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서 언급되는 “보이지 않는 손”에 관하여

부자는 단지 큰 덩어리의 생산물 중에서 가장 값나가고 기분 좋은 것을 선택할 뿐이다. 그들은 가난한 사람보다 별로 많이 소비하지도 못한다. 그리고 그들의 천성의 이기심과 탐욕에도 불구하고, 비록 그들이 자신만의 편의(便宜)를 생각한다고 하더라도, [중략] 그들은 자신들의 모든 개량의 성과(成果)를 가난한 사람들과 나누어 가진다. 그들은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에 이끌려서 토지가 모든 주민들에게 똑같이 나누어졌을 경우에 있을 수 있는 것과 같은 생활필수품의 분배를 하게 된다. 그리하여 무의식(無意識) 중에, 부지불각(不知不覺) 중에, 사회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인류 번식(繁殖)의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도덕감정론, 애덤 스미스 저, 박세일/민경국 공역, 비봉출판사, 2014년, pp345~346]

애덤 스미스는 그의 저술활동 중에서 “보이지 않는 손”을 총 3번 언급하였다고 한다. 그가 1758년 쓴 『천문학(Astronomy)』에서 자연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자연법칙을 설명하고자 할 때 “주피터 신의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표현을 쓴 것이 최초의 언급이었다. 두 번째 언급은 이듬해인 1759년 쓴 바로 인용한 책 『도덕감정론(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에서다. 그리고 마지막 언급은 1776년 쓴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에서였고, 이 언급이 가장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이 되었다.

『도덕감정론』의 편집자였던 A. L. Macfie는 한 저널에서 『도덕감정론』에서의 “보이지 않는 손”과 『국부론』에서의 “보이지 않는 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에 따르면 공통점은 “보이지 않은 손”에 의해 “의도함이 없이 증진되는 목적을 사회의 이익으로 간주”하였다는 점이다. 한편 차이점을 보면 “『도덕감정론』에서는 행복을 위한 수단의 분배를, 『국부론』에서는 이익의 극대화를 의미”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부자의 행동동기에 대한 뉘앙스의 차이가 있을 뿐으로 과정상으로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한편 애덤 스미스가 최초로 “보이지 않는 손”을 언급하였을 때 그 손의 소유주가 주피터였고, 스미스가 그 주피터의 손을 통해 자연법칙을 설명하려 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즉 그 손이 우리에게 보이지 않는 것은 우리가 아직 손을 발견할 수 없을 만큼 무지하기 때문이며 스미스는 그 손의 행동이 바로 신(神)의 섭리라고 생각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한편 인간이 개입된 사회 역시 이 철학자에게는 다른 자연이나 큰 차이가 없고 여전히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자연법칙에 지배되는 장소일 것이다.

그곳에서도 신은 자신의 일은 자신의 준칙에 따라 인간의 일은 인간의 준칙에 따라 진행되게 (지도)하고 이는 결국 사회에 이익이 되는 자연법칙이 관철될 것이다. 어제의 글에서 살펴본 인용문에서 애덤 스미스는 악인의 재산이 선인에게 옮겨지는 신의 섭리를 설명하였다. 이번 인용에서 역시 그는 인간의 의도와는 다른 신의 섭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견으로 그에게 있어 탐욕에 따른 행위는 결국 사회에 이익을 가져다주었기 때문에 용인되어야 한다기보다는 신의 섭리이기 때문에 용인되는 것이라 여겨진다.

댓글을 남겨주세요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