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마이클 케인

아웃사이더의 스파이 스릴러, Harry Palmer 시리즈

Len Deighton and Michael Caine Ipcress File.jpg
Len Deighton and Michael Caine Ipcress File” by http://www.twochapstalking.com/gazette/gazette32.htm. Licensed under Wikipedia.

스파이물은 100%(또는 99.9%?) 냉전시대의 유산이다. 미국의 개척시대가 없었다면 서부영화라는 장르가 존재할 수 없듯이 냉전과 스파이물의 관계도 그러하다. 그렇기에 불가피하게 우리가 어려서부터 즐겨왔던 007시리즈로 대표되는 스파이물은 서방을 선(善)의 세력으로, 소련을 비롯한 서방의 적대세력을 악(惡)의 세력으로 하는, 이분법적 구도를 당연시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구도는 소련제국이 붕괴되는 시점에서 비로소 다변화되기 시작하였고 극히 최근에야 Jason Bourne시리즈와 같은 수정주의적 스파이물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냉전의 적대감이 기승을 부리던 1960년대에 영국 영화계 한편에서는 단순명쾌한 구도와 다양한 볼거리(첨단무기, 액션, 나체의 여인 등)로 무장한 007시리즈와는 확연히 다른 묘한 스파이물이 존재하였다. 바로 Len Deighton 원작의 Harry Palmer 시리즈다. 이 작품 역시 동서의 냉전구도를 기본모순으로 깔고 가고 있다는 점에서는 그 당시의 전형을 답습하고 있으나 영화를 보고 있자면 그것이 과연 선악의 구도인지 의심스러울 때가 있을 정도로 묘한 냉소와 모호함이 느껴진다. 즉 이 시리즈는 시대를 앞선 수정주의적 스파이물이었다.

이 시리즈는 개봉 당시 ‘생각하는 사람들의 James Bond’라는 별명을 얻으며 60년대에 세 편, 90년대에 두 편 영화로 제작되었다. 주인공 Harry Palmer는 요즘 The Dark Knight에서 Bruce Wayne의 집의 집사역을 맡고 있는 Michael Caine이 맡았는데 그가 아니었으면 누가 맡을 사람이나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시니컬 그 자체인 공작원의 캐릭터다.(물론 60년대 영국영화에서 Michael Caine이 얼마만큼의 영향력을 가졌는지 잘 모르는 이에게는 그리 와 닿지 않겠지만 말이다) 검은 뿔테 안경을 쓰고(Mike Myers 가 Austin Powers에게 검은 뿔테 안경을 씌워준 이유는 바로 Harry Palmer의 캐릭터를 염두에 둔 것이다.) 냉소적인 유머를 특기로 하는 “노동계급” 스파이, 그가 바로 Harry Palmer다.

여기 1960년대에 제작된 세 편의 Harry Palmer시리즈를 소개한다.

The Ipcress File(1965)

아웃사이더의 스릴러 Harry Palmer 시리즈 중 가장 먼저 영화화된 작품이다. 자그마한 아파트에 살면서 요리하기를 좋아하고 월급이 얼마 오를지에 대해 신경을 쓰는 “노동계급” 스파이 Harry Palmer. 동시대에 같은 제작진에 의해 만들어진 James Bond 와 유일한 공통점이라면 여자를 밝힌다는 점. 그가 유혹하려는 여자와의 대화다.

Courtney: “Do you always wear your glasses?”(언제나 안경을 쓰나요?)
Palmer: “Yes – except in bed.”(네. 침대에서는 빼고)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정부를 위해 일하는 과학자들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일을 그만두는가 하면 Radcliffe 박사는 기차에서 실종된다. Harry Palmer의 상관 Dalby는 납치용의자로 Bluejay 라는 암호명의 사나이를 지목하고 Dalby의 부서는 그를 찾아 나선다. 은밀한 뒷거래로 Radcliffe 박사를 찾았지만 그는 악당에 의해 브레인워시를 당한 상태였다.

