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공지] 사이트 도메인 변경

이 블로그의 성격을 더욱 명확히 하고자, 이 블로그의 기본 도메인을 foog.com에서 economicview.net으로 변경합니다. 북마크 하셨거나 RSS를 구독하시는 분들은 필요에 따라 정보를 변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피드버너(feeds.feedburner.com)를 이용하여 RSS 구독을 하시는 분들은 특별히 설정을 변경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RSS 주소를 foog.com/rss 나 foog.com/feed 등으로 하셨던 분들은 feeds.feedburner.com/Economic_View 로 변경하시는 편이 향후 이용에 더욱 편리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기존에 […]

구글이 도메인 분쟁에서 졌다

구글이 도메인 분쟁에서 졌다. 관련 분쟁을 65차례 개시한 바 있는 이 공룡기업이 도메인 분쟁에서 진 케이스는 이번이 2번째라 한다. 구글이 맞장을 뜬 상대는 2007년 운영을 개시한 사진 관리 사이트 Groovle.com(근데 서비스 내용을 찬찬히 살펴보니 맘에 드는 사진으로 구글 첫화면을 꾸미는 식이다. 오해의 소지가 꽤 있을듯?)이다. 구글 측은 이 도메인이 자사의 도메인 Google.com과 “혼동될 정도로 유사한(confusingly […]

Twitter 에 관한 잡담

Ttitter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즐거움 하나는 스타를 졸졸 따라다니며 이런 소소한 이야기를 듣는 것. 한편 Twitter의 폭발적인 인기는 또 다른 현상을 낳고 있는데… 트위터 별명이 급속하게 도메인처럼 탐나는 무언가가 되고 있고 Tweexchange는 트위터 멤버들이 다른 기존 이용자들로부터 트위터 사용자계정을 교환, 구매 혹은 검색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하면서 이 것을(별명 : 역자주) 자본화하기를 바라고 있다. Twitter […]

도메인의 무한확장 시대

.com, .net, .org 인터넷을 옆에 끼고 사는 분들이라면 이러한 주소 체제에 익숙해 있을 것이다. 국가주소(예 : .us, .co.kr)와는 별도로 사용되는 이러한 도메인 주소 체제를 TLD(top-level domains)라 하며 웹이 생긴 이래 그동안 위 세 가지 주소체제로 유지되어 왔다. 그런데 그동안 도메인 주소를 관장해온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가 최근 연례회의를 통해 소위 TLD의 제한을 풀어버렸다. “새로운 주소체계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문자 […]

구글, 남의 블로그를 무시해도 유분수지

심심해서 구글에서 내 블로그 주소를 검색했다. 그랬더니 검색결과가 아래와 같다. 자세히 보면 이상한 문구가 보인다. “이것을 찾으셨나요? www.google.com ” 흔히 오타를 쳤을 때 이를 지적해주는 기능이다. 평소에는 친절한 기능이라 생각했었는데 오늘은 기분 나쁘다. 남의 블로그 주소를 무시해도 유분수지 말이야~ “구글아 내 도메인이 네 도메인보다 더 좋단다~”  

블로그는 독립 도메인을 가져야 하는가?

방금 이 블로그의 도메인 foog.com 을 팔라는 어떤 미국인의 집요한 이메일에 도메인을 팔지 않겠다고 답장을 보냈다. 개인이 순전히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관한 블로그를 만들려고 쓰겠다는데 도메인을 그 정도 가격에 사겠다니 – 개인 블로그 용으로는 비싼 금액이었음 – 도메인에 대한 집착이 상당한 것 같다. 사실 따지고 보면 블로그에 사용하는 도메인에 대한 관점 차이가 외국, 특히 영어권 블로그와 […]

체게바라와 지적재산권

■ 들어가는 말 “지적 소유권에 관한 문제를 담당하는 국제연합의 전문기구인 세계지적소유권기구(WIPO)는 이를 구체적으로 ‘문학 ·예술 및 과학작품, 연출, 예술가의 공연 ·음반 및 방송, 발명, 과학적 발견, 공업의장 ·등록상표 ·상호 등에 대한 보호권리와 공업 ·과학 ·문학 또는 예술분야의 지적 활동에서 발생하는 기타 모든 권리를 포함한다’고 정의(定義)하고 있다.” 지적소유권은 선도자(先導者)인 생산자의 사적소유권이 다른 생산자나 소비자들로부터 침해받지 않도록 […]

황당한 도메인으로 인터넷 비즈니스에 성공하는 요즘

도메인(정확한 표현은 domain name이겠지만)에 관심을 가지고 등록한지 몇 년 되었고 지금도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스무 여개의 도메인을 유지관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유했던 도메인 중 몇몇은 개인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가격에 매도하기도 하였고 어느 도메인은 상당히 좋은 도메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관리소홀로 재등록을 하지 못해 다른 이가 채가는(일명 낙장 줍기) 불행한 사태를 당하기도 했다. 어쨌든 도메인은 월드와이드웹의 수평적인 구조에서 아이피의 껍데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