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을 아는 것이 경제학의 최후과제

이 테잎들은, 엔론의 서부해안 트레이딩데스크으로부터의, CBS가 몇 년 전에 보도한 사실을 확인해주고 있다 : 즉 전력생산자와 거래자들 간의 비밀스러운 계약에서 발전설비를 끄도록 명령함으로써 가격을 의도적으로 올린 것이다.

“만약 스티머를 끄면, 그것들이 복구되는 것은 얼마나 걸릴까요?” 엔론의 한 노무자가 말하는게 들린다.

“오, 매시간 켜고 끄는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닐 텐데요. 그냥 놔둡시다.” 다른 이가 말한다.

“음. 그냥 가서 차단해버리지 그래요?”

시애틀 근처의 스모미쉬 공공유틸리티지구의 공무원들은 이 테잎을 법무부로부터 받았다.

“이것은 우리가 기다리던 그 증거다. 이는 그들이 시장을 조작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 유틸리티의 대변인 에릭 크리스텐슨의 말이다.[Enron Traders Caught On Tape]

反민영화론자들이 공공서비스를 민영화할 경우 얼마나 끔찍한 재앙이 초래되는지 자주 거론하는 사례가 엔론의 사례다. 발전 및 자원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속도로 성장하며 에너지 서비스 민영화의 선두주자로 나섰던 이 기업은 지극히 복잡한 투자구조와 이에 따른 기상천외한 분식회계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회사다. 인용한 부분은 이 이윤만을 쫒는 회사가 지역에 공급하여야할 전기서비스를 가지고 어떻게 장난을 쳤는지 고발하고 있는 상황의 묘사다. 전력은 거래되는 것인데 전력을 차단하면 공급이 줄어 가격이 올라갈 것이고 거래자는 이를 갈취한다는 이치다.

특이하게도 우익이든 좌익이든 –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모르나 – 인간과 그 인간들로 구성된 기업은 이윤추구를 어떠한 행동의 가장 주요한 동기로 간주한다는 것에 동의한다. 경제학자들은 개인(個人)이든 법인(法人)이든 여태 경제 흐름을 제대로 파악해 합리적인 경제 전망을 하는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라는 인간상을 경제 시스템의 주역으로 간주한다. 좌우익의 입장차가 있다면 우익은 이러한 합리적 이윤추구행위가 시장을 통해 검증되며 공공선에 도달한다는 것이고, 좌익은 개별적 이윤추구행위가 통제되지 않아 자본주의의 모순을 증폭시킬 것이라는 정도일 것이다.

특히 예로 든 공공서비스의 민영화에 대해 좌우익의 이러한 입장차는 첨예하게 드러난다. 당초 우익들은 – 또는 집권세력 – 민영화가 당장의 비용지불을 이연시키는 동시에 시장경쟁을 통해 시설과 서비스를 값싸게 공급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여 민영화를 추진하였고, 좌익은 민영화가 공공서비스에 이윤추구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비용의 증대와 이로 인한 수혜자의 배제 및 서비스 질 저하를 불러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주장 모두 어느 면에서는 동일한 이윤추구 동기에 대한 동전의 양면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엔론은 당연히 동전의 더러운 면을 상징한다.

이 글에서는 민영화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은 유보하도록 하겠다. 그보다는 시장에서의 이윤추구 행위가 공공성과 가장 첨예하게 부딪히는 그 민영화 서비스가 과연 상당수 경제학자들이 – 앞서 말한바 좌우익 공히 공유하는 – 특정한 목적, 즉 이윤동기에서만 움직이는 것인가 하는 질문을 던져보고자 한다. 그 물음에 대해 엔론을 예로 들 경우 답은 분명하다. 위에 묘사한 소름끼치는 풍경에서 전기를 차단할 경우 고통 받을 주민들에 대한 배려는 어디서도 느낄 수 없다. 이는 시장 안에서의 조화된 이기적 인간들의 행위가 공공선을 초래한다는 우익들의 주장을 무색케 한다.

2005년 8월, 미국 역사상 최악의 허리케인으로 기록된 카트리나가 루이지애나를 강타했다. 당시 그 지역에서 전력 공급 사업을 맡고 있던 엔터지는 정전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이미 100만 가구에 전력 공급이 끊긴 상태였고 엔터지 직원 1,500명 역시 집을 버리고 다른 곳으로 대피해 있었다. 엔터지의 CEO 웨인 레오나드(Wayne Leonard)는 직원들에게 개인적인 상황이 모두 해결될 때까지 직장에 나오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중략] 힘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엔터지 직원들은 대부분 직장으로 복귀했고, 최악의 상황이던 그 일주일 내내 하루에 16시간씩 일했다. [중략] 그들이 이렇게 행동하게 된 중심에는 레오나드의 거대한 비전이 자리 잡고 있다. 레오나드의 비전은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한다’는 것이었고 그의 비전을 가슴에 품은 직원들에게 직장은 월급 이상의 것이었다.[스티브잡스 무한혁신의 비밀, 카민 갤로 지음, 박세연 옮김, 권영설 감수, 비즈니스북스, 2011년, pp123~124]