한편 Harry Palmer가 실수로 미국의 스파이를 죽인 후 미국정보국은 그를 감시한다. 그러던 중 Harry의 차를 빌려 탔던 동료가 죽고 Harry의 집에 그를 감시하던 미국 스파이의 시체가 발견되자 Harry는 서둘러 유럽으로 탈출하기 위해 기차에 몸을 싣는다. 하지만 곧 누군가에 의해 감옥으로 납치되고 그 곳에서 Radcliffe 박사가 당했던 브레인워시 실험의 제물이 된다.

감시, 유명인사 보호, 비밀접선지역, 비열한 뒷거래, 이중간첩 등 스파이 세계의 실체를 현실감 있게(얼마나 현실적 인지야 모르지만) 보여주는 장면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영상은 아방가르드 필름을 연상시킬 정도로 감각적이지만 액션은 James Bond 와의 차별성을 위해 일부러 자제하고 있다. Harry 의 냉소와 반항기질이 막판 반전에 결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이 재밌다.

Harry 의 두 상관 Dalby 와 Ross 가 Harry 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대사.

Dalby: “Incidentally, the Americans have put a tail on Palmer.”(우연히도 미국인들이 팔머의 뒤를 미행하고 있어)
Ross: “How very tiresome of them.”(그치들 참 피곤하겠네요)

감독은 Sidney J. Furie

Funeral in Berlin (1966)

베를린이 2차 대전 이후부터 베를린 장벽의 붕괴까지 지니고 있는 그 독특한 공간적 특성 때문에, 당연하게도 그 도시는 언제나 음모, 배신, 스파이 등의 단어를 은유하고 있었다. 이 작품은 그러한 베를린의 후광을 담보로 다른 도시들은 감당해내지 못할 얽히고설킨 협잡과 음모의 스토리를 풀어내고 있다.

여러 면에서 오손 웰즈의 ‘제 3의 사나이’를 연상시킨다. 각각 베를린과 비엔나라는 공간적 특수성에서 뿜어져 나오는 독특한 분위기가 그렇고 작품의 큰 축이 되는 상황설정인 거짓 죽음, 그리고 영화 곳곳에서 느껴지는 허무주의가 그렇다.

Harry Palmer 는 역시 한냉소하는 직속상관 Ross로부터 소련의 한 고위 장성을 서베를린으로 망명시키라는 명령을 받는다. 베를린에 도착한 첫날 한 아름다운 여인의 유혹에 빠지지만 그는 의혹의 끈을 놓지 않는다. 한편 장군의 탈출 시나리오는 장례식을 가장한 탈출. Palmer 는 동베를린에서 서베를린으로 빠져나온 관에 장군이 있으리라 기대하지만 그 속에는 탈출계획을 대행하던 전문가 크라우츠만의 시체가 있었다.

그 와중에 그 아름다운 여인은 이스라엘의 정보기관 소속인 것이 밝혀지고 이야기는 복잡한 실타래처럼 엉켜 들어간다. 모두가 속이고 모두가 속는다. Palmer처럼 냉소적이지 않다면 그 업무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했을까 걱정될 정도다. 특히 결말 부분에서 Palmer가 자신으로 착각하게끔 자신의 코트를 입은 독일전범이 한때마나 사랑했던 그 여인의 지시로 죽었을 때,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여인의 눈을 바라보았을 때 느꼈을 배신감은 당시 앞에 놓여 있던 베를린 장벽만큼이나 우울하고 암담하였을 것이다.

숀 코넬리가 제임스 본드로 있을 시절의 007 시리즈를 담당한 스파이물의 거장 Guy Hamilton이 스파이에게 총 대신 냉소와 머리를 건네주고는 그래도 충분히 재미있다는 사실을 증명해보였다. 흥미롭게도 감독은 또한 앞서 언급한 ‘제3의 사나이’의 조감독이기도 했었다.

Billion Dollar Brain(1967)

Harry Palmer 시리즈 중 세 번째 작품이다. 이전까지 Sidney J. Furie, Guy Hamilton 등이 맡았던 감독은 괴짜 감독 Ken Russel에게 넘어갔다. 그 덕에 그렇지 않아도 냉소적이었던 Harry Palmer 는 더 괴짜가 되었고 내러티브는 거의 블랙코미디 수준으로 치닫는다.

