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복지

서울시장 선거 공약 관련 tweet 모음

어느덧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다음 주다. 언론과 SNS에서는 시장선거 열기가 뜨겁지만 거의 후보 개인의 신상에 관한 이야기들뿐이다. 누가 원했는지는 가히 짐작이 가지만 그런 방향으로 흘러가서 불행해지는 것은 결국 서울시민들일 뿐이다. 나도 게으른지라 공약을 꼼꼼히 다 들여다볼 수 없었지만, 아쉬운 대로 오늘 아침나절 살펴보고 느낀 소회에 대한 tweet들을 여기에 모아본다. 공약을 들여다보는데 참고하시길.

박원순 씨의 공약 보기 http://www.wonsoon.com/category/85 나경원 씨의 공약 보기 http://qr.net/flsy

금융

나경원 씨 공약 중 “연기금 투자 활용을 통한 자산운용 서비스 활성화“는 황당. 대통령이 연금 활용을 언급해도 “연기금 사회주의”를 외치던 한나라당의 지자체장 후보가 어떻게 연금을 활용할 것이며, 그래서 고작 자산운용 서비스업을 활성화시키겠다니?

노동

노사문제에 관해선 박원순 씨의 공약이 공공 비정규 정규직화, 실질적인 노사정 합의체 등, 나 씨의 그것에 비해 단연 진보적이다. 그가 일부에서 제기한 의문스러운 노동관을 어떻게 극복하는가와 맞물려 지켜볼 사안.

문화

나경원 씨 공약 중 드라마, 음악 등 한류콘텐츠 1.0에서 음식, 뷰티 산업 등 한류콘텐츠 2.0 발굴 지원한다는군요. 아마 사전답사 가신 모양입니다.

보육

박원순 씨도 보육정책에 “재능 기부를 통해 아이들의 보육을 공동체적으로 해결“이란 공약이 있다. 사례로 성미산을 들고 있다. 하지만 내 생각에 이게 공약이 될 순 없다. 그런 공동체가 형성되도록 어떻게 재정지원등 지원계획을 할지 고민해야겠지.

산업

나경원 씨의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한 공약에 “1기업 1시장 후원” 이거 재밌다. 기업이 시장에게 “시장경영 자문”을 제공하겠다고 되어 있는데, 시장들이 경영기법을 몰라서 쇠락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신세계가 남대문시장 자문하면 좋겠네.

@tinimoon99: @EconomicView 그리고 그거 이미 시행하고 있는 정책이기도 해요… 시 산하 구청이나 산업통상진흥원 등에서 이미 교수나 업계 인물들이 재래시장 경영컨설팅 해주고 있어요.

@tinimoon99 자문주체는 적어놓지 않았지만 기업이 시장을 자문해준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면 … 그럴리는 없겠죠? 🙂

인프라

나경원 씨의 공약중 ‘수도권 철도망 투자’를 경기도 GTX와 연계하여 서울-인천 20분 시대를 구현하겠다고 하던데, GTX는 경기도가 신청한 50억원 예산이 전액삭감되는 등 추진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재정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서울시장 후보들이 재검토하겠다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사업은 박원순 씨는 ‘한강르네상스 사업‘, 나경원 씨는 ‘어르신 행복타운

나경원 씨의 공약중 Pay As You Go 공약은 “신규사업은 .. 재원 대책을 의무적으로 마련한 후 추진”인 원칙이라는데, 이런 독립채산제 하에서, 복지는 재원보다 사회효용에 초점을 맞추므로 추진이 어려운 복지사업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 지금 살펴본 바, 이와 같은 원칙은 박원순 씨도 주장하고 있다.

주택

주택공급정책에서 박원순 씨의 “임기 중 8만호” 공급은 기존계획이 6만호였다지만 착공을 하겠다는 것인지 예산을 확보하겠다는 것인지 좀 모호하다. 나경원 씨는 비강남권 재건축 연한 완화 검토 카드를.. 역시 재건축 완화는 집권당의 단골메뉴.

