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뉴욕타임스

09.29.09: Seattle — 성난 이의 아침식사

David Byrne of Talking Heads.jpg
David Byrne of Talking Heads” by Jean-Luc – originally posted to Flickr as Talking Heads. Licensed under CC BY-SA 2.0 via Wikimedia Commons.

여기 시애틀에서 아침 신문을 읽으면서, 내게는 선전선동으로 보이는 듯한 기운을 느꼈다. 입에 거품을 물거나 내 요거트를 호텔 다이닝룸에 뿌리는 등 격노하지는 않았다.

그에 대해 다시

오늘자 뉴욕타임스 1면의 사진을 보면 이란의 핵시설이라고 소문이 난 어떤 종류의 것들을 보여주고 있다. 아마도 그것은 단지 그러한 것들의 그래픽 스타일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정확히 이라크 침공 전에 범람했던 다양한 종류의 사진들을 닮았다. 대량살상무기들이 저장되고, 감춰져 있고, 또는 제조되고 있는 건물들의 사진들… 이 모든 것들은 단지 우리를 우리가 현재 놓여져 있는 곤경으로 현혹시켜 이끌었던 소문들이었을 뿐임이 증명되었다. 사람들은 당시 그것에 몰두해 있었다. 그리고 모두들의 단편적인 기억력을 감안할 때에 그들은 두 번째 그것에 몰두할지도 모르겠다.

이번에 난 이것이 절대 핵시설이 아니라고 말하진 않겠다. — 다만 추측성 사실관계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의 방식이 똑같다는 점은 지적한다.

전망

같은 면에서는 유럽에서 많은 나라들이 중도우익 정치가를 선출하면서 사회주의가 몰락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의견을 달리 해줄 것을 간청한다. 기사가 말하는 바, 중도우익은 기존의 “일반적인 복지 혜택, 국유화된 헬스케어, [그리고] 탄소배출에 관한 엄격한 제한”을 수용하였다. 이 세 가지 아이디어라면 미국에서 그들은 좌익으로 분류될 것이다. 비록 작가가 말하길 – 아마도 맞겠지만 – 유럽에서의 좌익은 전통적으로 이보다 더 나아가지만 말이다. 그러한 것들이 아직도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는 것, 그리고 현재 정치인들이 “사회주의자”이라는 (그리고 그래서 미국인이 아니라는) 고함치며 소란을 떠는 지적들은 전망의 예정된 “붕괴”에 이르게 하고 있다.

부활

다른 면의 기사에서는 경제가 바닥을 치고 다시 호조를 띄고 있다는 좋은 소식을 전하고 있다. 어떤 면에서 그것이 놀랍지 않은 한편 (경제 붕괴의 재발을 막기 위한, 또는 은행가들의 오만과 탐욕을 제한하기 위한 어떠한 심각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이는 일종의 좋은 소식을 위한 좋은 소식일 뿐인 것 같다. — 일종의 기분 좋은(feel-good) 것. 경제는 하도 오랫동안 상태가 안 좋아서 필연적으로 잘못 인도하는 고장 난 시스템의 그 어떤 것의 “재림”이나 회귀를 도모하는 것은 아마도 현재로서는 최선의 아이디어가 아닐 것이다. 이 나라의 많은 것들이 지속 불가능한 상태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골드만삭스와 다른 이들이 경기침체로부터 수익을 얻는 등 갈퀴로 부를 그러모으는 동안, 다른 이들은 불평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 that isn’t the real world.

이글을 쓴 David Byrne은 전설적인 펑크/뉴웨이브 밴드 Talking Heads의 리더였으며 현재 솔로로 독립하여 음악가, 프로듀서, 화가, 설치 아티스트, 자전거 애호가 등 다양한 사회활동을 펼치고 있는 인물이다.

