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Insider라는 웹사이트가 재미있는(?) 자료를 하나 만들어주었다. “10 Companies Making A Killing After Laying Off Their Employees(노동자를 해고한 후 떼돈을 번 10개의 기업)”이란 포스팅인데 말 그대로 사람 자르고 돈번 회사들 리스트다.
금융위기를 거치며 수많은 기업들이 수많은 노동자들을 잘랐다. 명분은 회사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노동자를 자르면 당연히 당장의 비용이 절약되니 이익을 개선할 수 있다(장기적인 노동역량은 별개의 문제로).
그 와중에서도 우리는 과연 그 많은 기업들이 모두 다 어려웠으며, 또한 어려워서 해고를 단행하였음에도 그 해고가 과연 적정한 범위였는가 하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아래는 해당 포스팅을 표로 간략하게 재구성한 것이다.
회사 | 해고계획 | 회사수익 | 애널리스트 예상 |
Ford | 2010년2월 1천명 해고발표 | 2분기 주당 68센트 | 주당 41센트 |
Siemens | 2010년1월 1590명 해고발표 | 3분기 30억불 영업이익 예상 | 영업이익 27억불 |
Xerox | 2010년1월 2500명 해고발표 | 주당 24센트 | 주당 21센트 |
Sallie Mae | 2010년4월 2500명 해고발표 | 몇몇 아이템 제외후 주당 39센트 | 몇몇 아이템 제외후 주당 29센트 |
BASF | 2013년까지 3700명 해고예정 | 2010년6월기준 순익 15억 달러 | 순익 13억 달러 |
Wells Fargo | 2010년7월 3800명 해고 | 주당 55센트 | 주당 38센트 |
Microsoft | 5800명 이상 해고 | 주당 51센트 | 주당 46센트 |
Pfizer | 2010년5월 6천명 해고발표 | 주당 60센트 | 주당 53센트 |
Hewlett-Packard | 2010년6월 9천명 해고발표 | 주당 1.09센트 | 주당 1.05센트 |
Bank Of America | 2008년12월 3만~5만명 해고발표 | 주당 28센트 | 주당 23센트 |
적어도 위 표에 나와 있는 기업들에게 해고가 과연 필수불가결이었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이익실현의 선후관계는 자세히 따져봐야 할 것이나 적어도 ‘사운이 기울어 어쩔 수 없이’라는 핑계는 댈 수 없는 상황임에는 분명하다.
저건 그냥 우천시 무단방류다.
우천시 무단방류 라 ~ 비유가 예술입니다 언제쯤 사람이 돈 위에 설 수 있을런지요
요즘 월스트리트에서는 사람의 주관적 판단을 배제한 객관적 투자프로그램을 통한 투자가 유행이라는데 “사람이 돈 위에 설 수 있”는 세상을 생각하다보니 그 생각이 나는군요. 🙂
우천시 무단방류 라 ~ 비유가 예술입니다 (2)
그냥 CEO를 자르면 돈이 정말 많이 아껴질텐데 말이죠… (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