@woorami: @EconomicView 들어보니 지어놓은 민간주택을 매입하겠다는 이야기더군요.

기타

나경원 씨의 인력수급계획은 학교 주변 보안관을 늘이겠다고 하였으나 어떤 식인지 언급이 없고, 직업훈련 센터에서도 요즘 유행하는 “재능기부”를 통한 충원, 보육에는 “육아품앗이”를 실시하겠단다. 자원봉사의 특별시로 만들 예정인가?

박원순 씨나 나경원 씨나 공약집에 “재능기부”란 표현을 자주 쓴다. “재능기부”란 표현을 봉사자가 쓰면 모를까, 공약을 내건 사람이 이렇게 “아름다운” 표현을 써가며 미화한들 결국 재정적 뒷받침 없는 자원봉사자 활용이란 소리에 불과하다.

배관공 조는 “꼴찌 혐오” 편견의 희생자였을까?

Wurzelbacher & McCain joint apperance at Elyria.jpg
Wurzelbacher & McCain joint apperance at Elyria” by Rona Proudfoot from Lorain, Ohio – John McCain and Joe the Plumber.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경제학자들은 보통 가난한 이들의 직관에 반대되는 업신여김을 소득 이동의 촉발에 의해 더 나은 벌이를 할지도 모른다는 그 무엇으로 설명하곤 한다. ‘배관공 조(Joe the Plumber)’는 한 해 25만 달러 이상을 버는 이들에 대한 세율의 인상에 영향 받지 않을 만큼 돈을 충분히 벌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그는 언젠가 그들 중 하나가 되기를 희망한다. [중략] 사람들은 경제의 사다리의 꼭대기에 다다를 수 있다고 기대하기 때문에 재분배에 반대하는 대신에, 이 새로운 보고서의 저자들은 사람들이 바닥에 있기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 “꼴찌 혐오(last-place aversion)”의 역설적인 결과는 몇몇 가난한 사람들이 그들의 소득은 실제 약간 상승시키지만 그들보다 가난한 이들이 그들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할 수도 있는 정책들을 소리 높여 반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중략] “꼴찌 혐오”의 개념을 유지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사람들은 그들보다 상위에 위치한 이들에게 돈을 줄 수도 있다. : 어떤 이들이 그들 자신보다 가난한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하는 대신 “부자”에게 보상하는 것. [중략] 이 아이디어는 여론조사기관인 Pew가 미국에서 모은 설문 데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최저임금보다 약간 더 버는 이들이 그것을 높이는 것을 가장 반대한다.[Don’t look down]

일전에 어떤 경제학과 교수가 엉뚱한 사실을 근거로 “불편한 진실” 운운하며 엉뚱한 글을 쓴 적이 있었지만, 이 글이야말로 어쩌면 우리가 가난한 이들에게 가지고 있는 선입견과는 다른 어떤 “불편한 진실”을 알려주는 단초가 될지도 모르겠다. 왜 가난한 이들이 부자들을 위한 정당을 지지하는지, 왜 부유세의 개념인 종합부동산세를 반대하는지, 왜 전면무상급식을 반대하는지 등등에 대한 대답 말이다.

