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銀)이 사람들의 노동성과를 기반으로 한 ‘성실한’ 화폐?

이 계획이 성공하면 미국 정부는 과거 연방준비은행에서 ‘돈을 빌리고’ 고금리의 이자를 내야 하는 황당한 처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은본위제의 화폐는 미래의 돈을 미리 당겨쓰는 ‘채무’화폐가 아니라 사람들의 노동성과를 기반으로 한 ‘성실한’ 화폐였다.[화폐전쟁, 쑹홍빙 지음, 차혜정 옮김, 박한진 감수, 랜덤하우스, 2008년, p266]

저자인 쑹홍빙 씨가 존 F 케네디가 암살당한 이유로 그가 은본위제를 추진하였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대목에서 나오는 문장이다. 음모론 책은 그러려니 하고 읽으면 그만이겠지만 – 물론 그 안에 팩트가 전혀 없다는 것은 아니고 – 이 부분은 좀 황당하다.

역사적으로 보면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금본위제, 은본위제, 그리고 금과 은 둘 다를 기반으로 하는 복분위제 등을 시행해왔다. 금과 은이 모든 금속 중에서도 노동이 많이 투입되고 기타 다양한 이유가 있기에 화폐로써의 우위를 점하여 온 것이다.

현대에 들어 금본위제로 단일화된 데에는 여러 사정이 있을 것이나 美동부의 금융가에 금이 많이 쌓여 있기에 그러했다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다만 문제는 쑹홍빙 씨가 주장하는 바 금본위제 화폐는 채무화폐고 은본위제 화폐는 노동화폐인가 하는 점이다.

앞서 말한바와 같이 금과 은, 둘 다 투입된 노동을 기반으로 화폐의 위치를 점해온 금속이다. 한편으로 어느 것이든 채무화폐가 될 수도 있다. 연방준비제도가 금을 쌓아놓고 이를 기반으로 화폐를 발행하여 정부를 채무자로 만들었다면 은이라 해도 마찬가지다.

8 thoughts on “은(銀)이 사람들의 노동성과를 기반으로 한 ‘성실한’ 화폐?

  1. 고어핀드

    저는 이 책이 왜 그렇게 베스트셀러가 됐는지 모르겠어요. 내용도 황당한데 말이죠. 오히려 이 책 읽은 사람들한테 이상한 부분을 지적하면 화를 내더라구요.

    Reply
    1. foog

      ㅎㅎㅎ 그럴지도… 정말 한때 중국이 세계 최고의 은 생산국이라는 소리를 들은 것도 같은데…(음 UB통신입니다)

      Reply
  2. contender

    저희 학교 경제학과 학장님이 그 책 작년에 읽고 아주 짧게 한마디 논평 하시더군요. “하….. 말도 안되는 책이 이상하게 인기가 많네요.” 글고 푸그님이 지적하신 것처럼 중국은 최고 은 생산국맞고요. 그 아래서 은본위제가 발달한 국가로 알고 있습니다.

    Reply
  3. kalms

    문제가 뭐죠? 저는 그림자정부 시대정신 화폐전쟁 같은 음모론을 좋아합니다.
    독일에서 나온 언론이 말하지 않는 금융위기의 진실 같은 책은 어떤지요. 저는 이런 책도 좋아합니다.

    위의 발췌한 문장에서는 금-은을 대조한 일은 없고 은-채무화폐를 대조했는데
    본문에서는 금-은을 대치하고 있습니다.
    제가 읽은 기억으로는 은화폐 즉 실물화폐를 채무화폐로 대체하는 움직임에 반했기 때문에
    케네디가 죽은 것으로 보았는데요. 책이 눈앞에 없어서 아쉽지만요.

    추리소설을 너무 많이 봤군. 영화를 너무 많이 봤군. 이런 말이랑 비슷하게 들립니다.
    추리소설이나 영화가 잘못된 게 아니고 본 사람도 잘못이 아니고 그런 걸 잣대로 사용하는 사람이 잘못된 거 아닌가 생각됩니다.

    화폐전쟁이 중국인이 중국 위주로 특히 중국 미래 위주로 썼다는 걸 감안하고 본다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요.
    문제는 이런 책이 우리나라에서는 안나온다는 거 아닐까요? 우리나라사람이 우리나라 미래를 위주로 국민들에게 진실을 알려 주는 책이 나오고 베스트 셀러가 되어 주어야 할 것 같은데요.
    말씀하신 것처럼 대중의 상업성을 이용해서 재미있게 쓰면서도 진실을 알려 주는 역할을, 지식인들은, 하실 생각이 없으신가요? 아니면 능력이 안되시나요?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