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ion business

Economics learns a thing or two from evolutionary biology
by Massimo Pigliucci

“내 생각에 세상이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규정한 주요 작동구조라고 인지한 모델이 흠이 하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불명예스럽게도 전직 연방준비제도 의장이었던 알란 그린스펀의 말이다. 그는 경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그의 견해가 크게 잘못되었다고 인정하였다. 그리고 여전히 지난 시절의 그의 “흠 있는” 모델에 근거한 연방준비제도 차원의 개입에 (또는 그러함으로써의 불개입) 대해서는 사과하지 않았다. 전 세계 수 억 명의 사람들이 잘못된 가정에 근거한 정책적 결정을 내리는 누군가의 결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떻게 이러한 일이 가능할까? 경제학은 복잡한 수학적 모델 (그리고 우리 모두는 수학이 매우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에 기초한 굳건한 규율로 간주되어 왔다. 그들은 심지어 큰 소리를 내는 경제학자들에게 노벨상까지 쥐어준다! 그리고 여전히 경제학은 언제나 사회학, 심리학, 그리고 어떤 면에서는 생태학이나 진화 생물학과 같은 생명과학 일부까지도 아우르는 “연성의(soft)” 과학이라는 동류의 대접에서 벗어나기 위해 싸워야만 했다. 참으로 그러한 다른 연구 분야의 종사자들처럼 몇몇 경제학자들 역시 “물리학을 부러워하는(physics envy)”, 즉 물리과학을 그들 분야가 그래야 하는 것 인양의 모델로써 사용한다는 혐의를 인정한다. 심지어 그린스펀의 영리한 화술을 이용하자면 좋은 과학은 물리학에 의거 모델화되어야 한다는 그 가정마저 “흠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첼시 월드 Chelsea Wald 는 사이언스지에서의 최근 논문에서 (2008년 12월) 어떻게 금융부문에서의 그렇게 수많은 똑똑한 사람들이 분명히 문제가 있고 결국에는 자본주의 그 자체의 기저를 흔들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쑤셔대는 전 세계의 경제위기를 이끌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명백한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수십 년에 걸쳐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렸는가를 물음으로써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대답으로 일부는 “시장”은 사람들이 그들 스스로의 자기이해에 따라 행동하고, 그들이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비즈니스에 대한 적정한 정보에 완벽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는 합리적인 이들이기 때문에 기능한다는 경제학의 고집스러운 아이디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멍청하지 않다. 그리고 그들은 완벽한 합리성, 완벽한 정보, 그리고 즉각적인 접근이라는 것들이 시장이 기능하는 실재와는 1광년 동떨어져있다는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다. 그리고 사실 최근 모델들에서는 이러한 가정들이 일정정도 느슨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물을 그런 식으로 모델링한다는 것은 너무나 큰 유혹이다! 결국 물리학자들도 역시 그렇게 한다. “둥그런 소를 가정하면..(consider a spherical cow)”(주1)으로 시작하는 물리학 개론의 문제를 상기하라.

그러나 이제 새로운 녀석이 나타났다. : “인지행위적 재무론(behavioral finance)”은 사람들이 어떤 때는 다소 합리적으로 행동하지만 또 어떤 때에는 노골적인 공포감에 빠져들 수도 있다는 아이디어를 진지하게 고려한다. 이 새로운 접근은 심리학이나 사회과학과 같은 인간행동의 특징에 관해 가장 많이 우리에게 말하는 바가 큰 “연성의” 과학을 포함하는 여러 분야의 학제적 환경에서 도출되었다. 아마도 그리 놀랍지 않게도 이제 때때로 경제학자들을 자극시키는 또 다른 과학이 있다. : 진화생물학. 고전적인 모델을 채택하는 종래의 “효율적 시장가설”은 아담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과 더 직접적으로 유사성을 가지는 “적응적 시장가설”로 대체되고 있다.