물론 예로 든 역설적인 선택의 원인은 수많은 층위의 설명요소가 있을 것이다. 지역주의적 편견, 인종주의적 편견, 매스미디어의 프로파간다, 이념적 저항감 등등. 그렇지만 “꼴찌 혐오” 역시 이런 설명요소들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기왕에 경쟁에서 도태되었지만 꼴찌는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오히려 보편타당한 복지에 반대할 개연성도 무시할 수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특히 복지혜택이 통상 최하위 빈곤층에 집중된다는 점도 차상위 빈곤층에게 곤혹스러운 일이 될 수도 있다. 극단적으로 복지혜택을 위해 차라리 차상위의 지위를 포기하고 최하위로 내려가는 일도 있는데, 이런 사회현상은 자유지상주의자들이 복지정책을 공격하는 주요한 근거가 되기도 한다. 한편 차상위는 인용문의 주장처럼 복지혜택 일반을 포기하는 대신, 감세에 찬성하는 행태를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꼴찌혐오”의 행동패턴이 실제로 얼마나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좀 더 연구해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관점이 인간의 경제행위 동기를 “합리적 경제적 인간관”으로 단순화하여 바라보는 것보다는 좀 더 많은 설명력을 부여한다고 본다. “서민들이 우익정당을 지지하는 이유에 대한 단초”란 글에서 보았던 비합리적인 인지행위만큼이나 인간의 마음속에는 다양한 경제적 관점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Uncut!

앞으로 몇 개월 동안, 온 나라의 정치인들은 대규모 적자를 피하고 예산균형을 맞추는 것은 가난한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들어내고, 중산층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고, 노동권을 제거하고, 공공의 이익에 봉사하는 정부의 능력을 훼손해서만이 가능하다고 말할 것이다. 이것은 거짓말이다. 미국은 세계 역사상 가장 부유한 나라이다. 그리고 소득불평등은 1920년대 그 어느 시기보다도 높은 상태다. “2007년의 상위 1퍼센트의 세대가 소득의 23.5%를 집으로 가져간다.”[You Have More Money In Your Wallet Than Bank Of America Pays In Federal Taxes]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는 부자나라든 가난한 나라든,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가리지 않고 호황기 시절 방만했던 예산운용으로 말미암아 피폐해진 정부재정을 추스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재정건전성 확보 그 자체로는 잘못된 것이 없다. 문제는 위 인용문에서 주장하고 있듯이 재정적자를 주로 기존의 복지체제와 노동자 권리의 훼손을 통해 메우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재정건전성 확보 방안은 실로 간단하다. 더 많이 걷거나 더 적게 쓰거나 둘 중 하나다. 그런데 많은 나라들은 세금증액에 따른 경기부진 우려와 정부기능 확대에 따른 부작용 등을 핑계로 전자의 방법을 회피하고 있다.

하지만 위 인용문의 주장처럼 소득불평등이 그 어느 시절보다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불평등을 적절한 세금정책을 통해 완화시키고 있지 못하다면, 그리고 그 돈이 관변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적하효과(trickle down effect)를 통해 경기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 않다면, 지금 한시라도 빨리 그 시스템을 손보는데 주저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가 최근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 대중적으로 분출되어 집단행동으로 이어지고 있는바, 바로 12명의 평범한 영국인이 펍에서 술을 마시다 결성하게 된 UK Uncut과 – 이에 영감을 얻어 조직된 – US Uncut 이 대표적인 단체들이다.

이들의 조직명에서 Uncut은 익히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인민들에 대한 복지 프로그램의 삭감을 중단하라는 요구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존 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바로 세금을 내지 않고 있는 기업과 수퍼리치들에게 실질적인 과세를 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반대방향으로 가고 있다. 영국은 보수당 출범 이후 “그동안 법을 너무 흑백론으로 해석했다”고 사과하며 보다폰(Vodafone)에 대해 과세해야할 막대한 세금을 감면시켜주었다. 오바마는 부시가 저질러버린 대규모 감세를 연장했다. 다만 그는 엄청난 특혜를 받고 있는 대기업의 법인세를 꼭 손보겠다고 다짐했다.