Ross 대령에게 시달리던 Harry 는 직장을 때려치우고 사설탐정으로 나선다. Ross 대령이 친히 방문하여 복귀를 설득하지만 요지부동이다. 그 와중에 익명의 남자 – 그런데 목소리는 마치 컴퓨터로 조작한 듯한 목소리다 – 로부터 어떤 물건 하나를 핀란드 헬싱키까지 배달해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그곳에 도착하여 그가 만난 이들은 놀랍게도 오랜 친구였던 텍사스 출신의 미국인 Leo Newbigin 과 그의 아름다운 정부 Anya. Harry 가 배달한 물건은 치명적인 바이러스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Leo 로부터 미지의 조직에서 같이 일할 것을 제의받는다.

한편 다음날 Harry는 그가 진짜 접선하려던 이는 이미 살해당했다는 사실을 알고 그 곳을 뜨려하지만 어느새 나타난 Ross 대령의 협박과 회유 – 참 희한한 직장상사 – 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조직에 몰래 잠입하여 바이러스를 되찾기로 한다. 소련 땅인 라트비아에서 죽을 위기를 맞기도 하나 Funeral in Berlin 편에서 친분관계를 쌓은 소련의 Stok 대령의 도움으로 살아난다.

마침내 조직의 우두머리는 텍사스의 철저한 반공주의자인 석유재벌 Midwinter 임을 알게 되고 그를 만나 그가 사설 군대를 끌고 소련을 침공하려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결국 한 광기어린 자본가의 전쟁 놀음에 냉전의 교묘한 균형관계가 깨질 것을 두려워 한 Harry 와 Stok 대령은 각자 Midwinter 를 막기 위해 행동에 나선다.

아직 냉전 이데올로기가 전 세계를 뒤덮고 흔들 무렵 이런 영화가 만들어졌다는 사실이 놀랍다. James Bond가 아직도 명백한 선악 구도를 추호도 의심치 않으며 빨갱이 사냥에 한창일 때에 Harry는 소련을 침공하려는 자본가를 저지하려 하다니 말이다. James Bond 는 냉전이 끝난 한참 후 Tomorrow Never Dies 에서나 겨우 시도하던 일이 아닌가 말이다.

이렇듯 원작도 그렇겠지만 영화는 지독히도 냉소적인 블랙코미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가령 라트비아에서 Harry가 어설픈 강도짓을 하다 몰살당한 현지인들 시체를 헤치고 나오는데 군인이 다가와서 혁대를 풀자 Harry 가 반격자세를 취하는데 그대로 화장실에 들어가 버리는 그런 식이다. 대체 다른 당시 – 요즘도 마찬가지 일듯 – 스파이물에서는 시도조차 못할 캐릭터가 여봐란 듯이 등장한다. 그래서 무척 맘이 흐뭇하다. 🙂

풍자의 압권은 바로 이러한 한바탕 해프닝을 주도한 것이 바로 대형 컴퓨터라는 사실이다. 제목의 ‘백만불 짜리 두뇌’는 바로 Midwinter 가 전적으로 신뢰하였지만 고철 덩어리로 판명된 슈퍼컴퓨터였다. 1,2 편보다 훨씬 스케일이 커진 로케이션(헬싱키, 텍사스, 소련(으로 믿어지는 어떤 지역)) 덕택에 시원시원한 눈풍경을 볼 수 있는 것도 즐거움 중 하나였다.

* Leo의 정부로 출연하는 아름다운 여인 Francoise Dorleac의 낯이 익다 했더니 Catherine Deneuve 의 언니였다. 안타깝게도 스물다섯의 젊은 나이에 차사고로 사망했다. 그리고 이 작품이 유작이다.

Fan Site

Trailer of Funeral in Berlin

The Dark Knight

WARNING!! 스포일러 만땅

히스레저의 급작스러운 죽음과 그가 이 영화에서 보여준 광적인 연기가 입소문으로 퍼지면서 개봉도 하기 전에 준(準,quasi)신화적인 존재가 되어 블록버스터 컬트라는 새로운 길을 개척해버린 영화.  The Dark Knight을 오늘 화면발 죽이는 아이맥스로 감상했다.

