tone)’의 연이어지는 긴장감, 그리고 수퍼히어로의 맛깔스러운 재해석으로 – 전문가가 아닌지라 걸작까지는 잘 모르겠고 – 수작의 반열은 거뜬히 뛰어넘은 것으로 여겨진다.

추.

이 영화가 현실 자본주의, 또는 문명세계의 메타포인지는 잘 모르겠다. 어떤 유명한 리뷰어는 배트맨이 자경단이자 자본가라는 사실을 이야기의 발화점으로 삼고 있던데 이건 원작이 생겨먹기를 그렇게 생겨먹은 것이고 원작자가 그러한 것에 큰 염두는 두었다고는 여태까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다만 뭔가 프로이트적인 분석을 하기 시작하면 혐의를 둘 수도 있겠다. 더불어 현실세계는 영화가 그리고 있는 것처럼 ‘정의’라는 것이 순수결정체도 아니다. 분명한 사실 하나는 실존하는 배트맨이 하나 있긴 하다는 것이다. 바로 자본주의로 거부가 되고도 끊임없이 자본주의를 저주하는 조지 소르스

 

주1) 이 은행털이 에피소드에서 호기 있게 강도와 대적하는 아저씨가 바로 프리즌브레이크2에서 석호필 형과 맞장 뜨는 형사 아저씨기에 적잖이 기대했는데 맥없이 당하고 만다.

주2) 기사(Knight)가 또 원래 그렇게 정의감 넘치는 족속들도 아니다.

주3) 현대 소프트웨어 운동의 그루로 추앙받는 리누스 토팔즈(Linus Torvalds)가 쓴 책 제목이 ‘그냥 재미로’인데 그는 궁극적인 발전의 동기를 ‘재미’라고 보았다. 그는 그저 재미있어서 Linux 소스를 공개했고 많은 이들이 이 소스를 역시 재미로 같이 손보아서 이 정도로 만들어 놓았다. MS적인 이윤동기로 설명되지 않는 대목이다. 무언가를 재미로 하는 애들은 못 말린다. 이를테면 블로거나 오타쿠

주4) 나도 이 장면을 보면서 ‘죄수의 딜레마’를 떠올렸고 집에 와서 검색해본 리뷰에서도 ‘죄수의 딜레마’가 언급되어 있는 글이 꽤 있으나 엄밀히 말해 정통적인 ‘죄수의 딜레마’와는 다른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즉 정통적인 상황에서 수사관, 즉 죄수를 징벌할 수 있는 이는 죄수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말미암아 수세적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조커는 이 상황을 완벽하게 콘트롤하고 있었다. 양쪽 배에서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이겼다고 치더라고 조커가 기폭장치 한번 눌러버리면 상황 끝이다. 그들의 정의감은 헌 신짝만도 못한 것이 되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 상황에서 죄수가 기폭장치를 강물로 던져버리는 설정은 너무 작위적이었다. 감독 조차도 인간성을 신뢰한 것인지 아니면 제작사의 압력이었는지는 모르겠다.

주5) 개인적으로는 게리올드맨과 마이클케인의 등장이 반가웠다. 마이클 옹 너무 늙으셔서 안타까웠고 레이첼의 편지를 펼쳐볼 때 발견한 그의 산도적 같은 손은 약간 실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