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Nationalization

단어의 취사선택

대처는 이른바 보수주의자들이 영국병이라 지칭한 정체되어 있는 영국을 치유하기 위해 각종 혁신적 조치를 들고 나온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그 유명한 ‘민영화(privatization)’다. 대처를 비롯한 보수당 정권은 이 말이 가지는 부정적인 뉘앙스 때문에 ‘비국유화(denationalization)’ 등 다른 대체할만한 표현을 생각해보았으나 결국 자신들의 의지를 이만큼 잘 표현해주는 단어가 없었기에 그것을 채택하였다고 한다.[출처]

위와 같은 사연은 다니엘 예르긴(Daniel Yergin)의 ‘시장對국가(원제 The Commanding Heights)’라는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연이다. 부연하자면 대처와 보수당은 그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이전의 집권당이었던 노동당의 ‘국유화(nationalization)’된 시설뿐만 아니라 신규 시설이나 서비스를 시장을 통해 공급하는 조치 일반을 개념에 포함시키기 위해 ‘민영화’라는 단어를 선택하였다. 이렇듯 세상사에 있어 단어의 선택은 – 특히 정치권에서 – 그것이 가질 뉘앙스와 편견, 그리고 거부감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취사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예를 들자면 ‘노동자’와 ‘근로자’, 두 단어의 사용을 들 수 있다. 오랜 독재시절 ‘노동자’라는 표현은 과격한 진보세력, 그 당시 표현으로 빨갱이들이나 쓰는 표현으로 터부시되었고 ‘근로자’라는 표현이 쓰였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둘 사이에 이념적 뉘앙스의 차이는 전혀 없는데도 말이다. 더 나아가 정권은 5월 1일 노동절(Mayday)을 다분히 고의적으로 3월 10일 ‘근로자의 날’로 대체해버렸다. 그렇게 함으로써 노동절을 노동자들이 자신의 힘으로 쟁취한 권리의 기념일이 아닌 ‘근로자’의 노고를 치하하는 어르신들의 체육관 잔치로 변질시켰다.

위에 예로 든 ‘민영화’라는 단어 역시 어떻게 보면 영어 표현의 부정적 의미를 더욱 탈색시키기 위해 선택된 단어라 할 수 있다. privatization의 동사형인 privatize의 영어해석을 보면 다음과 같다.

to transfer from public or government control or ownership to private enterprise: a campaign promise to privatize some of the public lands.[출처]

여기서 강조되고 있는 것은 control과 ownership이다. 실제로는 ownership, 적어도 그에 상당하는 권리가 민간, 그 중에서도 민간자본에 이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면 privatization은 운영에 초점을 둔 민영화(民營化)보다는 소유권에 초점을 둔 사유화(私有化)가 더 합당하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사유화가 가지는 부정적 뉘앙스 때문에 그 단어는 선택되지 못하였다 할 수 있다.

어쨌든 신자유주의 사조의 상징인 privatization은 그 신중한 단어선택의 덕이었는지 전 세계를 휩쓸며 하나의 시대적 대세로 자리잡아왔다는 점에서는 성공적인 단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와는 반대로 그 실천이 시급함에도 불구하고 단어 그 자체 때문에 실천이 보류, 또는 거부되고 있는 경제행위가 있는데 ‘국유화(nationalization)’가 바로 그것이다. 특히 그 조치가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는 미국에서 국유화는 단어의 불온함으로 인해 거부당하고 있다.

“And we also have different traditions in this country. Obviously, Sweden has a different set of cultures in terms of how the government relates to markets and America’s different.”[출처]

ABC뉴스와 최근 인터뷰를 가진 오바마 대통령이 왜 은행들을 국유화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하여 경제규모의 차이와 함께 이유로 거론한 내용이다. 여태 약간은 문화적 차이가 그렇게 큰 장벽일까 하고 생각되기도 했지만 오바마의 저 발언을 보면 국유화는 분명 미국인에게 있어, 특히 정치인에게 있어 하나의 확고한 금칙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국유화는 미국식의 경제 자유주의의 상극이라는 편견은 매우 견고하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미국의 한 경제 블로그의 주인장이 이러한 문화적 거부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Calcurated Risk의 주인장이 바로 그 분인데 그 분이 신중하게 취사선택한 단어는 바로 ‘preprivatization’이다. 우리말로 굳이 해석하자면 ‘전(前)민영화’ 또는 ‘예비민영화’ 쯤으로 해석할 수 있겠는데 어차피 나중에 다시 민영화할 은행들의 부실자산 정리를 위해 국유화를 시키는 행위를 저렇게 부름으로써 이념적 트라우마를 피해가자는 소리 같다. 왠지 ‘노동절’ 대신 ‘근로자의 날’을 신설한 그 옛날의 관료의 발상이 저 블로거와 같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결국 단어의 취사선택은 그 자체로 정치적 행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