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본위제, 그리고 외상장부의 처리

금본위제 문제와 케인지언의 재정정책 부문은 참으로 어렵군요. 만일 금본위제로 있었다면 지금과 같은 글로벌 불균형은 없었겠지요. 그치만 케인지언 주장대로 라면 금본위제는 경제 성장이나 경기 침체시 정부 정책에 제약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요. 제 생각엔 너무 지나친 성장 일변도로 나갈 생각이 없었다면 금본위제를 유지하는 것도 좋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우리는 빨리 돈을 벌고 잘 살려는 욕구가 너무 강한 것 같습니다. 금본위제 폐지가 미국의 패권 전략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나 기본적으로는 성장을 앞당기기 위한 저의도 있다고 봅니다. 이제 다시 금본위제로 가기는 힘든 상황이지요.[포카라님]

중상주의라고 통칭되어지는 초기의 경제사조는 사실 다양한 주장과 다듬어지지 않은 이론이 난무하였기 때문에 ‘무슨 주의’라고 한데 엮기는 조금 곤란하다고 여겨지는, 일종의 시대적 흐름일 뿐이다. 그러나 그것이 공유하는 공통점은 분명히 존재했다.

“많이 팔고 조금 사자.” “금이 짱이다.”

“중상주의(重商主義, mercantilism)”라는 단어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상업, 즉 무역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부의 창출이 무역을 통해 실현된다고 보았다. 후에 아담 스미스가 지적하고 칼 마르크스가 발전시킨 노동가치론을 통해 노동이 진정한 부의 창출수단이라고 보기 전까지 사람들은 이를 당연시했다.(주1) 더불어 그들은 그 부의 최종결과물을 금으로 보았다. 왜냐면 금은 곧 돈이기 때문이다. 즉 중금주의(重金主義)로 이어지는 논리다. 아주 단순하다.

그 당시 사람들은 지폐는 돈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은 일종의 차용증서일 뿐이다. 지금도 통용되는 지폐를 보면 그것이 돈이라는 말은 없다. 그것은 ‘은행권’일뿐이다. 은행이 돈을 – 다시 말해 금을 – 맡겨놓은 이들에게 금을 맡았다고 확인해주는 ‘은행권’이다. 이것이 오늘날 부분지급준비제도의 시초라 할 수 있다. 결국 이것이 금본위제의 초기형태가 된다. 부는 무역을 통해 창출되고, 금으로 표시되며, 은행권은 그것의 차용증서다.

그런 의미에서 금본위제로의 복귀는 중상주의로의 복귀 정도의 의미 이상을 부여하기는 어렵다. 전 세계가 달러본위제를 포기하고 – 포기하게 미국이 양허한다면 – 금본위제로 돌아간다면 다시금 금이 국력이 되는 시절이 돌아온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우리는 자국 화폐의 힘을 키우기 위해 반도체나 배를 생산하기보다는 금을 캐러 산으로 들로 쏘다녀야 할 것이다. 이것은 농담이다. 🙂

포카라님 말씀대로 금본위제로 다시 복귀하는 것은 힘들뿐 더러 불필요하다. 21세기의 금본위제는 그 나라의 경제력에 부합하는 통제된 발권력의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문제는 과연 개별 국가들이 이성적으로 자신의 경제력에 – 즉 예전에는 금보유고로 측정되었던 – 대해 진솔할 수 있고, 그에 대해 화폐주권을 올바로 행사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지금은 달러라는 오직 한명의 깡패가 지 마음대로 화폐주조권을 행사했고 나머지 국가는 울며 겨자 먹기로 달러에 페그했던 시스템이라면, 달러본위제의 폐지는 깡패가 대략 100개 나라가 넘게 되는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달러패권을 필요악이라 볼 수밖에 없다. 아주 더러운 경우지만 이러한 특수한 변수가 전후 자본주의를 이끌어온 것이 사실이다. 달러는 단순히 경제력만이 아닌 군사력과 결합하여 통화질서를 이끌어왔다. 그렇지만 결국 기축통화의 자격에 어울리는 강한 달러를 유지하는 동시에 유동성 공급을 위해 약세로 전환될 수밖에 없는 모순에 처해지면서 – 이것이 바로 ‘트리핀의 딜레마’ – 전 세계는 금융위기로 빠져들고 있다.

개별 국가가 독립적인 화폐주권을 보유하면서 그것이 통일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 달러본위제나 금본위제 말고 무엇이 있을까? 현재로서는 유일한 대안은 세계화폐일 것이다. IMF가 시도한 것이 특별인출권(SDR, Special Drawing Rights )이다. 하지만 이것은 달러의 위력에 눌려 천대받고 있다. 결국 실질적으로 패권국가가 사라진 호혜 평등한 세계에서의 세계정부가 권위를 가지고 있는 진정한 세계화폐가 나오기 전까지는 우리는 그저 다음 패권통화는 어떤 것이 될 것인지 지켜볼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유로 아니면 위안?

지금 규제 없이 무차별 달러 살포가 과연 작금의 위기를 진정시킬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달러를 정도껏 풀어야 분석을 하든지 하지 무제한 방출이라니 생각이 막막합니다. 어쩌자는 짓인지 FOOG 님 고견 좀 듣고 싶네요.[포카라님]

결국 이에 대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고자 위에서 주절댔습니다만… 🙂 깡패가 배때기 긋고 행패 부리는데 말릴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이제 더 이상 외상은 안 된다고 아무리 외쳐봐야 그래도 외상을 먹겠다고 하는 놈을 누가 주저앉히고 차분히 설명해줄 수 있을지 저도 잘 감이 안 오네요. 결국 어느 순간 외상장부를 태워버리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있을까 싶습니다.