그의 블로그에 올린 원문 보기 / Talking Heads 팬사이트 / 한국어 팬사이트

불황을 모르는 미국의 어느 산업분야

보이는 차트는 2000년부터 금년 6월까지의 군사목적의 내구재와 여타 목적으로 내구재의 선적에 대한 소비 트렌트를 보여주는 차트다. 6월 대비로 계절에 따라 조정된 비군사적 목적의 선적은 2000년의 평균 월간 수치에 비해 19% 떨어졌다. 군사적 품목의 선적은 2000년 평균과 비교해 123% 증가하였다.[출처]

Copyright 2009 The New York Times Company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미국 자본주의의 최대 수출품은 달러와 군수품이다. 그 뒤를 잇는 것은 아마도 맥도날도와 코카콜라? 아니면 헐리웃 영화? 어쨌든 아래 차트에서 우리는 2000년 이후 미국의 일상목적의 내구재 수출과 군사적 목적의 내구재 수출의 극명한 명암을 한눈에 볼 수 있다. ‘공급이 수요를 창출한다’는 말이 있다. 소위 세이의 법칙이다. 미국 군산복합체 정도의 능력이라면 능히 그들의 공급 증대를 위해 수요를 창출시킬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케인즈의 통화주의 비판

케인즈가 1933년 루스벨트 당시 대통령을 수신인으로 하여 뉴욕타임스에 게재한 공개편지 중 일부다.

또 다른 오류들은 – 그것이 영향력 있을까봐 두려운 – 보통 통화(량)이론이라 알려진 조악한 경제학 이론에서 유래하고 있습니다. 생산물 증대와 소득 증대는 만약 통화량이 완고하게 고정되어 있다면 다소간은 퇴보할 것입니다. 어떤 이들은 이를 통해 통화량을 늘리면 생산물과 소득이 늘어날 것이라고 추론하는 듯 합니다. 그러나 이는 더 긴 허리띠를 사서 살이 찌려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미국에서 오늘날 귀하의 나라의 허리띠는 그 배에 비해 충분히 큽니다. 효험이 있는 요소인 지출의 규모보다도 오직 제한된 요소에 불과한 통화량을 강조하는 것은 그릇된 일입니다.
The other set of fallacies, of which I fear the influence, arises out of a crude economic doctrine commonly known as the quantity theory of money. Rising output and rising incomes will suffer a set-back sooner or later if the quantity of money is rigidly fixed. Some people seem to infer from this that output and income can be raised 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money. But this is like trying to get fat by buying a larger belt. In the United States to-day your belt is plenty big enough for your belly. It is a most misleading thing to stress the quantity of money, which is only a limiting factor, rather than the volume of expenditure, which is the operative factor.

…요즘 같았으면 블로그에 글을 올렸겠지.

뉴시스(수정)

Adviser를 ‘보좌관’이라는 표현대신 ‘참모’라는 표현으로 수정

뉴시스가 특파원의 펜을 빌려 뉴욕타임스의 미대선 부통령 후보 새라 패일린에 대한 구설수 기사를 옮겨 적었다. 그런데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페일린 유세 의상비용 15만달러 구설수 <NY타임스>”라는 제목의 이 뉴시스 기사는 여러모로 국내 언론의 외신보도(또는 베끼기) 능력 부재를 드러내는 기사다.

1) 뉴욕타임스? 타임스?

가장 황당한 부분이다. 기사에서는 총 일곱 번에 걸쳐 “뉴욕타임스”를 “타임스”라고 칭하고 있다. 이 두 신문이 같은 신문이 아니라는 나의 상식이 틀리지 않았다면 기자는 지금 엄청난 실수를 하고 있는 것이다.

2) 번역인가 반역인가?

뉴시스 기사의 일부다

민주당의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은 “선거유세에서 캠페인 비용이 후보의 개인 패션에 의해 쓰여지는 것은 절대 있을 수 없지만 홍보예산으로 처리되는 것 중에 잠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들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위 문단이 인용한 것으로 여겨지는 뉴욕타임스의 원문이다.

Advisers to Mr. Obama – as well as those of his rival in the Democratic primaries, Senator Hillary Rodham Clinton – said that campaign money was never spent on personal clothing but that potentially embarrassing purchases could be blended into advertising budgets.

화자가 “오바마의 참모들(Advisers to Mr. Obama)”에서 “힐러리 클린턴 상원의원”으로 변신했다. 아니면 힐러리가 오바마의 참모로?

이외에도 사소한 번역 오류가 몇 군데 눈에 띄지만 내가 무슨 빨간펜 선생님도 아니고 이쯤에서 마치겠다.