진화생물학자들은 자연선택이 최적화 과정이 아니며 만족화의 과정이고 그것은 어떠한 결과물이든 간에 특정한 역사적 순간에 달성 가능한 것을 생산하고 그 문제를 “매우 충분하게”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것은 다소는 많은 자원을 “낭비”하고 때로 막다른 길로 치닫기도 한다.(현존하는 종의 99%가 멸종되었다는 것만을 상기하라) 떠오르는 그림은 합리주의자 패러다임보다 훨씬 더 현실적이다. 그러나 또한 확실하게 훨씬 더 혼란스럽다.

진화생물학에서 배울 점이 또 하나 있는데 이를 통해 경제학자들 또는 일반대중이 특별히 행복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복잡계(complex systems)가 시간을 두고 진화하면 그들이 취하는 경로들은 (양자 역학 테두리 바깥 결정론적인 거시 물리학 법칙과 반대로) 역사적 사건들에 대해 우발적(contingent)이다. 사회학자, 심리학자, 생태학자, 그리고 진화생물학자들은 언제라도 그들의 경제학의 친구들에게 충분히 복잡한 임의의 역사적 모델을 통해 (공룡의 멸종, 닷컴 버블과 같은) 과거의 사건들을 설명하는 것이 분명히 가능하다고 말해줄 수 있다. 그러나 능력 밖에 있는 것은 정확히 경제학자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다. : 미래의 예측, “좋은” 과학의 인증표.

나는 여기서 일반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실행 가능한 예측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상학은 그것이 12월과 2월의 기간 동안 뉴욕의 낮은 온도일 것이 매우 확률이 높다는 것을 당신에게 말해준다는 의미에서 예언적이다. 그러나 그것이 내일 당신이 두꺼운 코트나 또는 우산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해줄 능력은 별로 없다.(주2) 유사하게 생태학자는 예를 들어 가용영역의 크기 또는 (초계체 역학에 영향을 미치는) 인접한 유사영역과의 연계 등 특정 환경인자들이 변할 때, 멸종의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개별 종이 언제 어디서 멸종할 지에 대해 예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유사하게 새로운 경제적 모델들은 그들이 예를 들어 가치측정이 어려운 주식들이 “낙관적인” 시기에는 잘 나갈 것이라는, 반면 가치측정이 쉬운 주식은 “비관적인” 시기에 좀 더 잘 나갈 것이라는 것은 이야기할 수 있는 의미에서만 “작동”할 것이다. 그들은 심지어 주식들이 얼마나 잘 나가는지에 대한 분산이 두 번째 것보다는 첫 번째 타입에서 보다 높다는 것도 이야기해줄 수 있다. 그러나 어느 것도 당신이 당신 브로커에게 오늘 이따가 이야기할 것에 대해서나 지금 이 시점에서 무엇을 사고팔아야 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것에 대한 용도로는 쓸 수 없을 것이다.

이 이야기의 교훈은 위의 모든 것들이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생태학, 진화생물학의 실패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과학들이 물리학의 (모든 것은 아닐지라도) 많은 것들과는 다르게 복잡하고, 역사적인 시스템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에서 예견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가 제거할 필요가 있는 진정한 가정은 물리학이 모든 다른 과학들이 비교되어지는 금표준(golden standard)이라는 매우 집요하고 해로운 가정이다. 이제 우리가 연방 자금조달 관료들에게 이러한 사실을 납득시킬 수만 있다면…

매우 재밌는 글이어서 어설프게나마 번역해보았다. 요즘 유행하는 복잡계 경제학의 단초를 엿볼 수 있기도 하거니와 경제학이 끊임없이 접점을 찾아가고 있는 여타 자연과학들과의 상호관련성도 함축성 있게 설명하고 있다. 또한 이글이 알려주는 바는 어떠한 학문이건 간에 ‘예측’ 더 나아가 ‘예언’(사실 위 번역문의 원문으로 보자면 위 글에서 예언이라고 한 것들은 예측이 더 정확할 것이나 그것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예언이라고 하였다.)에 대한 유혹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주위의 사람들에게 ‘넌 왜 비싼 학비 내가면서 그 공부 했느냐’는 또는 ‘경제학 공부한 놈이 주식은 왜 까먹냐’는 핀잔에 시달릴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글의 취지에서 다른 것을 떠나 분명하게 동의하는 것은 특히나 경제학에서 ‘예언’ 심지어 ‘예측’은 함부로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물론 요즘 그렇게 예언에 성공(?)해서 명성을 얻은 이들이 월스트리트나 아고라에 여럿 있다. 그렇지만 그 사실이 경제학은 예측이 가능한 학문이라는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다.

