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저장용 시설로 쓰인 유조선

이 블로그에서 2008년 11월 ‘원유운반선’이란 글을 올린 적이 있다. 포브스가 보도한 <Oil firms to store crude on ships as oil tanks>라는 기사를 소개한 글이었는데, 보도에 따르면 원유의 현물가격이 선물가격에 비해 낮기 때문에 석유회사들이 바다에 수백만 배럴을 저장해두고 수요가 오르고 이에 따라 가격이 오를 때까지 기다릴 것을 계획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이 글에 의문을 제기하는 분도 있었고 나 역시도 반신반의했었던 것 같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최근 입수한 자료(해운산업 동향 및 전망, 2010.5., 한국선주협회)로 판단하건데 이러한 정황이 어느 정도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2월 기준 149척의 대형 유조선(VLCC)이 유류저장용 시설로 사용 중이었다고 한다. “유류저장용 시설”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하나는 노후화된 선박을 영구 저장시설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고, 또 하나는 포브스의 보도처럼 낮은 원유현물가격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일수도 있다.

이러한 정황의 판단근거는 단순하게 원유판매에 따른 이익이 용선료를 상쇄하고도 남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용선료는 그 시기 석유수요의 급감과 이에 따른 용선료의 등락추이를 근거하여 판단해볼 수 있을 것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전 세계의 석유수요는 급락했다. 2009년 원유수요량은 전년대비 2% 하락한 8,440만 배럴/일을 기록, 7년 만에 수요량이 감소한 해가 되었다. 그리고 수요 감소가 가격하락으로 이어짐은 당연하다.

당연한 이치로 이 기간 동안 운임은 폭락하였다. 2008년 평균 10만 달러가 넘었던 VLCC의 일일 용선료는 2008년 12월 6.5만 달러 선, 2009년 2분기에는 2.2만 달러 선까지 떨어졌다. 평년 수준의 1/5선까지 폭락했던 것이다. 약 6만 달러 선까지 가격을 회복한 것은 2010년이 되어선 시점이었다. 이 수치는 Clarksons Research라는 조사기관의 공식발표 자료로 이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임대되었을 가능성도 무시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유조선운임지수

유조선운임지수

3 thoughts on “유류저장용 시설로 쓰인 유조선

  1. RedPain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

    전 이 투자방식에 회의적입니다. 선물이 현물 가격보다 비싸다고 해서 현물을 매입한다고 시세차익을 얻을 수는 없겠죠.

    1. 삼성전자 주식의 현물보다 선물이 비싸다면 현물을 매입하여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2. 금의 현물보다 선물이 비싸다면 현물을 매입하여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1번의 경우는 누구나 손쉽게 투자가 가능하지만 불확실성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2번의 경우는 삼성전자 주식보다 불확실성이 작지만 일반인이 투자하기에는 거래세가 큰 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일반인이라면 ETF 등을 사용해서 거래세를 회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제 짧은 생각에는 시세차익을 얻을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런 뻔한 방식이 존재할 수는 없겠죠.
    늘 댓글로는 반대 의견만 내세우게 되네요. Foog님이 고건 부탁드립니다. 꾸벅.

    Reply
    1. foog

      1번의 불확실성은 어떤 걸 말하는 것인가요? 현물 매입가능성과 선물의 만기 시점의 매도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인가요? 만약 그런 말씀이시라면 위와 같은 시도를 한 업체가 포브스 기사에도 나와 있다시피 단순한 월가가 아닌 로열더취쉘과 같은 메인스트리트였다는 점에서 그런 가능성이 조금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되고요.

      2번의 경우도 역시 가능성이 있는 문제이긴 합니다만 금거래보다 더 베일에 쌓여 있는 원유거래가 어떠한 거래세가 있는지는 알지 못하는 상태이지 않습니까. 더군다나 쉘이 “일반투자자”도 아니고 초거대기업이니 거래비용은 일반인들보다 훨씬 싸다는 것쯤은 당연하겠죠.(이 부분은 제가 RedPain님의 의도를 잘못 파악해서 애초 다르게 썼다 수정한 내용입니다)

      즉, 이미 기확보한 실제 원유를 생산지에서 판매지로 실어나르는 거래라면, 그리고 수익[선물가-현물가>기간 용선료 등 제반비용]이 플러스라면 언제든지 고려해볼 수 있는 옵션이 아니냐 하는 것이죠.

      원유거래 시장이 워낙 베일에 쌓여 있고 그 거래선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송지연(?)을 통한 아비트리지의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고요. 다시 이 글을 쓴 것도 과연 그럼 저 선주협회의 자료에서 말하는 유류저장이라는 의미가 무엇인가를 반추해보면서 다시 한번 가능성을 제기하는 차원이라고 생각해주세요. 🙂

      요컨대 선물/현물/아비트리지 등의 전문(?)용어를 떠나서 장사꾼이 단-장기 차익이 보유비용을 초과하면 어떤 식으로든 그런 쪽으로 거래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이 글도 한번 참고하세요.

      JPMorgan Hires Supertanker for Storage, Brokers Say
      http://preview.bloomberg.com/apps/news?pid=newsarchive_en10&sid=auE79A8VeBis

      p.s. “이런 뻔한 방식”이 어떻게 가능하냐 하면 그들이 바로 원유라는 실물을 지금 가지고 있기 때문이겠죠.

      Reply

Leave a Reply to sticky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