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깜짝 실적 비결의 미스터리

조선일보의 “[심층분석] 기아차, 세계최고 ‘깜짝 실적’ 비결은?”이라는 기사 중 일부를 적어본다.

기아차 김득주 이사는 “매출 원가가 낮아진 이유는 기아차가 다각적인 원가혁신 활동을 벌인 데다, 노조 협조로 생산성 개선을 이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vs

기아차가 좋은 실적을 내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노사갈등이다. 기아차 이재록 전무는 “하반기 가동률을 95%까지 끌어올릴 방침인데, 파업이 지속되면 실적악화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기자가 인터뷰하고 인용한 전무와 이사의 의견이 서로 다르다. 기자는 어떤 주장을 하고 싶은 걸까?

0 Comments on “기아차, 깜짝 실적 비결의 미스터리

  1. 첫번째 인터뷰는 실적이 오른 이유, 두번째 것은 실적이 더 오르지 못한 이유..
    실적은 이미 최고인데, 노조가 파업을 안하면 실적이 ‘더욱’ 오를것이다.. 이런 뜻 아닐까요?
    (아 조선일보구나…)

  2. 이사는 과거를 얘기하고 있고 전무는 미래를 걱정하고 있군요. 이사는 노조협조로 생산성 개선을 이루었다고 얘기하는데 전무는 노사갈등이 걱정된다고 하네요. 조선일보 기자는 하나의 조직에도 상반된 시각이 존재한다는걸 말하고 싶었던걸가요? 아니면 노조협조는 잠시이고 항상 노사갈등이 걸림돌이라는 인식을 독자에게 심어주려는 의도였을까요?

    1. 노조협조란 어떠해야 하는 것인가를 말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만… 저같은 협량이 조선일보의 큰 뜻을 어떻게 헤아리겠습니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