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날을 내다보고 싶은 것은 누구에게나 공통적인 심리다. 1999년 2월 유가가 고작 10달러 수준일 때 ‘이코노미스트’는 한 달 뒤 유가가 곧 5달러 이하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그해 말 가격은 무려 그 5배였으며, ‘이코노미스트’는 머릿기사에서 “우리가 틀렸습니다!”라고 사과했다. 이에 대해 어느 명민한 독자가 훌륭한 평가를 하고는 그 주간지의 편집자들뿐 아니라 모두에게 해당될 충고를 덧붙였다. “모델링 신비주의가 […]
[태그:] 석유
오일샌드는 캐나다에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전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가 사우디 다음 가는 매장량을 보유한 산유국임을 적으면서 살짝 부러움을 표시한 적이 있는데 마냥 그럴 일만도 아닌 것 같다. CBC 최근 기사에 따르면 캐나다의 환경단체와 토착민들이 공동으로 오바마 대통령의 캐나다 방문에 때맞춰 오일샌드의 심각한 폐해를 알리는 광고를 미국의 USA투데이에 게재했다 한다. “President Obama, you’ll never guess who’s standing between us and our […]
Stripper wells
미국에서는 소위 ‘말라붙은 유정(stripper wells)’이라 불리면서 운영되고 있는 소규모 생산업자들이 그들의 유정을 포기해야만 하는데 이는 더 이상 현재의 가격으로는 돈을 벌 수 없기 때문이다. 각각의 유정은 단지 몇 배럴의 원유만을 퍼 올린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미 전역에서 추출되는 양의 5분의 1에 해당한다. In the US, small producers that operate so-called stripper wells are having to abandon […]
미국 주택경기와 석유의 상관관계에 관한 인용
모기지론을 활용하는 미국 소비자들은 주택 가격이 상승에 따라 확대된 부동산 담보가치에 맞추어 부채를 늘려 소비를 확대할 수 있었다. 즉 집값 상승에 따른 자산 효과가 유가 상승에 따른 소비 감소를 상쇄할 수 있었던 것이다.그러나 주택시장이 둔화되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더 이상 이런 소비 확대패턴을 유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주택 가격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유가가 계속 상승세를 보일 경우 미국 […]
원유운반선
석유회사들이 바다에 수백만 배럴을 저장해두고 수요가 오르고 이에 따라 가격이 오를 때까지 기다릴 것을 계획하고 있다. 브로커들의 말에 따르면 현재까지 석유회사들은 최대 수출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의 하루 생산량보다 많은 1천만 배럴을 저장할 수 있는 배들을 예약하였다고 한다. 브로커들에 따르면 화요일 미국의 석유무역업체인 Koch와 Royal Dutch Shell이 추가적인 초대규모원유운반선(Very Large Crude Carriers ; VLCC)을 최근 예약 완료했다고 한다. […]
최근의 유가폭등, 그리고 휘발성
금융 쓰나미가 전 세계를 덮치는 광경을 관전하는 동안 유가 또한 극적으로 폭락했다. 타임紙는 폭락의 이유를 크게 수요 감소와 투기세력의 후퇴를 들고 있다. 미교통부에 따르면 미국인들은 8월에 전년도 동월 대비 150억 마일, 또는 5.6%나 덜 주행했다. DOT는 이는 1개월로 치면 년 단위로 역사상 가장 큰 폭의 하락이라고 말했다. .. 경제학자들이 “수요 붕괴”라고 부르는 것들의 명확한 증거다. […]
24년 동안 가격이 오르지 않은 상품
샤 왕은 서방세계에 교훈을 하나 더 가르쳐 주겠다고 말했다. 산유국들이 이구동성으로 국제 유가가 너무 낮다고 아우성치고 있던 때였다. 석유가 과거 24년 동안 석유의 수요와 공급이 자유로운 시장기능에 맡겨졌더라면 충분히 유지됐을 가격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값싼 연료’로 전락하고 있다는 주장이었다. 실제로 1947년부터 1971년까지 유가는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 24년 동안 산업 재화나 식료품 가격은 3배가 올랐다.[제프리 로빈슨著, […]
워렌 버핏이 전기자동차를 살릴 수 있을까?
돈 냄새를 남보다 100미터 앞에서 맡을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워렌 버핏의 다음 테마는 무엇일까? 아마도 전기자동차가 아닐까 추측된다. 버크셔 헤더웨이의 자회사 MidAmerican 에너지 홀딩스는 최근 홍콩에 상장된 BYD 회사의 주식을 2억3천만 달러 어치 매입했다. 이 매입분은 BYD 전체 지분의 9.9% 정도에 해당한다. 이 회사는 2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분야에 있어 세계 2위의 생산자다. 보도된 바에 […]
호혜평등주의 혹은 수요자의 똥배짱, 그리고 그 결과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파이잘 왕(제4차 중동전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를 통치하던 왕)은 언론을 통해 자기의 뜻을 공개적으로 다시 밝혔다. 9월 2일 NBC 텔레비전이 파이잘 왕과 인터뷰를 가졌다. 왕은 이렇게 말했다. “미국이 중동정책을 변경하지 않고 계속해서 이스라엘의 편을 든다는 것은 우리에게 심각한 걱정거리를 던져주는 셈이다. 이런 상황이 아랍세계 속에서 우리의 입장을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사우디와 미국간의 관계에도 […]
선물시장과 hedge에 대한 간단한 설명
뉴스에서 보도하는 유가는 사실 선물시장에서의 가격이다. 이 시장에서 거래자들은 유형(有形)의 석유를 교환하는 것이 아니다. 그 대신 장래에 – 통상 몇 달 후에 – 어느 시점에 약정된 가격에 석유를 교환하는 계약들을 교환한다. 그러한 계약을 통해 기업들은 초기에 가격들을 묶어둠으로써 포지션을 헤지한다. 항공사는 연료가격이 올라감에 따른 그들의 익스포져(exposure)를 줄이기 위해 선물계약을 구입하기도 한다. 반대로 석유회사들은 미래의 가격이 […]