“만약 이 단 한 기업이 그들의 세금을 낸다면, 거의 모든 우리 인민들이 그들의 집에서 쫓겨나는 상황을 면하리라고 생각한다는 것은 우리로서는 명백합니다.” 시위대 중 하나인 샘 그린의 말이다. “우리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는 말을 계속 듣고 있습니다. 이 말은 쓰레기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해야만 하는 일을 결정했습니다.”[How to Build a Progressive Tea Party]

상황은 단순명료하다. 지난번 ‘사악한 구글과 미련한 아일랜드’에서도 알아본 바와 같이 기업들은 더 많은 수익을 올리면서도 더 적은 세금을 낸다. 세금을 내는 개인은 그들의 몸을 한국에서 일하는 나1과 세금을 회피할 수 있는 조세회피지역에 있는 나2로 가를 수 없지만, 세금을 내는 기업은 그게 얼마든지 가능하다. 대표적인 그 방법을 통해 구글, 보잉, 엑슨모빌과 같은 기업들은 천문학적인 수익을 내면서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 뱅크오브어메리카, 웰스파고와 같은 금융기업은 금융위기에 따른 적자가 크다며 세금을 내지 않는다. 그 대신 막대한 금융구제 보조금을 받는다. 그리고 임원들은 보너스도~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금융과 기업제도의 세계화, 그리고 기업정치의 강화로 말미암아 점점 더 개별정부가 – 심지어 상당한 권한을 가진 서구국가의 중앙정부라 할지라도 – 기업들의 절세(?)를 막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더 나아가 우익 정부가 들어서면 그들은 더욱 적극적으로 세금감면을 남발한다. 그 대신 그들은 손쉬운 방법으로 흩어져 있는 다중의 돈을 뜯어내는 복지 프로그램 삭감, 노동자 탄압 등을 통해 재정건전을 달성하려 든다. 대표적인 사례가 위스콘신 주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동자 파업이다. 하지만 주정부 재정악화의 원인이 대기업 특혜에 있음은 또 하나의 진실이다.

영화감독 마이클 무어가 워스콘신 시위자들에게 연설. 미국은 파산한 것이 아니라 넘치는 부가 소수자들에게 이전되었을 뿐, 위스콘신투쟁은 단지 시작일 뿐이라고 역설했다. 미국현실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다.[김세균 교수님의 트윗 중에서]

중동과 같은 제3세계에서 인민들의 저항이 번지면 서구세계는 인민들의 저항이 그들의 이해관계에 도움이 되는 한은 독재자에 대한 혐오와 서구식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이라며 환영했다. 하지만 최근의 저항이 이전과 같지 않음을 느끼고 있을 것이다. 모든 혁명은 경제적인 것이었으며 최근도 그러하지만 제3세계를 괴롭히고 있는 경제위기의 원인이 자기들 나라에서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면 나라의 부를 독재자 가족이 차지하느냐 기업집단이 차지하느냐 정도다. 그런 면에서 오바마는 리비아의 독재자 축출을 위해 힘쓸 시간이 없다. 저항이 코끝에 와있으므로.

경기회복의 해법은 역시 분배정의 실현

미국인의 소비심리가 극도로 위축되고 있다. CBC 뉴스에 따르면 높은 기름 값에다 신용위기까지 겹치면서 최근 미국인들의 차량 구입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자동차 업체는 포드로 지난 해 동기에 비해 무려 34.6%의 판매 하락률을 기록하였다고 한다.

The biggest loser was Ford Motor Co., which sold 120,788 trucks and cars in the month, a drop of 34.6 per cent compared with the same time last year.

국산차 역시 피해를 입고 있다. 즉 “미국 수출실적은 지난 8월 3만3,074대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27.0%나 줄었다”고 한다. 이는 미국인들의 소비심리가 전체적으로 움츠려들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수출주도형 경제성장 전략을 추구하는 나라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물론 수출다변화 노력에 따라 수출의 대미의존도는 한창 때에 비교하여 많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대미수출은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또한 우리의 주요 수출지역인 중국 역시 경기침체 가능성이 높고 중국 등지로의 수출도 크게 보아서는 대미수출 상품과 연계된 품목일 경우가 많다. 결국 시사점은 내수부양을 통한 경제 활성화가 대안이라는 점일 것이다.