추 1. 다들 잘 아시겠지만 참고로 본원통화가 얼마만큼 통화량을 늘리는지는 다음 그림을 참고하실 것.
추 2. 금본위제가 통화안정을 가져올 것이라는 가정도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금본위제 하에서도 역시 통화증발의 가능성은 상존할 뿐 더러 현대 금융시스템의 가공할 신용창출력은 각국의 금보유고를 충분하고도 효과적으로 무색하게 만들 수 있다.

(주1) 물론 아직도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거나 이제는 정보(informantion)가 부를 창출한다는 변종도 등장했다

10 thoughts on “금본위제, 그리고 외상장부의 처리

  1. 포카라

    저도 몇 몇 책에서 세계화폐 논의를 본 적이 있습니다. 스티글리츠 교수도 그런 말을 했던가요? 암튼 세계화폐를 추진할 경우 과연 미국이 선선히 응할지도 의문이군요. 그리고 세계화폐를 만들어 유통시키면 정말로 작금의 환율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요?

    이번 금융 위기에서 진정으로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봅니다.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땜질식 처방에 급급한 모습 뿐이군요. 위기가 좀 가시면 언제그랬냐는 듯이 다시 안면 확 바꾸고 지금까지 관행대로 할 것 같은 불길한 예상이 드는군요. 요번 기회에 화폐제도에 대해서 공부좀 해야겠습니다.

    foog 님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Reply
    1. foog

      말씀드렸다시피 SDR이 명목상으로는 현존하는 세계화폐죠. 달러때문에 존재감도 없지만(각국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에서 자그맣게 자리잡고 있으면서 체면을 차리고 있더군요) 향후 언제가 될지 모를 그런 날엔 실질적인 세계화폐가 될지도 모를 일이죠. 이 세계화폐가 환율문제를, 더 나아가 현존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을지의 여부는 단순히 세계화폐의 존재 자체에 달려있다기보다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각국 정부들의 민주화, 상호협력, 추진의지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문제라고 봅니다. 결국 화폐는 어떠한 경제시스템의 표현양식일뿐이지 않겠습니까? 🙂

      Reply
  2. Jishaq

    금본위제 문제의 핵심은 화폐전쟁이라는 책에 잘나와있습니다. 금본위제를 폐지함으로 통화량의 조절이 가능해졌죠. 통화량을 급속도로 팽창시켰다 급속히 빼버림으로 한나라의 경제전반을 컨트롤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나옵니다. 금본위제 복귀는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론적인 문제는 접어두고 결코 금본뒤제를 용납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으니까요.

    너무 삐딱한 시각인가요?;;ㅎㅎ

    Reply
    1. foog

      사실 금본위제하에서도 통화량의 조절은 가능합니다. 금본위제를 폐지하여 통화량 장난질을 친다는 가정은 통화주의자들의 화폐수량설에서 아이디어를 차용한 음모론입니다. 화폐전쟁은 읽지 않았지만 그 책도 이러한 음모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더군요. 금본위제가 어떠한 국제적 음모를 막아줄 대안이라고 여기는 것은 조금은 오버입니다.

      Reply
  3. Magicboy

    역시 경제는 어렵습니다 ㅜㅜ

    세계통화 관련해서 약간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얼마전에 이탈리아에 갔다왔는데, 옆자리에 앉았던 할아버지가 이런 말을 하시더라구요.
    “내가 1년에 5번정도 이태리를 왔다갔다 하는데, 예전에 유로화 쓰기 전까지는 물가가 싼편이었어. 그런데 유로화 되면서 이태리 물가가 너무 올라버렸어”

    단일통화를 쓰게된다는 이유만으로 특정 국가의 물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건가요? 그땐 그냥 그렇구나 하고 지나갔는데, 지금 생각하니 이해가 잘 안되네요..흠…

    Reply
    1. foog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디노미네이션(denomination) 때문일 것입니다. 즉 화폐단위를 바꾸면서 슬쩍 물가를 올려버리는 짓이죠. 이탈리아 화폐는 잘 감이 안잡혀서 모르겠는데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유로에 가입하게 되어(!!) 유로화를 쓰기로 했다고 치죠. 환율은 1000원이 1유로가 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리고 유로가 공식적으로 유통되면 장사치들은 500원 하던 것도 1유로, 600원 하던 것도 1유로라는 가격표를 붙입니다. 사람들은 갑자기 0자 세개가 줄어드니 심리적으로 물건값이 싸졌다는 착각에 빠지죠. 나중에 계산해보니 이게 그게 아닌 것을 깨닫게 되죠. 이것이 디노미네이션에 따른 물가상승효과죠.

      Reply
  4. Jishaq

    달러든 머든 은이나 금이 아닌 종이화폐가 기준이 되는 체제는 결국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세계화폐 역시 마찬가지겠죠. 세계화폐를 손에 쥔 세력이 세계경제를 움직인다고 보시면 됩니다. 막강한 금권이죠. 달러본위제는 필요악이라고 하셨는데 제 생각은 다릅니다. 물론 금이나 은을 본위로 한다면 마찬가지로 금광이나 은광을 많이 장악한 나라나 세력이 세계경제에 대한 주도권을 쥐겠죠. 하지만 금이나 은은 종이화폐처럼 윤전기를 돌려서 찍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생산량이나 수량이 제한되어있습니다. 통화량을 주물럭거려서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것이 지금보다는 정도가 덜하겠죠.

    에고 머리야;;

    Reply
    1. foog

      현대 화폐경제 하에서는 금본위제라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은 이미 아실 것이고 예전의 금본위제 또는 금화만 유통되는 시절에도 인위적인 통화증발은 예외적인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지폐경제보다는 금에 상대적으로 긴밀히 연계되었긴 하였지만 말이죠. 🙂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