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의 어이없는 실수

연합뉴스가 CNN의 기사를 베껴 쓰면서 어이없는 실수를 저질렀다. 이 기사는 북극 지방의 석유 매장량이 당초 예상을 상회할지도 모른다는 연구결과에 관한 <Survey: Arctic may hold twice the oil previously found there>라는 제목 기사를 번역한 <“북극 석유 매장량, 알려진 양의 2배”>라는 기사다.

“Based on our study, there are 40 [billion] to 160 billion barrels of oil north of the Arctic Circle,” said Gautier. The USGS had previously estimated the Arctic is home to 90 billion barrels of oil.[전문보기]

즉 미국 지질조사국(USGS)이 당초 900억 배럴 정도 묻혀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이 곳에 적게는 400억 배럴에서 맞게는 1,600억 배럴까지 될지도 모르겠다는 기사다. 추정량의 범위가 너무 커서 과연 최신예측이 기사제목대로 두 배의 매장량이 확인되었다고 봐야할지 반절의 매장량이 확인되었다고 봐야할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자원보고로써의 북극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자 하는 것이 기사의 의도인 것 같다.

한편 연합뉴스의 실수는 사족으로 달려있는 전 세계 석유소비에 관한 언급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The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a division of the Department of Energy, estimates that the world currently uses 30 billion barrels of oil a year.

CNN기사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석유소비는 연간 300억 배럴 정도이다. 이 부분을 연합뉴스는 다음과 같이 해석해놓았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세계 석유 수요는 1일 3천억 배럴에 달한다.[전문보기]

연합뉴스의 정보에 근거하여 분석해볼 경우 북극의 매장량은 긍정적인 수치를 적용한다 하여도 전 세계가 반나절이면 다 써버릴 양밖에 안된다.

0 Comments on “연합뉴스의 어이없는 실수

  1. “올해 전 세계 석유 수요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해 2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로이터는 11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올해 전 세계 하루 평균 석유 소비량을 지난해보다 100만 배럴(1.2%) 감소한 8470만 배럴로 예측해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감소폭은 1982년 이후 27년 만에 최고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5&aid=0001995809

  2. ^^ 그래도 매장량을 뻥튀기 하거나(그랬을지도) 가상의 매장지를 만들어 내는 것(마치 ‘신용’처럼) 보다는 바람직하다고 하면 억지일까요?

  3. 기사를 작성해주시는 기자님들과 편집해주시는 분들께서 조금은 사실과 다른
    부분이 없었는지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봐주시면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조금은 전혀 다른 내용이 되어버린 기사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foog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