‘Adam Smith’s Lost Legacy’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Gavin Kennedy 라는 경제학자는 내가 번역한 위 글을 부분 인용하면서 현재 경제학계 또는 경제계에서 만연해 있는 그런 풍토를 “예언 비즈니스(the prediction business)”라고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다. 상당 부분 공감하는 바이다. 과거의 경험과 학문의 틀 내에서 현재의 위기에 대한 새로운 대안과 해법을 모색하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마치 자신의 입장이 전지적인 것 인양 행세하며 자신의 프레임을 한 치도 벗어나지 않으려는 아집은 logger 님의 표현에 따르면 불쏘시개로 써도 시원치 않을 쓰레기일 것이다.

(주1) 모든 실재하는 현상을 가급적 둥글게, 즉 모나지 않게 가정하고 시작하려는 과학적 모델링의 행태를 꼬집는 농담(참고하기) : 역자 주

(주2) 기상청 직원 소풍가는 날 비 온다는 농담의 맥락에서 : 역자 주

16 thoughts on “The prediction business

  1. polarnara

    그러나 진화생물학자들이 경제학에 대해 같은 종류의 생각을 하고 있을지는 의문이군요 :p
    무슨 말을 하고 싶은 건지는 알겠는데, 별로 공감은 안 간달까.. (전 경제학을 ‘과학’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좀 삐딱합니다) 어디까지나 비유지만, 물리학에서 소를 구로 가정하는 것과 경제학에서 완벽한 정보를 가정하는 것은 천지차이죠. 그걸 가지고 ‘물리학자들도 그렇게 한다’ 라니요! 소를 구로 가정하고 문제를 풀면 나중에 소가 다른 모양으로 바뀌어도 문제가 풀리(겠)지만, 완벽한 정보를 가정하고 문제를 풀었다고 불완전한 정보 하에서 문제를 푸는 건 못하죠. 비교할 대상을 잘못 골라도 너무 잘못 골랐습니다. 굳이 맞추자면, ‘자유 낙하하는 물체가 등속으로 떨어진다고 가정하자’ 정도면 비슷한 레벨의 비교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Reply
    1. foog

      원저자의 경력이 “Professor in the Departments of Ecology & Evolution and of Philosophy at Stony Brook University, NY.”인 것을 보면 전체 과학자들은 아니더라도 소수는 그렇게 생각해주는 것 같은데요. ^^; 말씀하신 내용의 취지는 이해하겠는데 사실 저는 물리학에서의 가정과 경제학의 가정의 차이가 체감적으로 잘 와닿지는 않네요. 나름 공대생이었는데.. OTL

      Reply
  2. 쟁가

    재밌는 글 잘 읽었습니다. 좀 퍼가도 되죠?ㅎㅎ
    근데 ‘the golden standard’는 금표준 보다는 ‘금과옥조’ 또는 좀더 의역해서 ‘황금률’라고 번역하는 게 낫지않을까요? 금표준은 오히려 ‘the gold standard 금본위제’ 의 번역어에 더 가까워보여서 말이죠:)

    Reply
    1. foog

      저도 조금 고민했는데 뉘앙스가 약간씩 틀려서 결국 금표준으로 했습니다. 일부러 괄호쳐서 원문을 썼으니 이해하삼~ 🙂

      Reply
    2. polarnara

      황금률은 golden rule이죠. 윤리적인 기준을 뜻하는 말이라 그렇게 옮기면 절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금과옥조도 뉘앙스가 많이 다르고.. 그러고보니 저도 랩에서 저 말 많이 썼는데 적합한 한글 번역이 없군요;

      Reply
  3. boot

    이 부분 번역이 좀 이상하네요.
    (as opposed to being deterministic, like the laws of macro-physics, outside quantum mechanics)
    (거시물리학 법칙이나 양자역학처럼 결정적인 것과는 반대되게도)
    >> (양자 역학 테두리 바깥 결정론적인 거시 물리학 법칙과 반대로)

    실제 거시 물리학의 영역이 결정론적인 고전역학이라면, 반대로 미시 영역을 다루는 양자 역학 쪽은 비결정론적입니다.

