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화(nationalization)’와 ‘경영권 취득(take over)’의 차이?

최근 USA투데이-갤럽의 투표에 따르면 미국인의 57%가 “미국 은행들의 일시적 국유화”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덜 정치적인 버전인 “일시적인 [은행의] 경영권 취득”에 대해서는 오직 44%만 반대했다.
A recent USA Today-Gallup poll found that 57% of Americans are against “temporarily nationalizing U.S. banks.” Yet only 44% oppose a less politically threatening version, “temporarily taking [a bank] over.”[Nationalized Banks: Why They Might Work, Time, 2009. 3. 6]

현실을 외면한 채 쓸데없는 단어놀음에 치중하는 꼴은 조선시대의 사대부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 그나마 그 시절의 사대부들은 물질적 명분이라도 있었을 법한데 이 무지한 미국인들은 이 단어놀음에서 무엇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저 13%의 차이에서 그들은 각 단어의 그 미묘한 차이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인가?

0 Comments on “‘국유화(nationalization)’와 ‘경영권 취득(take over)’의 차이?

  1. 단어놀음은 해외가 더 심한거 같습니다.

    뉴스위크 한국판의 인터뷰 기사에서 징그러울 정도로 자기한테 유리한 단어를 계속 밀어붙이는(고용불안정화->노동유연성)프랑스 관료를 봤던 기억이 납니다. 인터뷰 도중 수차례나 그런식으로 답변하더군요.

    1. 몽양부활님의 글을 보면 뉴욕타임스 기자가 오바마에게 혹시 사회주의자냐고 물었다는군요. 상황이 제법 심각한 모양입니다.

beagle2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