보통 이런 액션영화는 좀 근사한 크레딧타이틀이나 큰 줄거리와는 상관없지만 보는 이의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는 호쾌한 액션씬을 첫머리에 집어넣기도 하는데 – 007시리즈의 특기지 – 이 영화는 어영부영하지 않고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 조커가 은행을 털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장면부터 시작한다.(주1)

영화는 이후 배트맨과 조커, 그리고 또 하나 외연을 확장하자면 정의감 넘치는 검사에서 투페이스로 전락해버린 하비 덴트의 삼각구도로 진행된다. 이 셋은 기묘하게도 서로 서로 공유하는 것들이 겹친다. 배트맨과 하비 덴트는 정의감을 공유한다. 배트맨과 조커는 어둠을 공유한다. 그리고 조커와 하비 텐트(정확하게는 투페이스가 되어버린 하비 덴트)는 광기(狂氣)를 공유한다.

이렇게 한 인물이 다른 두 인물의 공통점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셋은 끊임없이 반목하게 된다. 조커는 알량한(!) 정의감이 없어서 도시를 휘젓고 다닐 수 있다. 하비 덴트는 어둠 속에 존재할 수 없는 시스템의 남자여서 배트맨에게 불법적인 납치를 부탁한다. 배트맨은 어쩔 수 없는 냉정함 때문에 조커의 광기와 하비 덴트가 투페이스가 되면서 폭발한 광기를 말리기 위해 혼자 오지랖 넓게 동분서주 바쁘기만 하다.

그러면서도 정작 조커를 죽일 수 있는 순간이 되어도 정의감이라는 후천적 뇌종양 증세 때문에 무슨 아시모프 소설에 나온 인간을 죽일 수 없는 로봇이라도 되는 마냥 주먹을 거둔다. 게리 올드맨이 열연한 고든 경찰서장은 아들에게 이런 배트맨을 ‘어둠의 기사(Dark Knight)’라고 칭송하지만 내게는 왠지 냉소적인 조롱으로 느껴진다.(주2)

조커는 비이성(非理性)과 비합리(非合理)가 무기인 녀석이다. 그의 행동반경은 랜덤하고 생각역시 그러하다(물론 계획은 치밀하다. 이러한 점에서 그 역시 절대적인 혼돈 그 자체는 아니다). 오죽하면 돈을 산더미처럼 쌓아놓고 불을 질러버린다. 전통적인 악당들에게도 경악 그 자체다. 오직 하나의 동기가 있다면 배트맨과 재밌게 놀고 싶었을 뿐이다.(주3)

그래서 조커는 배트맨이 모토사이클을 몰고 달려드는 순간에도, 빌딩에서 집어 던져버려도 재밌어서 깔깔 웃어대기만 한다. 죽일 테면 죽여보라는 심산이었다. 그저 재밌어서 배 두 척을 상대로 ‘죄수의 딜레마’게임을 벌이기도 했고(주4), 하비 덴트를 투페이스로 만들어버렸다. 그런데 결국 배트맨은 그런 행동반경이 파리 같은 녀석 하나 처치를 못했다. 결국 어찌 보자면 패자는 배트맨이다.

결국 이 영화는 수많은 명배우들의 연기경합, 제이슨 본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낮은 톤(low tone)’의 연이어지는 긴장감, 그리고 수퍼히어로의 맛깔스러운 재해석으로 – 전문가가 아닌지라 걸작까지는 잘 모르겠고 – 수작의 반열은 거뜬히 뛰어넘은 것으로 여겨진다.

추.