3) 이런 기사를 굳이 특파원이 써야하나?

특파원이라면 미국에 나가계실 텐데 비싼 체재비 들여가며 계시는 동안 이런 번역문(기사?)을 쓰시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비단 뉴시스의 이 특파원 뿐만 아니라 여러 (소위) 특파원들은 외신 번역기사로 지면을 채우는 듯한 인상이 강하다. 그리고 솔직히 뉴시스의 번역기사의 의미를 굳이 찾으라면 종이신문의 촬영사진 정도다. 언론 소비자들이 – 적어도 내가 – 특파원에게서 바라는 것은 ‘김상철의 글로벌포커스’ 정도의 생생한 현장감과 현상에 대한 날카로운 해석능력이다.

골디락스의 환상과 그 결과

첫 번째 경향은 긍정적인 것이었다: 투자로 이어질 필요가 있었던 막대한 부의 증가. 연방준비은행의 이사가 되기 전에 벤 버냉키는 “글로벌 저축 과잉공급”에 쓴바 있다. 특히 아시아에서. 더 나아가 지난 20년 동안 많은 나라들이 금융시스템을 현대화하고 저축이 투자로 연계되는 채널을 창출하였다. 스페인, 아이슬랜드, 아일랜드, 그리고 영국에서 부동산 호황은 전례없는 것들이었다.
The first trend was a positive one: an enormous growth in wealth that needed to be moved into investments. Before he became chairman of the Federal Reserve, Ben S. Bernanke wrote of a “global savings glut,” particularly from Asia. Furthermore, over the last 20 years, many countries have modernized their financial systems and created new channels that linked savings and investment. In Spain, Iceland, Ireland and Britain, the real estate boom was without recent precedent.

뉴욕타임스에 실린 “Three Trends and a Train Wreck”라는 글의 일부다. 열차탈선의 세 가지 전조에 대한 글로 그 분석에 큰 무리가 없는, 요즘은 대부분이 공감할만한 내용이다.

특히 이 부분을 뽑아서 되짚어보는 이유는 “particularly from Asia” 때문이다.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지만 아시아가 높은 저축률을 자랑한다는 사실은 몇 십 년 동안의 아시아적 자본주의 전통이다. 그러한 근면함 덕분에 아시아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무시할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글쓴이도 긍정적이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거니와 결코 비난받을 일이 아니지만, 다만 그 글에서는 왜 아시아가 계속 저축을 할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오늘 날의 혼란으로 귀결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생략되어 있는 것이 아쉽다.(지면상의 한계 때문이라 할지라도)

즉 개인적으로는 첫 번째 경향으로 ‘저축률의 증가를 통한 부의 성장’이 아니라 바로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는 미국의 욕구를 아시아가 채워주고 대신 받아온 달러를 주체할 길이 없어 저축을 해놓을 수밖에 없었던 ‘생산-소비 연계 고리’를 먼저 짚어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즉 90년대 견실한 성장세와 낮은 물가상승이 공존하는 상태라고 불리던 소위 ‘골디락스 경제(Goldilocks Economy)’는 실은 미국내 제조업(특히 제조업 노동계급들)의 희생, 아시아 노동계급들의 저임금, 그리고 이러한 양 대륙의 노동계급의 희생을 강요했던 자유무역론의 허구였음을 지적하는 것이 우선이었다는 것이다.

즉 미국의 노동계급들은 골디락스라는 환상 속에서 자신들이 일하던 일터를 멕시코나 아시아의 노동계급에게 빼앗겨버리고 줄어든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은행으로부터 빚을 얻고, 월마트에서 중국산 싸구려 상품을 구입하는 자기 파괴적인 소비패턴으로 버텨왔던 것이다. 물론 아시아 노동계급이라고 나을 것은 없었다. 약간의 실질소득 증가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잉여는 다시 자국 내 기업의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가거나 국가의 외환보유고에 쌓여 선진국에 재투자되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던 것이다.

그것이 윗 글에서 설명하는 “금융시스템의 현대화”와 “저축-투자 연계 채널”인 셈이다.