최근 어느 글에선가 보니 그 글 역시 내수 활성화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다만 그 글에서는 그 해법을 해외자본 유입 등을 위한 규제완화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다소 엉뚱한 해법으로 여겨진다. 지금 해외자본이 우리나라가 규제가 많아서 안 들어오고 있을까? 그리고 해외자본의 투입이 예전과 같이 제조업으로의 직접투입이 아닌 기존 자산인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인데 그것이 투자효과와 이를 통한 소비 진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그건 아니라고 본다.

가장 현실적이고 유일한 대안은 분배의 개선일 것이다. 즉 국내 소비자들에게 소비할 여력을 불어넣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분배의 개선은 여러 가지 수단이 있을 것인데 먼저 누진세 등 세금을 통한 재분배, 복지예산 지출 확대, 그리고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여건 개선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현 정부는 지금 세금정책은 완전히 거꾸로 가고 있으니 논평할 가치도 없고 복지예산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내년도 예산 계획을 보니 복지예산이 다소나마 올렸는데 그나마 생색용에 그치고 있거니와, 근본적으로 전체예산의 50%대에 육박하는 선진국들의 복지예산 비중에 비교한다면 20%대에 불과한 우리나라의 복지예산 비중은 부끄러운 수준이다. 이는 여전히 정부가 복지예산 지출을 낭비적 요소로 생각하는 저개발 형의 자본주의 마인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부지런히 외국에 물건 내다팔아 번 돈을 다시 생산부문에 재투입해야지 복지로 돈을 허투루 쓸 수 있느냐는 박정희 시대의 남한주식회사의 관념 그대로다.

비정규직 문제에 대해서는 정부와 여당이 현행 2년으로 되어 있는 비정규직 근로기간을 3년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한다. 그것이 고용안정 해법이라는 것이다. 참 갑갑하다. 예전에 노무현 정부 시절의 이목희 의원이 엉뚱한 소리를 해대더니 매한가지다. 2년 있다 잘릴 것 3년 있다 잘리게 해주겠다는 소리인가?

이명박 정부는 아직도 747이라는 허황된 구호에 연연하고 있다. 7%라는 이제는 기도 안차는 성장률에 매달릴 게 아니라 낮은 성장률이라도 그에 견뎌낼 수 있는 안정된 경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낮은 성장률이라도 분배가 정의로우면 서민들도 어느 정도 여유 있게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높은 성장률이 높은 생활수준을 유지해줄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근거 없는 신화다.

그리고 또 하나의 근거 없는 신화가 성장과 분배가 양립할 수 없다는 편견이다. 즉 앞서 언급했던 박정희 사장의 남한 주식회사 시절에 고착된 선입견이다. 이명박 정부 역시 그러한 신화에 매몰되어 있는지라 오로지 성장 이야기뿐이다. 성장만 하면 분배는 자연스레 이루어진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분배는 다분히 의도적인 과정이며 성장과 분배는 이제는 상호작용을 하는 동전의 양면일 수 있다.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행복비결

올바른 균형을 이루는 것이 이 나라(즉 덴마크)를 다른 나라들과 가장 다른 위치에 놓게 하는 것이라고 비지트덴마크의 Kiilerich가 설명했다. 가장 행복한 나라에 관한 두 연구의 리스트에 모두 상위에 올라있는 대부분의 북유럽 사회에서의 행복은 경제성장과 사회 프로그램의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조화를 조건으로 하고 있다. 덴마크의 접근은 높은 세금과 부의 공격적인 재분배에 – 많은 자유시장 지향의 미국인에게는 저주이겠지만 – 의존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헬쓰케어, 퇴직연금, 그리고 양질의 공교육과 같은 광범위한 공공서비스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두드러지게도 이 나라는 이 모델을 압도적인 경제성장이나 성공에 대한 인센티브 없이도 유지시키고 있다. “덴마크는 하나의 머리와 하나의 가슴을 가지고 있습니다.”(주1) Kiilerich 의 이야기다.