이 영화가 현실 자본주의, 또는 문명세계의 메타포인지는 잘 모르겠다. 어떤 유명한 리뷰어는 배트맨이 자경단이자 자본가라는 사실을 이야기의 발화점으로 삼고 있던데 이건 원작이 생겨먹기를 그렇게 생겨먹은 것이고 원작자가 그러한 것에 큰 염두는 두었다고는 여태까지 생각해본 적이 없다. 다만 뭔가 프로이트적인 분석을 하기 시작하면 혐의를 둘 수도 있겠다. 더불어 현실세계는 영화가 그리고 있는 것처럼 ‘정의’라는 것이 순수결정체도 아니다. 분명한 사실 하나는 실존하는 배트맨이 하나 있긴 하다는 것이다. 바로 자본주의로 거부가 되고도 끊임없이 자본주의를 저주하는 조지 소르스

 

주1) 이 은행털이 에피소드에서 호기 있게 강도와 대적하는 아저씨가 바로 프리즌브레이크2에서 석호필 형과 맞장 뜨는 형사 아저씨기에 적잖이 기대했는데 맥없이 당하고 만다.

주2) 기사(Knight)가 또 원래 그렇게 정의감 넘치는 족속들도 아니다.

주3) 현대 소프트웨어 운동의 그루로 추앙받는 리누스 토팔즈(Linus Torvalds)가 쓴 책 제목이 ‘그냥 재미로’인데 그는 궁극적인 발전의 동기를 ‘재미’라고 보았다. 그는 그저 재미있어서 Linux 소스를 공개했고 많은 이들이 이 소스를 역시 재미로 같이 손보아서 이 정도로 만들어 놓았다. MS적인 이윤동기로 설명되지 않는 대목이다. 무언가를 재미로 하는 애들은 못 말린다. 이를테면 블로거나 오타쿠

주4) 나도 이 장면을 보면서 ‘죄수의 딜레마’를 떠올렸고 집에 와서 검색해본 리뷰에서도 ‘죄수의 딜레마’가 언급되어 있는 글이 꽤 있으나 엄밀히 말해 정통적인 ‘죄수의 딜레마’와는 다른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즉 정통적인 상황에서 수사관, 즉 죄수를 징벌할 수 있는 이는 죄수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말미암아 수세적 상황에 놓여있다. 그러나 조커는 이 상황을 완벽하게 콘트롤하고 있었다. 양쪽 배에서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이겼다고 치더라고 조커가 기폭장치 한번 눌러버리면 상황 끝이다. 그들의 정의감은 헌 신짝만도 못한 것이 되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 상황에서 죄수가 기폭장치를 강물로 던져버리는 설정은 너무 작위적이었다. 감독 조차도 인간성을 신뢰한 것인지 아니면 제작사의 압력이었는지는 모르겠다.

주5) 개인적으로는 게리올드맨과 마이클케인의 등장이 반가웠다. 마이클 옹 너무 늙으셔서 안타까웠고 레이첼의 편지를 펼쳐볼 때 발견한 그의 산도적 같은 손은 약간 실망이었다.

The Italian Job[1969]

요즘 60~70년대 영국 영화를 즐겨 보다보니 이 시기에 Michael Caine이 없었더라면 영국 영화계는 – 특히 액션물이나 스릴러물 – 어떻게 버텨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그에 대한 의존도가 절대적임을 알게 되었다. 1967년부터 1년에 한 번씩 나온 Harry Palmer 삼부작, 형의 죽음에 잔인하게 복수극을 펼치는 Get Carter, 그리고 지금 소개하는 The Italian Job 에 이르기까지 이 시기에 James Bond 역만 안했다 뿐이지 웬만한 액션물 캐릭터는 전부 그의 차지였던 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

감옥에서 갓 출옥한 Charlie에게 자동차 사고로 죽은 친구의 미망인이 소포를 하나 전해준다. 그것은 이탈리아의 FIAT 회사 소유의 400만 달러어치 금을 강탈할 수 있는 계획이 담긴 가방이었다. 굴러들어온 행운을 거머쥐기 위해 그는 같은 감옥에 있었던 암흑계의 거물 Bridger씨에게 재정적 지원을 부탁한다. 사업성을 검토하고 가능성을 확인한 Bridger씨는 사업을 승인하고 Charlie는 여기저기 사람들을 끌어 모으고 필요한 장비들을 갖추기 시작한다.

