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hael clayton(2007)

마이클클라이튼은 기발한 아이디어로 무장한 신세대 스릴러하고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그것은 어찌 보면 고전적인 느와르의 현대적인 오마쥬쯤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 같다. 변호사라는 좋은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도박에 빠져 살았고, 부업삼아 한 레스토랑이 망해 사채를 얻어 쓴 이혼남 마이클 클라이튼(조지 클루니), 젊은 여성이면서도 제초제를 생산하는 대기업 유노쓰의 임원에 올라 성공을 위해서라면 물불가리지 않는 카렌, 거래를 성사시켜 거액을 수수료를 버는 한편 자신의 회사를 합병시키려는 법무법인 대표 마티(시드니 폴락) 등 대충 느와르에서 볼 수 있는 얼굴들이 등장한다.

사건은 유해한 제초제로 말미암아 온 동네 사람이 입은 피해에 대한 소송에서 유노쓰의 변호를 맡은 스타 변호사 아써가 갑자기 재판도중 스트립쇼를 벌이면서 점화한다. 피해자들의 선량한 마음과 안타까운 사연을 듣는 와중에 더 이상 ‘악마의 대변자(devil’s advocate)’가 될 수 없다는 발작적인 저항이었다. 법무법인과 유노쓰는 쑥대밭이 되고 마이클 클라이튼이 아써의 마음을 돌이키려 하지만 그 와중에 아써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만다.

그리고 영화는 한바탕 반전(反轉)을 향해 질주한다.

The Firm, The Pelican Brief, The Insider 등 법정과 기업 또는 조직비리라는 소재가 스릴러라는 형식으로 엮여진 많은 영화에서 익히 봐온 구도다. 거대기업의 거대범죄에 대한 죄책감의 결여, 조직의 자기보호 본능, 성공에의 욕망, 순리로 풀기보다는 형식논리로 갈등을 푸는 매정한 시스템, 그 사이에 끼어 고뇌하고 갈등하는 인간군상….. 이러한 다양한 생각할 거리들이 적절한 액션과 긴장감과 버무려져 진행된다.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를 보며 현대사회의 분업이 낳은 비극에 대해 다시 한번 곱씹게 되었다. 아담 스미쓰 이하 모든 경제학자들이 분업으로 인한 거대한 생산력의 향상을 칭송하였고 그것은 실존하는 혜택이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런 한편으로 분업은 현대사회에서 타자에 대한 무관심과 자신의 일에 대한 소외를 낳았다. 영화대사에서도 나오듯이 그들은 ‘각자 자신들의 일을 충실히 하고 있지만(you’re doing your job)’ 그렇다고 해서 이 분업이 전체의 복지로 수렴되지는 않는다. 제초제 회사는 제초제를 만들고, 법률회사는 사람들과 기업을 변호하고, 심지어 흥신소 직원은 사람까지 살해하지만 – 생활인으로서 정말 열심히들 일을 했지만 – 남은 것은 제초제로 병든 주민과 끔찍한 살인, 그리고 인간성 파괴뿐이었다.

물론 이것은 분업의 한 부작용일 뿐일지도 모른다. 영화란 원래 개연성이 적은 사례를 극화하여 사람들이 신기해하면서 극을 즐기게끔 만든 매체인 법이다. 그럼에도 오늘 날 우리네 생활에서 이렇게 자신들이 열정을 가지고 진행시킨 일들이 남들에게 득이 되기보다는 해가 되거나, 또는 득보다 실이 큰 일이 아니라는 보장은 못하는 법이다. 그러니 항상 자신의 삶을 반추하며 살아야 하는 법인가보다. 음… 이거 영화보다 득도하게 생겼다.

6 thoughts on “Michael clayton(2007)

  1. mycogito

    분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는 현대사회의 비극에 대한 관점은 잘 이해가 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만…

    업의 본질이라는 측면을 너무 과감하게 잘라내신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제초제를 만들고 변호를 하는 사람들이 추구해야할 업의 본질은 본디 인간을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잡혀있어야 함에도 그들이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집중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지 꼭 분업을 하고 자기 일에 충실했기 때문만은 아닐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분업에서 오는 문제점과 전혀 연관이 없지는 않겠지만요…

    Reply
    1. foog

      제초제의 목적은 해충을 죽여 곡식을 잘 자라게 하는 것이고 변호사의 목적은 의뢰인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이겠죠. 그리고 제초제로 인해 사람이 죽거나 변호로 인해 의뢰인 이외의 사람이 고통받는 것은 하나의 부작용이겠고요. 과연 그러할 때에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는 것이 “본디 인간을 이롭게 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분업사회에서는 고민할 유인도 적고 고민하는 사람도 적다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물론 mycogito님의 말씀의 취지에도 귀가 솔깃하네요. 🙂

      Reply
  2. 8oi_

    이번 글 너무 재밌어요 ㅎㅎ
    특히 마지막 문장이 대박이예요 ㅋ
    재밌는 포스팅 감사합니다^^

    Reply
  3. beagle2

    스포일러를 피하기 위해 첫문장 까지만 읽고 재빨리 다른 화면으로 넘어갔다가, 이제서야 이 영화를 봤습니다. 저는 굉장히 재밌었어요. 어느 날 갑자기 진실에 눈떠버린 변호사와 그의 스트립쇼는 좀 말이 안 되지만 극 중의 현실은 작은 부분들까지 개연성있게 보이더군요. ‘있을 법한 일이다, 말이 된다’ 싶어서 실감났어요. 마지막에 마이클 클레이튼이 택시타고 빙글빙글 돌 때 뒤에 계속 따라붙던 택시 때문에 어찌나 조마조마 했던지.

    내친 김에 오션쓰 시리즈까지 연달아 봤는데 제 취향엔 스티븐 소더버그 사단이 꽤 잘맞네요. foog님 블로그는 제겐 일종의 작은 포탈 사이트. 🙂

    Reply
    1. foog

      소더버그 좋죠. 사회성과 오락성이 적절히 조화된 모범적인 케이스랄까요? 오션스 시리즈보면 재밌는 것이 극중 캐릭터가 켄 로치의 작품 ‘빵과 장미’를 언급하는 부분이 나온답니다. 일종의 오마쥬라 할 수 있겠죠.

      Reply

Leave a Reply to foog Cancel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