덴마크 시민들을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보호해주는 강력한 사회안전망은 외국인에게도 열려 있다. 미국 이민자인 55세의 Kate Vial는 30년 이상을 덴마크에서 거주하며 일하고 있는데 수년째 미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사양하고 있다. 그 대신 덴마크에서 세 아이들을 키우는 것을 선택하였다. Vial은 그녀가 결코 부자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그녀는 가족과, 여행할 수 있는 능력, 무엇보다도 심플한 경제적 안전을 소중히 여긴다고 말한다. “나는 누구나 자전거를 타고 온종일 돌아다니고 살아남기 위해 거창한 삶을 살아야 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의 심플한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 것뿐이에요.”라고 이야기했다.

Achieving the right balance is probably what most sets the country apart, suggests VisitDenmark’s Kiilerich. Happiness in most Nordic societies, all of which ranked high on both studies’ lists of happiest countries, hinges on an ineffable combination of economic strength and social programs. Denmark’s approach relies on high taxes and aggressive redistribution of wealth – anathema to many free-market Americans – which results in a broad range of social services like health care, retirement pensions, and quality public schools. Yet remarkably, the country has managed to make this model work without crushing economic growth or incentives to succeed. “Denmark has a head and a heart,” Kiilerich says.

The strong social safety nets that cradle Danish citizens from birth until death are welcoming to foreigners, too. Kate Vial, a 55-year-old American expat who has lived and worked in Denmark for more than 30 years, passed up opportunities over the years to return to the U.S., choosing instead to raise her three children in Denmark. Vial knows she will never be rich, but says that she valued family, the ability to travel, and simple economic security above all else. “I just chose a simpler lifestyle, one where I could ride my bike all over and where I don’t have to make a great living to survive,” she says.

[There’s Something About Denmark, Business Week, August 20, 2008]

조중동이나 경제신문은 기사거리 없으면 이런 기사 좀 인용보도도 하고 그러세요.

(주1) 예전에 김종필 씨가 20대에 좌익이 아니면 가슴이 없는 것이고 40대에 우익이 아니면 머리가 없는 것이라고 했던 말이 생각난다.  Kiilerich의 이 말은 덴마크가 두 관점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있다는 말일 것이다.

의료보험 논쟁에서 간과되고 있는 것, 돈 문제

난데없이 ‘의료보험’이 블로고스피어에서 화제로 떠올랐다. 문제의 발단은 몇몇 블로거들이 이명박 당선자가 의료보험을 민영화 – 내지는 당연지정제를 폐지 – 할 것이라고 이슈를 제기한 것에서 비롯된 것 같다. 이어 미국의 의료보험 체계를 비판한 마이클무어 감독의 Sicko가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디스토피아로 제시되면서 논쟁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그 논쟁의 하이라이트는 고수민님과 이카루스님의 글이 아닌가 싶다.(고수민님에 대한 반론 하나) 두 분 모두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블로거 분들이라서 꽤 꼼꼼히 읽어보았다. 논점은 약간씩 틀리지만 실제 미국에서 거주하시는 블로거로서 현재 시점의 미국의료 체계에 대한 소상한 정보를 들려주셔서 적지 않게 도움이 되었다.