    Reply
  4. JNine

    댓글들을 보고 그냥 놀랄뿐-_-;; 경제 관련된 글을 챙겨보려고 애만 많이 쓰고 있는데…고등 학교 때 배웠던 단순한 모델로 경제 예측이 가능하면 얼마나 좋을까…라는 엉뚱한 생각을…요즘 경제 관련 내용들 점점 복잡;; 왠지 ‘경제학은 이해하기 힘든 학문이니까 무지몽매한 너희 들은 고민하지 말고 우리가 하는 말을 믿을지어다’ (결국 예언 비지니스인가;;)로 가는 것 같아서

    Reply
    1. foog

      비단 경제학 뿐만이 아니라 모든 학문이 어느 정도는 미시적인 분야를 파고들어가 일종의 비밀써클화 되는 경향이 있지 않은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제 예전과 같은 르네상스맨은 나오기 힘들겠지요. 🙂

      Reply
  5. polarnara

    실은 ‘역사적 사건에 대해 우발적’ 이라고 옮기신 부분도 살짝 걸립니다. 물리학 법칙은 시간 장소에 관계없이 결정되어 있고 경제학 법칙은 당시 사회가 어떤 모양이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뜻으로 dependent on historical accidents 라고 쓴 듯 합니다.

    Reply
    1. foog

      번역에 관한 문제라면 비공개 글로 하지 않으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모두가 알아야 할 일이니까요. 🙂 말씀하신대로 ‘역사적 사건에 대해 우발적’ 이라는 부분이 미심쩍긴 했습니다. 이 부분이 또한 이 글의 핵심문단이고요. contingent가 가진 의미가 사뭇 모호한 것 같은데 제가 보기에는 저자가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이 단어를 고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말씀하신대로 dependent on historical accidents 이라고 이해하면 전적으로 이전의 사건에 종속된다는 의미가 강하고 또 ‘우연의’ ‘뜻밖의’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그야말로 역사적 사건은 독립적이 되어버리는 그런 부분이 염려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contingent는 어떠한 것에 부수적이되 반드시 확정적이지는 않은 즉 linear하지는 않은 의미가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boot님이 지적해주셨던 ‘결정론적인 거시 물리학 법칙과 반대’ 의미로 이해할 수 있겠죠.

      다른 의견 계신 분들도 허물없이 의견주시기 바랍니다. 🙂

      Reply
  6. 이번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인간은 (전체적으로 볼 때) 합리적 판단을 한다”는 명제가 틀릴 수 있다는 걸 깨달은 것만으로도 성과가 있었던 게 아닌가 합니다.
    물론 10년만 지나도 또다시 교훈을 잊어버리겠지만..
    대학에서 역사를 배울 때 교수님들이 사회과학과의 결정적 차이로 ‘모델화(계량화)를 하지 않는다’는 걸 드셨는데, 저 자신도 그런 편입니다. 추세를 인정하지 않는 게 아니라 개별 사건과 예외의 중요성에 높은 가중치를 두는 편이라고나 할까요.
    그래서인지 ‘도마뱀의 뇌’ 혹은 ‘원시인의 뇌’를 갖고 있는 인간이 대체로 합리적인 판단을 할 것이며 또 이 판단들의 합집합은 상당히 합리적일 것이라는 경제학에서의 가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사회과학의 계량화 모델보다도 훨씬 불신해 왔습니다.

    Reply
    1. foog

      참 어려운 문제죠. 사실 근대 이후의 많은 학문들은 어느 정도는 ‘이제 우리가 좀 세상을 알게 된 것 아니냐’는 자만심 내지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감히 신의 영역에 도전해가고 있다는 그런… 그리고 적어도 경제 또는 경제이론에서만큼은 이러한 바벨탑이 계속 반복하여 깨지고 있는 셈이죠. 신은 – 보이지 않는 손? ^^ – 아마 이런 우리를 보고 이렇게 말하겠죠. 알긴 개뿔이 알어? ^^;

      Reply

Leave a Reply to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