민영화 서비스가 반드시 나쁘지 만은 않다는 다른 예로 쓰일 수 있는 경우다. 같은 민간 에너지 기업이지만 적어도 엔터지는 카트리나 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함에 있어 이윤추구를 유보하였다.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한다’라는 CEO의 비전은 어쩌면 좌우익 모두 마음에 들지 않을 것 같다. 물론 그가 일관되게 그러한 비전을 추구하였는지는 의문이지만 어떤 면에서 그는 ‘자비로운 자본가’, ‘공익을 배려하는 자본가’로 규정할 수 있을 것 같고, 이는 경제학자들이 규정하는 ‘경제적 인간’과는 거리가 있다. 어쨌든 민영화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공익을 추구했다.

인용한 저서는 저 유명한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에 관한 성공비결을 다룬 책인데, 이 사례는 그의 동기와 유사한 동기로 기업을 운영하는 다른 기업을 사례로 들기 위해 언급된 것이다. 요컨대 스티브 잡스의 모티브는 돈이 아니었다. 그에게는 세상을 바꾸겠다는 열정이 있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돈은 그것에 대한 부산물로 따라온 것이다. 경제학자들의 인간상과 동떨어진 이야기라 이례적이라 여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사실 상당히 많은 경영학/성공학 저서들이 이런 맥락을 강조한다. ‘돈이 아니라 열정이다.’ 그렇다면 경제학과 경영학이 바라보는 인간상은 전혀 다른 것인가?

정리를 해보자면, 민영화든지 인간상이든지 앞서 언급하였다시피 동전의 양면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큰 기조에 있어 시스템이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고 좀 더 인간적인 시스템을 갖추면 보다 나은 행동을 기대할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여건 속에서도 – 예로 이윤추구가 지상과제인 민영화 서비스 내에서도 – 사람들은 이타적 행위를 곧잘 한다는 것이다. 이를 완전히 비합리적인 행위로 몰아세우기 어려운 것이, 바로 스티브 잡스가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 세상을 바꾸겠다는 이타적(또는 적어도 非이윤추구적인) 행위를 했고 그것이 물질적 성공까지 이어진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인간의 이기적인 이윤추구 행위와 그 행위의 합인 시장에서 우익 경제학자들이 기대하는 조화(‘보이지 않는 손!’)를 기대하기에는 그 안에 채워져야 할 것이 아직도 많다는 사실은 여전하고, 반대로 좌익 경제학자들이 비판하는 끔찍한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그래도 인간들이 숨 쉬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이윤추구 행위와 시장 사이에 부족하게나마 무언가가 채워져 가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그래서 경제학자들은 ‘준합리적 경제이론’이랄지 ‘행동경제학’과 같은 이론을 내놓아 지나치게 각진 인간에 대한 정의를 세심하게 다듬으려 한다. 결국 인간을 아는 것이 경제학의 최후과제인 것 같다.

18 thoughts on “인간을 아는 것이 경제학의 최후과제

  1. Pingback: Tweets that mention 인간을 아는 것이 경제학의 최후과제 « foog -- Topsy.com

  2. 김기동

    그닥 동의할 수 없는 글입니다.
    일반적으로 민영화를 반대하는 분야는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분야죠. 수도나 교통, 전기 등등..
    하지만 잡스의 사례는 일반기업이고 컴퓨터와 핸드폰 등
    사적 재화에 국한돼 있습니다. 이걸 가지고 전기와 같은 공공재와
    비교해서 민영화의 장점이라 설명하는 건 좋은 비교가 아닌거 같네요. 문제가 되는건 위에서 언급한 공공재 성격이 강한 분야를 민영화하느냐 아니냐죠.

    Reply
  3. 김기동

    본문에서 언급하신 ‘엔터지’같은 사례를 통해서 민영화가 나쁜것만은 아니다 라고 하신다면 그 반대 사례는 자리가 모자라서 다 쓰지도 못할 정도라는건 잘 아실텐데요. 물론 모든것은 급부가 있으면 반대급부가 있는 법이지요. 하지만 애플의 성공신화와 같은 사기업의 민영화 성공사례는 범주를 공공재와 나눠서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분명히 이상적 시장에서 이윤추구는 인간의 가장 이성적인 행동이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이상적 시장도 아닐뿐더러 이윤추구가 절대 모든 행동의 우위에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Reply
    1. sticky

      본문에도 썼다시피 이 글은 민영화를 윤색하려는 것이 아니고 “민영화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공익을 추구”하는 사례가 있듯이 인간과 기업 자체를 이윤추구 동기에 의해서만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하려 함입니다.