필자는 두 명의 외국인 친구가 있다. 한 명은 캐나다인 한 명은 미국인이다. 몇 달 전 셋이서 술집에서 소주 한잔 하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바로 그 Sicko와 미국의 의료체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미국인 친구는 평소에도 캐나다인 친구를 Socialist라고 빈정거려 온 터라 그날도 주로 미국의 의료체계를 변호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나와 캐나다인의 양면공격에 – 특히 캐나다 친구는 정치문제에 꽤 열정적이고 타협하지 않는 타입이다 – 결국 자국의 의료체계의 문제점을 시인하는 선에서 이야기를 마쳤다. 실제로 캐나다의 그것에 비해 열등한 것도 사실인데다 미국인 친구가 철저한 반공주의 내지는 보수주의로 무장한 그런 스타일이 아닌 열린 생각을 가진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여하튼 그날의 해프닝은 미국인이 바라보는 미국 의료체계의 단편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였다. 그날의 느낌은 사회가 개인의 복지를 어느 정도 책임져야 한다는 데에는 동의하면서도 천성적으로 자유주의적 입장이 강하여 – 경제적인 면에서도 – 먹고 사는 문제에 있어서도 개인적으로 능력이 된다면 능력 되는대로 살겠다는 미국인의 낙천적 기질이 엿보이는 그런 것이었다.

어쨌든 좋다. 요컨대 미국은 간단한 수술에도 수천 달러를 지불해야 하고 보험료도 비싸며 그나마도 보험 미가입자가 수천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그에 비해 유럽이나 캐나다, 심지어 쿠바는 무상의료 정신을 구현하며 병자들이 치료비 걱정 없이 병원을 다닌다고 한다. 그렇다면 답은 뻔하지 않은가. 대한민국이 가야할 방향은 미국의 반대방향이다.

상황종료?

그렇지 않은 것이 문제다. 왜 ‘의료보험 민영화’라는 말이 회자되는지부터 짚어봐야 한다. 이는 역시 서구에서 케인즈 주의적 국가관리 체계가 무너지기 시작하는 1970~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이다. 당시 영국 쌔처 정부나 닉슨 정부는 정부의 공적부조를 비효율의 본산지, 정부재정의 기생충으로 공격하면서 공공서비스를 민영화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에서는 강력한 저항으로 여전히 ‘국민건강서비스(NHS, National Healthcare Service)’가 존재하고 있지만 쌔처의 민영화 드라이브 기조는 여전히 이어져 NHS도 꾸준히 민영화되고 있는 추세다.(관련 기사)

그렇다면 진짜 재원이 부족한 것인가 아니면 정부가 거짓말을 하는 것인가.

나는 정말 재원이 없다는 주장에 일정부분 동의한다. 왜 없냐면 이유는 다양하다. 세율 자체가 낮아서 일수도 있고, 자영업자나 고소득층의 탈세 때문 일수도 있고, 친기업적인 조세정책으로 세수가 줄어서 일수도 있고, 복지예산을 삭감하여 국방비 등 – 특히 미국 같은 경우 ‘국토안보(Homeland Security)’ 소요비용 등 – 다른 곳에 전용하여서 일수도 있고, 보수주의자들의 사회공공성에 대한 공격에 따른 예산삭감 때문일 수도 있고, 노령인구가 늘고 노동인구가 줄어드는 인구구조의 변화 때문 일수도 있다. 사실 언급한 모든 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것이다.

결국 아무리 의료체계가 멋지게 짜여 있어서 이를 통해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값싸게 제공받을 수 있게끔 멍석이 깔렸다고 하더라도 돈이 없으면 말짱 황이다. 특히 자본주의 국가의 의사들이 사회주의 조국의 명을 받아 우간다고 어디고 인류애 정신에 입각하여 봉사하는 쿠바의 의사들 같지 않은 상황에선 더욱 그렇다. 돈이 없으면 세상이 굴러가지 않는 것이 당연한 이치다.

영화 Sicko에서 내가 불만스러운 점이 바로 이 점이다. 마이클무어는 특유의 그 ‘들이대는’ 스타일로 영화를 찍은 탓에 영국, 캐나다, 쿠바의 환상적인(?!) 의료 서비스 현장만을 소개했지 그 멋진 서비스들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어떻게 보수층으로부터 공격을 받는지, 그래서 어떠한 위기에 처해있는지, 그 위기를 어떻게 해결하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로 말이 없다.