그가 계획하고 있는 것은 금괴호송차량을 고의로 유발시킨 교통체증에 가둔 뒤 금을 강탈하여 기동성이 뛰어난 미니 쿠페로 빠져나와 스위스까지 도망친다는 것. 이탈리아 마피아의 위협도 있었고, 팀원들 간의 반목도 있었지만 Charlie의 배짱과 순발력으로 마침내 금괴를 탈취하고 일행은 스위스로 향하는 산맥을 버스로 건너며 신나게 샴페인을 터뜨린다. 과연 이들은 이 대담한 작전을 성공시킬 것인가?

이 작품은 비전형적인 캐릭터로 가득 찬 전형적인 영국식 블랙코미디다. 범죄자들은 마치 귀족이라도 되는 마냥 멋진 양복 차림에 깔끔한 매너를 지닌 이들이다. 범죄 집단은 마치 대기업의 사무실처럼 깔끔한 환경에서 비서를 거느려가며 범죄를 모의하는 회의를 진행한다. 반면에 감옥의 간수들은 죄수인 Bridger가 마련해준 집에 살면서 그의 몸종이나 다름없는 비굴한 직장인들일뿐이다. 냉소적인 유머의 하이라이트는 Charlie 일행이 이탈리아에서 금괴를 빼돌리는데 성공한 순간이다. 그 순간 Bridger가 갇혀 있던 감옥에서는 죄수, 간수 할 것 없이 작전의 성공을 축하하며 환호하며 Bridger를 칭송한다. 통상적인 권선징악의 영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장면이다.

잠시 옆길로 새자면 이 영화의 제작목적은 어쩌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인류의 탐욕의 역사의 진실을 일깨워주고자 함일지도 모른다. 이른바 근대 이전의 역사에서 사실 이 영화에서 보는 것과 같은 약탈행위는 범죄가 아니었다. 대부분의 영화나 소설에서 보는 것과 달리 악랄한 해적과 정당한 공권력은 다른 집단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한 나라의 무역선은 다른 나라의 무역선을 보면 얼마든지 약탈을 감행하였고 그 다른 나라 역시 그러했다. 그래서 심지어 이들은 해적선을 정당한 포로로 대우하기까지 했다.

왕실은 겉으로는 해적행위를 비난하였지만 그들의 해적행위에 투자해 배당금을 받기까지 했다. 합법적 수탈행위와 불법적 수탈행위 사이에는큰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비추어보면 컬럼버스는 사실 위대한 모험가가 아닌 약탈자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를 위대한 영웅으로 조명하고 있는 역사에 비추어 보면 Charlie는 영국의 국익을 위해 이탈리아의 금괴를 탈취해온 신중상주의적인 영웅이고 Bridger는 그에게 투자한 왕실이다. 그러니 사실 감옥에서의 환호는 당연한 것이었다.

Mark Walberg 주연으로 리메이크된 작품에서도 그렇듯이 역시 이 영화의 볼거리는 (영화 덕에 매출이 엄청 뛰었을) 미니 쿠페의 활약이다. 좁은 이탈리아 소도시의 골목을 누비는가 하면 심지어 건물의 옥상, 하수관, 그리고 강둑까지 종횡무진 하는 미니 쿠페의 카레이스는 대형차량으로 저돌적으로 직진하는 미국영화의 카레이스 장면과는 또 다른 독특한 맛의 카레이스 장면을 연출하여 영화의 재미를 배가시켰다. 그러다보니 쓸데없는 스턴트까지 선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결론적으로 이 작품은 Get Carter와같이음울하고 비정한 범죄 액션물이라기보다는 Austin Powers가 재현하려고 했던 흥청망청거리는 60년대 영국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담아내면서 동시에 약간의 애국주의적 정서를 담고 있는 액션 코미디물이라 할 수 있다.

** 그들의 범죄가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는 엔딩 장면은 권선징악적인 반전을 선보이던 일링 스튜디오의 블랙코미디와는 또 다른 관점을 선보이고 있다. 특히나 황금을 선택할 것인가 생명을 선택할 것인가의 갈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너무나 멋진 상황설정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