구제금융을 위한 칠부능선을 넘다

의회지도자들과 부시 행정부는 일요일 오전 재무부로 하여금 광범위한 경제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특단의 개입을 통해 부실화되고 있는 기업들의 악성부채를 7천 억 달러어치 구입하도록 허가하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구제금융에 관해서 잠정적으로 합의하였다.
Congressional leaders and the Bush administration reached a tentative agreement early Sunday on what may become the largest financial bailout in American history, authorizing the Treasury to purchase $700 billion in troubled debt from ailing firms in an extraordinary intervention to prevent widespread economic collapse.

관리들은 의회 멤버들이 합의서와 법안 개요의 문구를 최종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밤새 일할 것이고 이 법안은 월요일 의회에서 투표에 부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Officials said that Congressional staff members would work through the night to finalize the language of the agreement and draft a bill, and that the bill would be brought to the House floor for a vote on Monday.

이 법안은 도움을 요청하는 기업들의 경영진들의 보수의 상한선을 두는 내용도 포함될 것이라고 참모들이 전했다. 그리고 이 법안을 통해 정부는 인색해져만 가는 모기지 담보부 채권의 보유자가 좀 더 공격적으로 주택 유실처분을 방지하게끔 하는 새로운 역할을 할 것이다.
The bill includes pay limits for some executives whose firms seek help, aides said. And it requires the government to use its new role as owner of distressed mortgage-backed securities to make more aggressive efforts to prevent home foreclosures.

몇몇 경우에 정부는 도움을 요청하는 기업들의 지분도 받을 것이다. 이를 통해 납세자들은 구조계획이 잘 진행되고 사기업들이 몇 달 혹은 몇 년 이내 정상화되면 이익도 취할 수 있다.
In some cases, the government would receive an equity stake in companies that seek aid, allowing taxpayers to profit should the rescue plan work and the private firms flourish in the months and years ahead.

백악관은 또한 의회 감시단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엄중한 감독과 재무부가 해당 프로그램을 가동하는데 돕기 위해 고용된 회사들의 이해상충 규정에 대해 동의했다.
The White House also agreed to strict oversight of the program by a Congressional panel and conflict-of-interest rules for firms hired by the Treasury to help run the program.

Breakthrough Reached in Negotiations on Bailout 중에서 발췌

마침내 흰 고양이들과 검은 고양이들이 노란 고양이들을 살리는데 합의를 보았다. 그럼 쥐들은?

신(新)공산주의자들?

뉴욕주의 상원의원인 빌 퍼킨스 Bill Perkins 가 9월 23일자 뉴욕타임스에 전면으로 실은 광고라 한다. 점점 이번 사태가 이념전쟁으로 치닫는 느낌이다.

한편 이러한 우익의 이념공세에 대해 xuxE라는 네티즌이 그 오류를 깔쌈하게 정리해주었다.

“redistribution of wealth”
from the rich to the poor = socialism.
from the poor to the rich = capitalism.

“부의 재분배”
부자에서 빈자로 = 사회주의
빈자에서 부자로 = 자본주의

살펴보니 재밌는 댓글들이 꽤 되어 (내 구미에 맞는 ^^) 재미있는 댓글을 몇 개 퍼오기로 한다.

US Stock Market $15 trillion
US Mortgage Market $7.2 trillion
CDS Market $62 trillion
Maybe I need to learn to speak chinese.
미국 주식시장 15조 달러
미국 모기지시장 7.2조 달러
CDS 시장 62조 달러
난 중국어를 배워야 할 것 같아.
Posted by: Eric Sebille

Nonsense.
If it were Communism, we’d at least GET something like universal health care or universal higher education.
This is Crony Capitalism!
말도 안돼.
이게 공산주의면 우린 최소한 보편적인 헬스케어나 보편적인 고등교육은 받았을 것 아냐.
이건 그저 구식 자본주의일 뿐이야!

Posted by: RNL

socialism my ass. a socialist government doesn’t leave a hurricane-ravaged city to fend for itself.
사회주의 까라고 그래. 사회주의 정부라면 허리케인으로 황폐화된 도시를 지 혼자 알아서 하라고 내버려 두지는 않을거야.
Posted by: Schnorm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