앞서도 말했지만 공공의료의 전형으로 여겨지는 영국의 NHS도 민영화의 공격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역시 거시적으로 자유화, 세계화에 따라 자본의 수익은 증가하는 반면 세금으로 그것들이 걷히지 않고 있어 이것이 공공서비스 재원의 고갈에 한 몫 하는 것이 가장 크다고 볼 수 있다. 자본은 이러한 상황에서 오히려 재원고갈이 공공서비스의 비효율을 증명한다면서 민영화를 주장하는 형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더군다나 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방예산, SOC 예산 등으로 말미암아 복지예산 비중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는 의료뿐 아니라 허다한 공공서비스가 경제규모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제공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실 이명박 당선자가 저지른 잘못도 아니고 노무현 정부가 저지른 잘못도 아니다. 성장 위주의 개발독재의 잔재라 할 수 있고 신자유주의 시대에 접어들어 참여정부 등이 이제 공공서비스 민영화를 통한 구조해체의 길을 터준 것뿐이다.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이명박 후보가 당선된 이후 의료보험 민영화를 이명박 호의 디스토피아로 제시하는 것은 일종의 공갈이다. 정동영이 당선되었다 해서 모자라는 공공서비스 재원이 생기는 것도 아니고 그가 의료보험 체계를 캐나다 수준으로 높일 의지가 있었던 것도 아니다. 정동영 밑에 있던 유시민 씨가 연기금 개혁(?)의 총대를 매려고 했음은 잘 아는 사실이지 않은가. 또한 한-EU FTA에서 약값 폭등을 불러올 협상을 진행시키고 있는 주체도 바로 현 정부다.(관련글) 재원이 확보되지 않은 공공서비스는 끊임없이 자본과 정치권의 공격을 받을 것이다.

대안은 많지는 않지만 굳이 제시를 하자면 의료체계를 비롯한 사회공공성에 대한 예산확보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도리밖에 없다. 그러자면 그러한 정책을 내건 정치적 집단을 조직하여야 하는 것이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한반도 평화체제 전환이 해결책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불필요하게 지출되는 그 엄청난 분단유지비용을 사회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비용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평화체제는 단순히 이산가족 상봉이나 민족적 자긍심의 고취 등의 효과만 있는 것이 아니다. 궁극적으로 한반도가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인 것이다.

사족 : 글쓰기의 미숙함때문에 마지막 문단에 대한 여러분들의 오해가 있었기에 그 중 대표적으로 조나단95님이 제기한 반론에 대한 댓글을 주석으로 달도록 한다

정치적 집단이라 함은 정당뿐만 아니라 말그대로 정치적 의지를 가진 사회제반 모든 집단을 아울러야 겠죠. 이들이 총선에서 신당 등에게 관련분야에 대해 조직적으로 저항하여줄 것을 요구하고 관철해내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신당이 야당이 되었으니 더욱 쉽지 않을까요?

평화체제는… 이 문제는 따로 책한권이 나와도 다 의견이 틀릴 복잡하고 다소는 주관적인 문제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혹자는 남북이 평화체제가 되어도 주변국때문에라도 절대 국방비 안줄어든다고 하는데…

하여튼 국방비에서부터 징병제에 따른 노동력손실, 주한미군 주둔에 대한 한국의 분담분, 이라크 파병, 뭐.. 기타 모든 기회비용은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의 발전에 발목을 잡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반공주의를 통한 사회적 요구에 대한 폭력적 탄압까지도 말이죠.

요컨대 저는 (그냥 제 개똥철학인지 몰라도) 남북문제 해결없는 사회평등은 다소는 불완전한 것이 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라 건강보험 이야기하다가 뜬금없이 그 이야기가 튀어나온 것 같습니다. 🙂

좋은 말상대를 만나서 반갑고요. 앞으로도 더 좋은 글 기대합니다.

http://diegeschichte.tistory.com/entry/건강보험-재정에-관한-원인과-해결방안에서-난독증을-불러일으키는-글#comment206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