      Reply
  4. daremighty

    뭔가 요즘 스티브잡스에 대한 평가는 좀 오바라는 느낌입니다. 뭐 세계 3위의 기업을 키워놓은 공은 무시할 수 없지만, 공공에의 기여도나 기업인으로서의 성공이나 비전의 규모나 모든 면에서 스티브잡스는 과대평가, 빌게이츠는 과소평가 받는다는 생각이 점점 더 강해지네요. 최근 빌게이츠가 게이츠재단에서 하는 일들을 보고 있으면 존경심이 절로 생기더라구요.

    Reply
    1. sticky

      ‘메뚜기도 한 철’이라고 잘 나갈 때 한껏 추앙을 받는 것이 또 그 세계아닙니까? 🙂 도요다만 봐도 한때 도요다웨이라 불릴 정도로 온갖 찬사가 쏟아지고 경영학의 교과서로 여겨지더니 대규모 리콜이 있자마자 찬사를 받았던 바로 그 지점을 딱 뒤집어 실패요인으로 분석해버렸으니까요. ㅋㅋ 어쨌든 스티브잡스나 빌게이츠나 시대의 거인임에는 분명한 사실이죠.(개인적으론 워즈니악같은 캐릭터가 더 매력적이지만요)

      Reply
  5. 다시다

    20세기의 중요한 학문적 성과는 죄다 인간은 그렇게 극단적으로 이익만을 추구하는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걸 지적해왔는데, 경제학은 귀 닫고 따로 탑을 쌓아놨죠. 최후 과제를 완료하고 나면 경제학은 지금 경제학이 절대 아닐 겁니다.

    Reply
    1. sticky

      “경제학은 경제학자들을 먹여 살리는 수단으로 매우 유용하다”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 ㅋㅋㅋ

      Reply
  6. 김기동

    아..제가 본문의 의도를 약간 잘못 파악했넴요-.-;
    죄송합니다.ㅋㅋ
    “인간과 기업 자체를 이윤추구 동기에 의해서만 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굉장히 뜻깊은 구절이네요.
    경제를 공부하다보면 이런 딜레마에 자주 빠지게 되는데
    앞으로 경제학이 이런 방향으로 좀 더 발전했으면 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Reply
  7. easybird

    전 도무지 ‘보이지 않는 손’을 믿을 수가 없더라구요.. 보이지가 않아서…ㅎ

    Reply
  8. 지혜의길

    “경제학이 인간을 알기 전에 우리 모두 죽는다”에 한 표! 중요한 것은 세상에서 경제학으로 인한 리스크를 줄이는 일. 그 다음에는 보다 나은 경제학을 하는 일.

    Reply
  9. ryuhda

    1968년 개럿 하딘의 공유지 비극론 읽은 후 최근에 비 배제적 공공재에 대해 고민하는 분야 입니다. 읽고 몇자 적어봅니다.이제는 상식이 되어버린 최근의 행동 경제학 성과에도 그렇지만, 이타적 인간의 출현이 빈드시 혈연선택이나 반복 상호성에 의거하지 않더라도 주위를 둘러보면 눈에 심심치 않게 띄인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속에 타자에 대한 연민과, 교육이든 천성이든 공정한 것에 대한 추구등이 내재하고 있지 않을까요? 제 말은 그것들은 단순한 경제학의 분야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즉, 좁은 의미의 사회과학 분야 – 경제학으로 재단하기 힘든 범위, 철학과 심리학, 정치학까지 아우르는 큰 시각에서 보아야 하며 이윤추구, 기업등의 프레임으로 판단할 사안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Reply
    1. sticky

      그런 총체적인 인간본질에 대한 파악이 필요함은 당연하겠죠. 더불어 경제행위에 국한시켰을 때조차 ‘과연 경제적 합리성(또는 이기적 동기)만을 추구하는가’에 대한 질문이 계속 있어야 하겠고요.

      Reply
  10. Pingback: seoulrain's me2day

  11. 다시만난날

    좌파는 자본주의의 인간상이 무조건 이윤추구에 매몰되어있다고 말하진 않습니다. 착한 자본가도 있을 수 있다고 말하죠. 다만 그렇게 살았을 때 절대 자본간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이윤추구를 강요받는다고 말합니다. 또는 그 ‘착함’ 뒤에는 물질적 토대가 존재할 수 밖에 없기도 하구요.

    Reply
  12. sticky

    “도쿄전력 직원이라고 해도 저런 지진이 일어나고 방사능 수치가 상승한다는 사실을 알게되면 일 따윈 던져 버리고 가족을 찾아가고 만다”. 하지만 직원들은 자리를 뜨지 않았다. 그는 어려운 가운데서도 묵묵히 일하는 자사 직원들을 높이 평가했다. 그는 “(직원들이) 후생반, 의료반, 정보반, 총무반, 소방반 등 각 부문을 만들어 모두 해야 할 일을 완수하고 있다”고 전했다.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articleid=20110317114130558e5&linkid=57&newssetid=511&from=rank
    마음이 무겁네요

    Reply

Leave a Reply to sticky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