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Bühnenbildentwurf Rheingold.JPG
By Viktor Angerer – postcard, Public Domain, Link

리하르트 바그너의 최고의 걸작으로 알려진 ‘니벨룽의 반지’를 영상으로 감상하고 있다. 10시간이 훌쩍 넘는 대작인지라 작년부터인가 ‘한번 완주해봐야지’라고 마음을 먹고 있기는 했는데 엄두가 나지 않았다. 이번에 긴 연휴 기간이라 일단 영상을 틀어놓고 보기 시작했다. 솔직히 엄청난 걸작이라고는 하는데 저 유명한 ‘발퀴레 동기’ 연주가 흐르기 전까지는 그 노래가 그 노래같고 그 연주가 그 연주같아서 도닦는 기분으로 계속 보고 있고 현재는 주요 캐릭터 중 하나인 보탄이 그의 명령을 거스른 딸 브룬힐데를 힐난하는 부분까지 감상하였다.(이제 한 4분의 1 온듯)

다만 스토리의 밑바탕은 북구신화인지라 극의 전개는 흥미롭다. 특히 절대반지가 최고의 권력을 상징하는 상징이라는 설정은 이미 많은 이들이 톨킨이 쓴 ‘반지의 전쟁’ 등으로 익숙한 설정이다. 지금 읽고 있는 빌헬름 게를로프의 ‘화폐 계급 사회’라는 책에서 상류층이 자신들만의 화폐로 사용하기 위해 금을 사용하고 이를 반지로 만들어두었던 역사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하는데, 어쩌면 바로 인간 스스로가 절대반지를 꿈꾸며 그러한 ‘사회/경제적’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신화를 통해 이야깃거리로 재탄생시킨 셈이다. 현대의 절대반지는 뭘까? 금? 달러? 비트코인?

전에 당근에서 북구신화를 사놓고 어딘가에 팽겨쳐 놓았는데 찾아서 한번 진지하게 읽어봐야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